본 연구는 노인들의 생활만족도를 알아보고자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독립변인인 개인적 특성 요인(성별, 연령, 종교유무, 교육수준, 직업유무, 배우자유무, 자녀동거유무, 생활수준, 용돈상태, 생활비마련, 주관적 건강인식), 자아존중감 요인, 건강상태 요인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종속변인인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그 요인을 밝혀 대도시 노인들의 노후생활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도시 인구의 특성을 보이고 있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지역을 중심으로 살고 있는 225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이를 분석하기 위해 프로그램(spss for windows 14.0)을 이용하여 ...
본 연구는 노인들의 생활만족도를 알아보고자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독립변인인 개인적 특성 요인(성별, 연령, 종교유무, 교육수준, 직업유무, 배우자유무, 자녀동거유무, 생활수준, 용돈상태, 생활비마련, 주관적 건강인식), 자아존중감 요인, 건강상태 요인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종속변인인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그 요인을 밝혀 대도시 노인들의 노후생활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도시 인구의 특성을 보이고 있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지역을 중심으로 살고 있는 225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이를 분석하기 위해 프로그램(spss for windows 14.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 분산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을 수행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특성 요인(성별, 연령, 종교유무, 교육수준, 직업유무, 배우자유무, 자녀동거유무, 생활수준, 용돈상태, 생활비마련, 주관적 건강인식)을 중심으로 생활만족도 평균값의 차이를 본 결과, 연령이 낮은 노인이 높은 노인보다, 종교가 있는 노인이 없는 노인보다, 그리고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인식이 좋을수록 노인의 생활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과 자아존중감, 건강상태 요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 중에서는 성별과 주관적 건강인식, 그리고 자아존중감과 건강상태 요인이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볼 때, 현재 우리나라 노인사회가 안고 있는 많은 모순과 문제점들은 노인 생활에 만족감을 저해시키고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이에 대한 전반적 정비와 제도 마련 없이는 급속도로 고령화 사회가 되고 있는 현실을 대비할 수 없을 것이다. 특히 노인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주는 많은 요인 가운데에서도, 기본적인 경제적 안정으로의 생활수준 향상과 건강을 유지·증진 할 수 있는 방안의 노력은 무엇보다 시급히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노인들의 생활만족도를 알아보고자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독립변인인 개인적 특성 요인(성별, 연령, 종교유무, 교육수준, 직업유무, 배우자유무, 자녀동거유무, 생활수준, 용돈상태, 생활비마련, 주관적 건강인식), 자아존중감 요인, 건강상태 요인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종속변인인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그 요인을 밝혀 대도시 노인들의 노후생활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도시 인구의 특성을 보이고 있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지역을 중심으로 살고 있는 225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이를 분석하기 위해 프로그램(spss for windows 14.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 분산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을 수행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특성 요인(성별, 연령, 종교유무, 교육수준, 직업유무, 배우자유무, 자녀동거유무, 생활수준, 용돈상태, 생활비마련, 주관적 건강인식)을 중심으로 생활만족도 평균값의 차이를 본 결과, 연령이 낮은 노인이 높은 노인보다, 종교가 있는 노인이 없는 노인보다, 그리고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인식이 좋을수록 노인의 생활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과 자아존중감, 건강상태 요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 중에서는 성별과 주관적 건강인식, 그리고 자아존중감과 건강상태 요인이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볼 때, 현재 우리나라 노인사회가 안고 있는 많은 모순과 문제점들은 노인 생활에 만족감을 저해시키고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이에 대한 전반적 정비와 제도 마련 없이는 급속도로 고령화 사회가 되고 있는 현실을 대비할 수 없을 것이다. 특히 노인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주는 많은 요인 가운데에서도, 기본적인 경제적 안정으로의 생활수준 향상과 건강을 유지·증진 할 수 있는 방안의 노력은 무엇보다 시급히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