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이미 고령화사회를 넘어 고령사회로 향하고 있어 노인의 생활전반만족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복지가족부에서 실시한 "2008년도 노인 생활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노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삶의 영역별 만족도, 소득원 등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노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신체 및 정신건강 수준, 경제활동 및 경제수준, 여가활용, 사회적 관계 등의 요인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이미 고령화사회를 넘어 고령사회로 향하고 있어 노인의 생활전반만족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복지가족부에서 실시한 "2008년도 노인 생활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노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삶의 영역별 만족도, 소득원 등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노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신체 및 정신건강 수준, 경제활동 및 경제수준, 여가활용, 사회적 관계 등의 요인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ince Korea is moving towards the aged society, increasing is the social attention on overall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ged people, categorized satisfactions ...
Since Korea is moving towards the aged society, increasing is the social attention on overall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ged people, categorized satisfactions and sources of income, based on the 2008 national survey data of the actual living condition of the elderly and welfare need. We found that many factors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such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level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the economic level.
Since Korea is moving towards the aged society, increasing is the social attention on overall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ged people, categorized satisfactions and sources of income, based on the 2008 national survey data of the actual living condition of the elderly and welfare need. We found that many factors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such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level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the economic level.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에서는 급속한 고령사회화에 따른 노인문제를 검토하고, 노인생활실태와 생활전반에 대한 만족도의 개념과 이론들을 고찰하여 노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삶의 영역별 만족도, 소득원 등이 노년기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성별, 교육수준 결혼상태, 종교, 건강상태, 월소득 등의 인구통계적 변수에 따라 생활 전반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 근로소득, 사업소득, 금융소득, 부동산소득, 사적이전소득, 국민연금, 특수직역연금, 개인연금, 보훈급여, 실업급여, 산재급여, 교통수당, 장애수당, 장애아동부양수당, 경로연금 등의 소득원유무별로 생활전반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다. 교차분석을 실시하고, 더불어 사회과학 및 자연과학에서 반응변수가 두 개의 범주에 대한 반응값으로 나타날 때 많이 사용하는 회귀분석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다 (조장식, 2011; 박일수 등, 2010).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가족 및 사회적 관계와 상호지원, 경제상태, 경제활동, 건강상태, 건강행태, 의료서비스 이용, 기능상태 및 간병수발실태, 여가 및 사회활동, 노인복지서비스, 노후생활과 삶의 질, 생활환경 등의 삶의 영역별 만족도와 생활전반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다. 분산분석을 실시하고, 더불어 복잡한 인과관계나 상호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석방법인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다(최현석과 하정철, 2011; 최현석 등, 2011).
본 연구는 노인들의 생활전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 노인의 생활현황과 보건복지정책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에 도움이 되는 기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표 3.1).
성별, 교육수준 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가족 및 사회적 관계와 상호지원, 경제와 건강 등의 삶의 영역별 만족도, 근로소득과 국민연금 등의 소득원이 노년기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검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생활전반에 관한 만족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 자료를 통해 확인하였다. 특히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소득원유무, 삶의 영역별 만족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규명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생활전반에 관한 만족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 자료를 통해 확인하였다. 특히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소득원유무, 삶의 영역별 만족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규명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제안 방법
셋째, 삶의 영역별 만족도에 대한 분석으로 분산분석과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2008년도 노인생활실태조사”는 2008년 4월 15일에서 2009년 2월 28일까지 만 60세 이상 노인 개인 15,146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자녀 유무 및 동거유형, 노인의 가족 및 사회적 관계와 상호지원, 경제상태, 경제활동, 건강상태, 건강행태, 의료서비스 이용, 기능상태 및 간병수발실태, 여가 및 사회활동, 노인복지서비스, 노후생활과 삶의 질, 생활환경의 영역에 대해 조사되었다. 층화 2단 집락추출을 통해 조사되었으며 표본설계에 따른 개인별 가중치가 제시되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자녀 유무 및 동거유형, 노인의 가족 및 사회적 관계와 상호지원, 경제상태, 경제활동, 건강상태, 건강행태, 의료서비스 이용, 기능상태 및 간병수발실태, 여가 및 사회활동, 노인복지서비스, 노후생활과 삶의 질, 생활환경의 영역에 대해 조사되었다. 층화 2단 집락추출을 통해 조사되었으며 표본설계에 따른 개인별 가중치가 제시되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에서는 생활전반만족도에 대해 5점 척도로 질문을 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생활전반만족도를 세 범주로 분류하였다. 생활전반만족도에 ‘전혀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은 편’에 응답했으면 “만족안함”으로, ‘그런편이다’와 ‘매우그렇다’에 응답했으면 “만족함”으로, ‘그저그렇다’에 응답했으면 “보통”으로 분류하였다.
소득원의 유무별로 생활전반만족도에 대한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관련성여부를 검정하였다. 노인이 어떠한 소득원으로부터 소득을 얻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생활만족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소득원의 유무별로 생활전반만족도에 대한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관련성여부를 검정하였다. 노인이 어떠한 소득원으로부터 소득을 얻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생활만족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많은 노인들의 소득원은 개인 사적이전소득 78.
각 영역별 만족도는 생활전반만족도와 마찬가지로 5점 척도로 조사되었는데 함께 사는 자녀와의 관계, 따로 사는 자녀와의 관계, 손자녀와의 관계, 배우자와의 관계, 형제·자매 및 친인척, 친구·이웃과의 관계, 자산 (주관적 노인개인 경제상태 만족도), 경제활동 (현재 하는 일 만족도), 건강상태만족도, 의료서비스 만족도, 여가활동 및 사회활동 만족도, 가구형태 만족도 등의 결측이 많지 않은 12개의 변수를 사용하였다.
삶의 영역별 만족도와 생활전반에 대한 만족도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분석을 실시하였다. 생활전반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12개의 영역별 만족도 변수를 독립변수로 고려하였으나 결측이 많은 변수 (X1 등)를 제외하고 7개의 독립변수가 생활전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가를 각 독립변수에 결측값이 존재하지 않는 7357건에 대해 여러 요인들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요인이 생활전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생활전반 만족도가 “보통”인 자료를 제외하고 “만족함”과 “만족안함”의 자료만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2008년도 노인생활실태조사”는 2008년 4월 15일에서 2009년 2월 28일까지 만 60세 이상 노인 개인 15,146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데이터처리
본 연구에서는 개인 근로소득, 사업소득, 금융소득, 부동산소득, 사적이전소득, 국민연금, 특수직역연금, 개인연금, 보훈급여, 실업급여, 산재급여, 교통수당, 장애수당, 장애아동부양수당, 경로연금 등의 소득원유무별로 생활전반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다. 교차분석을 실시하고, 더불어 사회과학 및 자연과학에서 반응변수가 두 개의 범주에 대한 반응값으로 나타날 때 많이 사용하는 회귀분석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다 (조장식, 2011; 박일수 등, 2010).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가족 및 사회적 관계와 상호지원, 경제상태, 경제활동, 건강상태, 건강행태, 의료서비스 이용, 기능상태 및 간병수발실태, 여가 및 사회활동, 노인복지서비스, 노후생활과 삶의 질, 생활환경 등의 삶의 영역별 만족도와 생활전반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다. 분산분석을 실시하고, 더불어 복잡한 인과관계나 상호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석방법인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다(최현석과 하정철, 2011; 최현석 등, 2011).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분석으로 빈도분석과 생활전반만족도와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소득원유무에 따른 분석으로 생활전반만족도와 교차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분석으로 빈도분석과 생활전반의 만족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표 4.
소득원유무에 따른 생활전반에 대한 만족여부 (만족함, 만족안함)를 알아보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표 4.4). 생활전반 만족도가 “보통”인 자료를 제외하고 “만족함”과 “만족안함”의 자료만 분석하였다.
생활전반만족도 수준에 따른 각 영역별 만족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영역별 만족도는 생활전반만족도와 마찬가지로 5점 척도로 조사되었는데 함께 사는 자녀와의 관계, 따로 사는 자녀와의 관계, 손자녀와의 관계, 배우자와의 관계, 형제·자매 및 친인척, 친구·이웃과의 관계, 자산 (주관적 노인개인 경제상태 만족도), 경제활동 (현재 하는 일 만족도), 건강상태만족도, 의료서비스 만족도, 여가활동 및 사회활동 만족도, 가구형태 만족도 등의 결측이 많지 않은 12개의 변수를 사용하였다.
모형에 사용된 요인들의 속성을 나타내는 측정변수들을 선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 추출 방법으로 주축요인추출과 요인회전 방법으로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요인이 완전히 독립적이지 못한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사각회전방식인 오블리민 (oblimin)회전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삶의 영역별 만족도와 생활전반에 대한 만족도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분석을 실시하였다. 생활전반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12개의 영역별 만족도 변수를 독립변수로 고려하였으나 결측이 많은 변수 (X1 등)를 제외하고 7개의 독립변수가 생활전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가를 각 독립변수에 결측값이 존재하지 않는 7357건에 대해 여러 요인들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요인이 생활전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모형에 사용된 요인들의 속성을 나타내는 측정변수들을 선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 추출 방법으로 주축요인추출과 요인회전 방법으로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요인이 완전히 독립적이지 못한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사각회전방식인 오블리민 (oblimin)회전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추출된 요인에 포함된 변수들의 타당성 검토를 위해 신뢰도 분석을 한 결과 전반적으로 분석에 필요한 타당성과 신뢰성이 확보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성능/효과
2에 주어져 있다. 성별 생활전반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면 남자노인이 여자노인에 비하여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60대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생활전반에 대하여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생활전반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면 남자노인이 여자노인에 비하여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60대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생활전반에 대하여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별로는 무학일 때 만족하지 않음이 많은 반면 학력이 높아질수록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결혼상태로는 기혼이면서 배우자가 있을 때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소의 건강상태별로는 건강하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건강하지 않으면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노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생활전반만족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소의 건강상태별로는 건강하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건강하지 않으면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노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생활전반만족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3과 같다. 개인 근로소득, 개인 사업소득, 개인 금융소득, 개인부동산소득, 국민연금, 특수직역연금, 개인연금을 수급하고 있으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생활전반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인 금융소득, 국민연금, 특수직연금이 있는 경우는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계층으로 만족합의 비율이 아주 높게 나타났다.
특히, 개인 금융소득, 국민연금, 특수직연금이 있는 경우는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계층으로 만족합의 비율이 아주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개인 사적이전소득은 일반적으로 자식에게 경제력을 의존하고 있는 경우이고 교통수당, 장애수당, 경로연금은 사회 취약계층에게 지급되고 있는 경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생활전반에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4.4 소득원유무에 따른 생활전반만족도에 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계수 및 오즈비 (만족 안함=0, 만족함=1)
15개의 독립변수 중에서 보훈급여, 실업급여, 산재급여, 장애아동부양의 4개의 소득원을 제외하고 나머지 11개의 소득원은 생활전반만족도 유의하게 판정되었다
. 그러나 교통수당과 장애수당, 경로연금에 대한 오즈비를 살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하나 회귀계수가 음수로 나타나 수급하는 사람들이 수급하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생활전반에 만족할 확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5개의 독립변수 중에서 보훈급여, 실업급여, 산재급여, 장애아동부양의 4개의 소득원을 제외하고 나머지 11개의 소득원은 생활전반만족도 유의하게 판정되었다. 그러나 교통수당과 장애수당, 경로연금에 대한 오즈비를 살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하나 회귀계수가 음수로 나타나 수급하는 사람들이 수급하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생활전반에 만족할 확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5와 같다. 각 영역별 변수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모든 변수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생활전반만족여부에 따라 노인의 가족 및 사회적 관계와 경제상태, 경제활동, 건강상태, 의료서비스 이용, 여가 및 사회활동, 생활환경에 대한 만족도에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요인 추출 방법으로 주축요인추출과 요인회전 방법으로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요인이 완전히 독립적이지 못한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사각회전방식인 오블리민 (oblimin)회전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추출된 요인에 포함된 변수들의 타당성 검토를 위해 신뢰도 분석을 한 결과 전반적으로 분석에 필요한 타당성과 신뢰성이 확보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요인분석결과 3개의 요인으로 묶여졌으며 건강상태 만족도, 본인 경제상태 만족도, 현재 여가 및 사회활동의 만족도로 이루어진 주관적인 만족도 요인과 배우자 관계 만족도, 가구형태 만족도, 비동거자녀관계 만족도로 이루어진 가족관계 만족도 요인, 의료서비스만족도의 의료만족도의 3개의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삶의 영역별 만족도요인과 생활전반의 만족여부의 관계를 밝히고자 그림 4.
자료가 가정된 구조방정식 모형에 얼마나 잘 적합되었는지 적합도지수를 살펴보면 GFI는 0.962, NFI는 0.920, RESEA는 0.028로 일반적인 적합도기준치와 비교할 때 수용가능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관계 만족도와 생활전반만족도는 경로계수 값이 0.396 (t값=22.448)으로 가족관계 만족도가 생활전반만족도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족관계 만족도가 높을수록 생활전반만족도는 높다고 할 수 있다.
주관적인 만족도와 생활전반만족도는 경로계수 값이 0.351 (t값=28.557)로 주관적인 만족도가 생활전반만족도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주관적인만족도가 높을수록 생활전반만족도는 높다고 할 수 있다.
의료만족도와 생활전반만족도는 경로계수 값이 0.071 (t값=18.08)로 의료만족도가 생활전반만족도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의료만족도가 높을수록 생활전반만족도는 높다고 할 수 있다.
표준화회귀계수를 보면 주관적인 만족도가 생활전반만족도에 미치는 표준화 경로계수 값이 0.561, 가족관계 만족도가 생활전반만족도에 미치는 표준화 경로계수 값이 0.449, 의료 만족도가 생활전반만족도에 미치는 표준화 경로계수 값이 0.129로 나타나 주관적인 만족도가 생활전반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첫째,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자가 여자보다, 교육수준이 높을수록,연령이 낮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배우자가 있는 경우일 때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개인 근로소득, 개인 사업소득, 개인 금융소득, 개인부동산소득, 국민연금, 특수직역연금, 개인연금을 수급하고 있으면 생활전반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인 사적이전소득, 교통수당, 장애수당, 경로연금과 같은 소득원이 있는 집단은 생활전반에 만족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관계 만족도요인 (배우자 관계 만족도, 가구형태 만족도, 비동거자녀 관계 만족도), 주관적인 만족도 요인 (건강상태 만족도, 본인 경제상태 만족도, 현재 여가 및 사회활동의 만족도), 의료서비스만족도에 만족할수록 생활전반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
급속한 고령화로 노령계층의 증가가 소득상실과 건강악화로 인한 빈곤집단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안정된 생활을 보장할 수 있는 노령계층 생활안정화 대책의 마련이 시급하다. 노인의 생활전반에 관한 만족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은 인구고령화에 따른 의식 및 생활형태의 변화를 파악하여 노인의 생활실태 및 복지 정책수립 등 정책적, 실천적 측면에서 의미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청년교육 수준은?
현재 우리나라 노인세대가 지닌 배경특성들 중 젊은 세대와 비교해 두드러지게 다른 점으로 제기되는 것은 교육기회의 상대적 취약성이다. 우리나라 청년교육 수준은 OECD국들 중 최상이나 세대간 교육 수준 격차가 제일 큰 국가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한국 노인들의 교육수준은 상대적, 절대적 수준에서 국제적, 국내적으로 매우 낮다고 하였다 (이정의, 2010).
노인의 생활전반만족도의 분석 결과는?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복지가족부에서 실시한 "2008년도 노인 생활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노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삶의 영역별 만족도, 소득원 등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노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신체 및 정신건강 수준, 경제활동 및 경제수준, 여가활용, 사회적 관계 등의 요인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소득원 유형 중 공적 소득원은?
노인의 소득원 유형은 크게 공적소득원과 사적소득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공적 소득원은 공적연금 및 생활보호 등 공적이전소득으로 구성되며, 사적소득원은 다시 근로를 통한 근로소득, 저축·임대·이자소득·사적연금 등에 의한 자산소득, 그리고 자녀 등으로부터의 사적이전소득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를 소득원천의 영역에 따라 재정리하면, 근로 (work)를 통한 근로소득, 시장 (market)을 통한 자산소득, 가족 (family)을 통한 사적이전소득, 혹은 국가 (state)를 통한 공적이전소득으로 노인 소득원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석재은과 김태완, 2000).
참고문헌 (21)
강선경, 박희경 (2008). 친구망과 심리적 지지가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18, 117-139.
강희숙, 이진헌 (2007). 농촌노인의 건강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 21, 51-64.
Havighurst, R. J. (1968). Middle age and aging,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Rice, R. W. and Miller, M. D. (1990). Developing a model for the study of quality of life in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Use of hypertension as an example. Southern Medical Journal, 83, 941-946.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