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N-nitrosodiethylamine에 의해 유발된 실험적 랫드 간암에서 thiacremonone의 예방 효과 Preventive effect of thiacremonone on hepatocarcinogenesis initiated by N-nitrosodiethylamine in rats원문보기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위암, 간암, 자궁경부암 등이 주로 발생하였으나 최근에는 소득수준의 향상에 따른 선진국형 생활문화로의 변모에 따라 주로 발생하는 암의 종류도 위암, 간암, 자궁암 외에도 대장암, 유방암, 폐암, 전립샘암 등 선진국형 암이 호발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화학적 암예방 (cancer chemoprevention)은 이러한 암발생과정 중에 나타나는 중요한 각종 단백질이나 호르몬의 발현을 변화시키거나 조절하는 기능을 가진 약물, 비타민, 미네랄, 천연물질, 식품성분 등 암예방 후보물질을 사람이나 동물 혹은 ...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위암, 간암, 자궁경부암 등이 주로 발생하였으나 최근에는 소득수준의 향상에 따른 선진국형 생활문화로의 변모에 따라 주로 발생하는 암의 종류도 위암, 간암, 자궁암 외에도 대장암, 유방암, 폐암, 전립샘암 등 선진국형 암이 호발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화학적 암예방 (cancer chemoprevention)은 이러한 암발생과정 중에 나타나는 중요한 각종 단백질이나 호르몬의 발현을 변화시키거나 조절하는 기능을 가진 약물, 비타민, 미네랄, 천연물질, 식품성분 등 암예방 후보물질을 사람이나 동물 혹은 세포주 등 특정 생물계에 개입(intervention)시켜 암의 진행을 지연하거나 억제하는 것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인에게서 발병률이 높은 간암에 대하여 동물모델을 확립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람에서의 암예방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특히 식품성분(dietary components)이나 천연물 중에는 발암을 억제하는 성분(anticarcinogenic components)이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다. 간세포 암화 촉진 과정을 유도하여 마늘에서 추출한 생리활성물질인 “Thiacremonone”의 전암성 병변 형성 억제효과를 관찰하고 생화학적 간 손상지표를 측정하여 간암 중기 발암실험을 통해 발암 촉진 억제효과를 증명하고자 하였다. 혈액생화학적 검사에서 간세포 손상 지표인 ALT, AST, ALP의 수치가 발암유발로 인하여 증가하였으나, thiacremonone 처리로 인하여 정상수준까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지질과산화물(TBARS)의 생성수준은 그 대상이 되는 조직의 지질과산화 정도를 표현해 주는 지표가 될 수 있다. 산소 라디칼에 의한 독성과 지질과산화는 암의 주요 요인이며, 다양한 발암물질과 다른 외부물질을 처리한 쥐에게서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종양생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질과산화물은 발암처리 군에 비하여 thiacremonone을 투여한 모든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발암처리에 의해 증가된 지질과산화물의 수준은 thiacremonone의 투여로 인해 감소되었다. 발암물질을 처리하고 간 부분절제술을 시행한 모든 군에서 GST-P 양성 병소가 관찰되었으나, thiacremonone은 랫드 간세포 암화과정에서 간암의 가장 효과적이고 특이적인 표지인자인 GST-P 양성 병소의 발달을 저지시켰다. 평균 지름이 0.2mm이상 되는 전암병변의 면적과 수는 발암유발군에 비해 발암유발 후 thiacremonone을 투여한 모든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그 중에서 10 mg/kg 투여군이 가장 큰 억제효과를 보였다. GST-P 양성 병소와 결절의 유도된 정도가 장기간 실험을 통한 간세포 악성종양과 직접적인 상관성을 보인다는 것을 많은 논문에서 보고되고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thiacremonone은 손상된 간의 지질과산화물의 생성을 억제하고, 간암 전암병변인 GST-P 양성 병소를 감소시킴으로서, 간 암(liver carcinogenesis)의 진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위암, 간암, 자궁경부암 등이 주로 발생하였으나 최근에는 소득수준의 향상에 따른 선진국형 생활문화로의 변모에 따라 주로 발생하는 암의 종류도 위암, 간암, 자궁암 외에도 대장암, 유방암, 폐암, 전립샘암 등 선진국형 암이 호발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화학적 암예방 (cancer chemoprevention)은 이러한 암발생과정 중에 나타나는 중요한 각종 단백질이나 호르몬의 발현을 변화시키거나 조절하는 기능을 가진 약물, 비타민, 미네랄, 천연물질, 식품성분 등 암예방 후보물질을 사람이나 동물 혹은 세포주 등 특정 생물계에 개입(intervention)시켜 암의 진행을 지연하거나 억제하는 것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인에게서 발병률이 높은 간암에 대하여 동물모델을 확립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람에서의 암예방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특히 식품성분(dietary components)이나 천연물 중에는 발암을 억제하는 성분(anticarcinogenic components)이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다. 간세포 암화 촉진 과정을 유도하여 마늘에서 추출한 생리활성물질인 “Thiacremonone”의 전암성 병변 형성 억제효과를 관찰하고 생화학적 간 손상지표를 측정하여 간암 중기 발암실험을 통해 발암 촉진 억제효과를 증명하고자 하였다. 혈액생화학적 검사에서 간세포 손상 지표인 ALT, AST, ALP의 수치가 발암유발로 인하여 증가하였으나, thiacremonone 처리로 인하여 정상수준까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지질과산화물(TBARS)의 생성수준은 그 대상이 되는 조직의 지질과산화 정도를 표현해 주는 지표가 될 수 있다. 산소 라디칼에 의한 독성과 지질과산화는 암의 주요 요인이며, 다양한 발암물질과 다른 외부물질을 처리한 쥐에게서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종양생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질과산화물은 발암처리 군에 비하여 thiacremonone을 투여한 모든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발암처리에 의해 증가된 지질과산화물의 수준은 thiacremonone의 투여로 인해 감소되었다. 발암물질을 처리하고 간 부분절제술을 시행한 모든 군에서 GST-P 양성 병소가 관찰되었으나, thiacremonone은 랫드 간세포 암화과정에서 간암의 가장 효과적이고 특이적인 표지인자인 GST-P 양성 병소의 발달을 저지시켰다. 평균 지름이 0.2mm이상 되는 전암병변의 면적과 수는 발암유발군에 비해 발암유발 후 thiacremonone을 투여한 모든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그 중에서 10 mg/kg 투여군이 가장 큰 억제효과를 보였다. GST-P 양성 병소와 결절의 유도된 정도가 장기간 실험을 통한 간세포 악성종양과 직접적인 상관성을 보인다는 것을 많은 논문에서 보고되고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thiacremonone은 손상된 간의 지질과산화물의 생성을 억제하고, 간암 전암병변인 GST-P 양성 병소를 감소시킴으로서, 간 암(liver carcinogenesis)의 진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potential action of garlic has been focused because of garlic contains numerous pharmacologically active substances including sulfur.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chemopreventive effects of thiacremonone, which were found at the heated garlic, on the formation of the preneopl...
The potential action of garlic has been focused because of garlic contains numerous pharmacologically active substances including sulfur.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chemopreventive effects of thiacremonone, which were found at the heated garlic, on the formation of the preneoplastic foci and glutathione-dependent detoxifying enzyme activities on the rat hepatocarcinogenesis. F344 rats, specific pathogen free six-week-old male, were given an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N-nitrosodiethylamine (DEN) at a dose of 200 mg/kg body weight and were administered to gavage of thiacremonone (1, 5 or 10 mg/kg body weight) for 6 weeks from 2 weeks after DEN initiation. All animals were subjected to the two-thirds partial hepatectomy (PH) week three after the DEN initiation. The numbers (10.35±2.77, 6.58±2.98 and 7.11±2.98 versus 20.43±6.54 No./cm2) and the areas (0.32±0.08, 0.20±0.06 and 0.23±0.08 versus 0.56±0.16 mm2/cm2) of the placental glutathione S-transferase positive (GST-P+) foci (≥0.01 mm2 in area) in the thiacremonone-treated groups (1, 5 and 10mg/kg body weigh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 with those of the DEN alone group (p<0.05).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contents (0.21±0.04 versus 0.24±0.04) of thiacremonone treated group (10 mg/kg)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e DEN alone group (p<0.05).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iacremonone, which were ingredient of heated garlic, might have a possible potential chemopreventive effects on the rat hepatocarcinogenesis induced by N-nitrosodiethylamine (DEN).
The potential action of garlic has been focused because of garlic contains numerous pharmacologically active substances including sulfur.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chemopreventive effects of thiacremonone, which were found at the heated garlic, on the formation of the preneoplastic foci and glutathione-dependent detoxifying enzyme activities on the rat hepatocarcinogenesis. F344 rats, specific pathogen free six-week-old male, were given an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N-nitrosodiethylamine (DEN) at a dose of 200 mg/kg body weight and were administered to gavage of thiacremonone (1, 5 or 10 mg/kg body weight) for 6 weeks from 2 weeks after DEN initiation. All animals were subjected to the two-thirds partial hepatectomy (PH) week three after the DEN initiation. The numbers (10.35±2.77, 6.58±2.98 and 7.11±2.98 versus 20.43±6.54 No./cm2) and the areas (0.32±0.08, 0.20±0.06 and 0.23±0.08 versus 0.56±0.16 mm2/cm2) of the placental glutathione S-transferase positive (GST-P+) foci (≥0.01 mm2 in area) in the thiacremonone-treated groups (1, 5 and 10mg/kg body weigh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 with those of the DEN alone group (p<0.05).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contents (0.21±0.04 versus 0.24±0.04) of thiacremonone treated group (10 mg/kg)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e DEN alone group (p<0.05).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iacremonone, which were ingredient of heated garlic, might have a possible potential chemopreventive effects on the rat hepatocarcinogenesis induced by N-nitrosodiethylamine (DE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