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65세 이상인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12주간 탄성밴드를 이용한 근력강화운동을 수행하여 건강체력및 신체성분과 골밀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에 있는 K구 복지회관 노인정 건강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한 65세 이상의 여성노인 중 연구의 취지에 동의한 자로서 자립적으로 보행할 수 있는 24명을 선정하여 운동집단 12명과 비교집단 12명을 무선배정 하였다.
12주간의 운동프로그램은 운동집단(n=12)을 대상으로 하루 40분씩 주3회 실시 되었으며 밴드를 이용한 스트레칭과 근력운동으로 구성 되었다. 반면, 비교집단(n=12)은 실험처지를 하지 않았다. 운동집단은 실험 처지 이외의 운동은 모두 금하였으며, 비교집단은 모든 운동을 금하였다.
운동집단(n=12)과 비교집단(n=12) 모두 사전·후에 캘리포니아 주립대학에서 만들어진 측정방법으로 건강 체력 검사(Senior ...
본 연구는 65세 이상인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12주간 탄성밴드를 이용한 근력강화운동을 수행하여 건강체력및 신체성분과 골밀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에 있는 K구 복지회관 노인정 건강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한 65세 이상의 여성노인 중 연구의 취지에 동의한 자로서 자립적으로 보행할 수 있는 24명을 선정하여 운동집단 12명과 비교집단 12명을 무선배정 하였다.
12주간의 운동프로그램은 운동집단(n=12)을 대상으로 하루 40분씩 주3회 실시 되었으며 밴드를 이용한 스트레칭과 근력운동으로 구성 되었다. 반면, 비교집단(n=12)은 실험처지를 하지 않았다. 운동집단은 실험 처지 이외의 운동은 모두 금하였으며, 비교집단은 모든 운동을 금하였다.
운동집단(n=12)과 비교집단(n=12) 모두 사전·후에 캘리포니아 주립대학에서 만들어진 측정방법으로 건강 체력 검사(Senior Fitness Test : SFT) Manual(2001)를 실시하여 기초체력을 측정하였고, 골밀도 측정기 DEXA(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를 이용하여 골 수치를 측정, 신체조성 분석을 위해 Body Composition(Inbody 4.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처리는 Windows용 SPSS 16.0을 이용하여 각 변인에 대한 기술통계치(mean±SD)를 산출 하였고, 운동군과 대조군의 집단별 검사를 비교하기 위해 Independent t-test를 실시, 시기별 실험 전과 실험 후를 검사하기위해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모든 분석에서 가설수락을 위한 기준은 p<.05로 설정 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2주간 탄성밴드를 이용한 근력강화운동 전·후에 대한 건강체력검사(Senior Fitness 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는데 상체근력(오른쪽), 상체근력(왼쪽), 하체근력, 근지구력, 평형성, 상체유연성, 하체유연성, 민첩성을 측정한 결과, 운동집단에서는 향상을 보였으며, 비교집단에서는 감소를 보여 평균값의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t검증(Paired t-test) 한 결과 상체근력(오른쪽), 상체근력(왼쪽), 평형성, 민첩성은 운동집단에서는 수치의 증가를 보였고, 비교집단에서는 수치의 감소를 보여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근력하체, 근지구력, 하체유연성의 평균의 차이는 수치의 증가 또는 감소를 보였으나 운동집단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상체유연성의 평균의 차이는 수치의 증가 또는 감소를 보였으나 비교집단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12주간 탄성밴드를 이용한 근력강화운동 전·후 신체조성에 대한 노인여성의 신체성분을 (Body Composition (Inbody 4.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는데, 체중, 골격근량, 체지방량, 제지방량, BMI, 복부지방률을 측정한 결과, 운동집단에서는 향상을 보였고, 비교집단에서는 감소를 보여 평균값의 차이는 있었으나 이러한 결과를 t검증(Paired t-test) 한 결과 모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3. 12주간 탄성밴드를 이용한 근력강화 운동 전·후에 골밀도에 대한 노인여성의 L2-L4 까지의 골 수치를 DEXA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는데 L2-L4의 BMD(g/㎠) 분석한 결과 운동집단에서는 수치의 증가를 보였고, 비교집단에서는 수치의 감소를 보여 평균값의 차이가 있었으나, 이러한 결과를 t검증(Paired t-test) 한 결과 운동집단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론을 볼 때 12주간 탄성밴드를 이용한 근력강화운동이 여성노인의 기초체력의 향상이나 골밀도 수치의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는 65세 이상인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12주간 탄성밴드를 이용한 근력강화운동을 수행하여 건강체력및 신체성분과 골밀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에 있는 K구 복지회관 노인정 건강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한 65세 이상의 여성노인 중 연구의 취지에 동의한 자로서 자립적으로 보행할 수 있는 24명을 선정하여 운동집단 12명과 비교집단 12명을 무선배정 하였다.
12주간의 운동프로그램은 운동집단(n=12)을 대상으로 하루 40분씩 주3회 실시 되었으며 밴드를 이용한 스트레칭과 근력운동으로 구성 되었다. 반면, 비교집단(n=12)은 실험처지를 하지 않았다. 운동집단은 실험 처지 이외의 운동은 모두 금하였으며, 비교집단은 모든 운동을 금하였다.
운동집단(n=12)과 비교집단(n=12) 모두 사전·후에 캘리포니아 주립대학에서 만들어진 측정방법으로 건강 체력 검사(Senior Fitness Test : SFT) Manual(2001)를 실시하여 기초체력을 측정하였고, 골밀도 측정기 DEXA(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를 이용하여 골 수치를 측정, 신체조성 분석을 위해 Body Composition(Inbody 4.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처리는 Windows용 SPSS 16.0을 이용하여 각 변인에 대한 기술통계치(mean±SD)를 산출 하였고, 운동군과 대조군의 집단별 검사를 비교하기 위해 Independent t-test를 실시, 시기별 실험 전과 실험 후를 검사하기위해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모든 분석에서 가설수락을 위한 기준은 p<.05로 설정 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2주간 탄성밴드를 이용한 근력강화운동 전·후에 대한 건강체력검사(Senior Fitness 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는데 상체근력(오른쪽), 상체근력(왼쪽), 하체근력, 근지구력, 평형성, 상체유연성, 하체유연성, 민첩성을 측정한 결과, 운동집단에서는 향상을 보였으며, 비교집단에서는 감소를 보여 평균값의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t검증(Paired t-test) 한 결과 상체근력(오른쪽), 상체근력(왼쪽), 평형성, 민첩성은 운동집단에서는 수치의 증가를 보였고, 비교집단에서는 수치의 감소를 보여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근력하체, 근지구력, 하체유연성의 평균의 차이는 수치의 증가 또는 감소를 보였으나 운동집단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상체유연성의 평균의 차이는 수치의 증가 또는 감소를 보였으나 비교집단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12주간 탄성밴드를 이용한 근력강화운동 전·후 신체조성에 대한 노인여성의 신체성분을 (Body Composition (Inbody 4.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는데, 체중, 골격근량, 체지방량, 제지방량, BMI, 복부지방률을 측정한 결과, 운동집단에서는 향상을 보였고, 비교집단에서는 감소를 보여 평균값의 차이는 있었으나 이러한 결과를 t검증(Paired t-test) 한 결과 모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3. 12주간 탄성밴드를 이용한 근력강화 운동 전·후에 골밀도에 대한 노인여성의 L2-L4 까지의 골 수치를 DEXA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는데 L2-L4의 BMD(g/㎠) 분석한 결과 운동집단에서는 수치의 증가를 보였고, 비교집단에서는 수치의 감소를 보여 평균값의 차이가 있었으나, 이러한 결과를 t검증(Paired t-test) 한 결과 운동집단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론을 볼 때 12주간 탄성밴드를 이용한 근력강화운동이 여성노인의 기초체력의 향상이나 골밀도 수치의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s of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with Elastic Band on Physical Fitnes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the Elderly Women.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24 women(aged 65 or older) who can walk independently were selected by random assignment from health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s of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with Elastic Band on Physical Fitnes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the Elderly Women.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24 women(aged 65 or older) who can walk independently were selected by random assignment from health education program of old people's Welfare Center in K-ku. The subject for this study was divided into two groups : the exercise group(n=12) took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and stretching with elastic band for 12 weeks(3 times per week and 40 minutes per day) and the other group(n=12) didn't exercise anything during the same time.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both of two groups measured basic physical fitness by SFT(Senior Fitness Test: SFT) Manual(2001) that made by California State University and measured bone level by bone density meter DEXA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Also, they measured by Body Composition (Inbody 4.0) for body composition analysis. Window SPSS/PC+(16.0 version) was used to analyse this study by conducting descriptive analysis,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be a = .05.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Mean of the exercise group increased than the non exercise group in upper body strength (right), upper body strength (left), lower body strength, muscle endurance, sense of balance, upper body flexibility, lower body flexibility and agility.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both of two groups differ according to upper body strength (right), upper body strength (left), sense of balance, agility. In exercise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lower body strength, muscle endurance and lower body flexibility. And only non exercise group differ according to upper body flexibility.
2. Mean of the exercise group increased than the non exercise group in weight, skeletal muscle, body fat, BMI, abdominal fat. But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3. Mean of the exercise group increased than the non exercise group in bone levels. And there wa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difference in exercise group only.
In conclusion, it shows that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with elastic band can give positive effects a increase of basic physical fitness and bone mineral density level in elderly wom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s of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with Elastic Band on Physical Fitnes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the Elderly Women.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24 women(aged 65 or older) who can walk independently were selected by random assignment from health education program of old people's Welfare Center in K-ku. The subject for this study was divided into two groups : the exercise group(n=12) took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and stretching with elastic band for 12 weeks(3 times per week and 40 minutes per day) and the other group(n=12) didn't exercise anything during the same time.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both of two groups measured basic physical fitness by SFT(Senior Fitness Test: SFT) Manual(2001) that made by California State University and measured bone level by bone density meter DEXA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Also, they measured by Body Composition (Inbody 4.0) for body composition analysis. Window SPSS/PC+(16.0 version) was used to analyse this study by conducting descriptive analysis,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be a = .05.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Mean of the exercise group increased than the non exercise group in upper body strength (right), upper body strength (left), lower body strength, muscle endurance, sense of balance, upper body flexibility, lower body flexibility and agility.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both of two groups differ according to upper body strength (right), upper body strength (left), sense of balance, agility. In exercise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lower body strength, muscle endurance and lower body flexibility. And only non exercise group differ according to upper body flexibility.
2. Mean of the exercise group increased than the non exercise group in weight, skeletal muscle, body fat, BMI, abdominal fat. But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3. Mean of the exercise group increased than the non exercise group in bone levels. And there wa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difference in exercise group only.
In conclusion, it shows that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with elastic band can give positive effects a increase of basic physical fitness and bone mineral density level in elderly woma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