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농촌·농업환경은 산업화 및 도시화에 따른 농촌인구의 감소, 도농 간의 소득격차 확대, 고령화, WTO 출범과 FTA 체결 등으로 국내외적인 여건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한편, 주 5일 근무제·수업제 도입으로 인한 여가시간 확대와 경제성장에 따른 소득증대는 도시민들의 여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농촌의 소득증대와 활성화를 목적으로 두면서 도시민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방안으로 농촌관광이 새로운 농촌개발전략의 하나로 각광받고 있다. 2000년 이후 농림부, 농촌진흥청을 비롯하여 각 부처에서 농촌지역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농촌마을개발사업들을 본격적으로 실시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농촌지역개발사업을 통해 다각적인 측면에서 지역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으나 최근 도농 간의 격차보다 농촌마을 간의 격차가 심화되고 있어 균형적 발전을 위한 활성화 방향을 도모하는 것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추진되어 왔던 경남지역 6개 농촌전통테마마을의 성과를 분석하여 향후 농촌마을 간의 균형 있는 발전 방향과 활성화 방안을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개발된 평가지표를 토대로 경남지역 6개 농촌전통테마마을을 선정하여 주민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정성적 지표와 정량적 지표의 데이터 도출에 필요한 조사표를 작성하여 마을주민 및 마을대표자를 대상으로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민의식조사 결과, 전체적인 만족도와 인지도가 높은 값을 나타내 사업운영이 마을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농촌관광사업의 목적인 소득증대와 주민참여에 의한 지역 활성화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문헌조사를 실시하여 성과지표와 평가방법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선행연구로부터 핵심 지표를 추출하고 농촌전통테마마을의 성과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평가목표체계를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성과지표는 인적 요소, 경제적 요소, 사회적 요소로 대분류 항목을 설정하였다. 3. 평가요인별 평가등급기준은 평가적용지역의 평균과 ...
우리나라 농촌·농업환경은 산업화 및 도시화에 따른 농촌인구의 감소, 도농 간의 소득격차 확대, 고령화, WTO 출범과 FTA 체결 등으로 국내외적인 여건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한편, 주 5일 근무제·수업제 도입으로 인한 여가시간 확대와 경제성장에 따른 소득증대는 도시민들의 여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농촌의 소득증대와 활성화를 목적으로 두면서 도시민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방안으로 농촌관광이 새로운 농촌개발전략의 하나로 각광받고 있다. 2000년 이후 농림부, 농촌진흥청을 비롯하여 각 부처에서 농촌지역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농촌마을개발사업들을 본격적으로 실시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농촌지역개발사업을 통해 다각적인 측면에서 지역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으나 최근 도농 간의 격차보다 농촌마을 간의 격차가 심화되고 있어 균형적 발전을 위한 활성화 방향을 도모하는 것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추진되어 왔던 경남지역 6개 농촌전통테마마을의 성과를 분석하여 향후 농촌마을 간의 균형 있는 발전 방향과 활성화 방안을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개발된 평가지표를 토대로 경남지역 6개 농촌전통테마마을을 선정하여 주민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정성적 지표와 정량적 지표의 데이터 도출에 필요한 조사표를 작성하여 마을주민 및 마을대표자를 대상으로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민의식조사 결과, 전체적인 만족도와 인지도가 높은 값을 나타내 사업운영이 마을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농촌관광사업의 목적인 소득증대와 주민참여에 의한 지역 활성화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문헌조사를 실시하여 성과지표와 평가방법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선행연구로부터 핵심 지표를 추출하고 농촌전통테마마을의 성과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평가목표체계를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성과지표는 인적 요소, 경제적 요소, 사회적 요소로 대분류 항목을 설정하였다. 3. 평가요인별 평가등급기준은 평가적용지역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등간격으로 설정하였으며, 사회적 요소에서 주민만족도, 사업이해도, 주민참여도는 정성적 요인으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한 등급 설정에 무리가 있어 상대적 평가를 통해 등간격을 실시하였다. 4. 평가요인에 대한 객관성 확보를 위해 전문가 그룹에 의한 평가를 실시하고 의사결정기법의 하나인 AHP법을 이용하여 요인간의 중요도를 산정하였다. 소분류 항목의 평가결과, 주민만족도(150), 주민참여도(145), 경제적효과(123), 민박가구수(101), 리더양성정도(96), 사업이해도(90) 순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이는 사업방식이 상향식으로 전개되면서 농가의 이익창출과 주민역량, 지도자양성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어 나타난 결과라 사료된다. 5. 본 연구에서 설정한 평가등급기준과 평가요인별 중요도를 이용하여 경남지역 6개 농촌전통테마마을에 적용한 결과, 남해 해바리 마을이 7,654점으로 가장 높았고 남해 다랭이 마을 7,334점, 산청 남사예담촌 6,626점, 함양 물레방아떡 마을 6,260점, 의령 산천렵 마을 5,206점, 밀양 꽃새미 마을 4,890점 순으로 평가량이 산정되었다. 6.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농촌전통테마마을의 효율적 추진 및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세 가지 측면에서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인적 측면에서는 리더 육성 프로그램 개발, 전입인구 유치, 노인활동증대 등, 경제적 측면에서는 도농교류 확대를 통한 다양한 고객 확보 및 숙박시설 등 편의시설 기반 구축, 농산물 판매와 체험프로그램의 다양화, 사회적 측면에서는 공동운영방식을 통한 공동체의식 회복, 주민 역량강화 및 홍보 마케팅 등을 향후 개선방향으로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농촌전통테마마을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지속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마을 리더양성 및 주민참여, 합리적인 운영방식, 지역특산물 개발 및 다양한 체험프로그램 개발 등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성과분석 결과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높은 성과를 나타내고 있는 마을은 효율적인 사업운영관리의 안정화를 모색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성과를 보이는 마을은 부문별 세부추진계획을 수립하여 활성화를 도모함으로서 농촌마을 간의 균형적인 발전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농촌·농업환경은 산업화 및 도시화에 따른 농촌인구의 감소, 도농 간의 소득격차 확대, 고령화, WTO 출범과 FTA 체결 등으로 국내외적인 여건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한편, 주 5일 근무제·수업제 도입으로 인한 여가시간 확대와 경제성장에 따른 소득증대는 도시민들의 여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농촌의 소득증대와 활성화를 목적으로 두면서 도시민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방안으로 농촌관광이 새로운 농촌개발전략의 하나로 각광받고 있다. 2000년 이후 농림부, 농촌진흥청을 비롯하여 각 부처에서 농촌지역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농촌마을개발사업들을 본격적으로 실시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농촌지역개발사업을 통해 다각적인 측면에서 지역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으나 최근 도농 간의 격차보다 농촌마을 간의 격차가 심화되고 있어 균형적 발전을 위한 활성화 방향을 도모하는 것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추진되어 왔던 경남지역 6개 농촌전통테마마을의 성과를 분석하여 향후 농촌마을 간의 균형 있는 발전 방향과 활성화 방안을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개발된 평가지표를 토대로 경남지역 6개 농촌전통테마마을을 선정하여 주민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정성적 지표와 정량적 지표의 데이터 도출에 필요한 조사표를 작성하여 마을주민 및 마을대표자를 대상으로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민의식조사 결과, 전체적인 만족도와 인지도가 높은 값을 나타내 사업운영이 마을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농촌관광사업의 목적인 소득증대와 주민참여에 의한 지역 활성화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문헌조사를 실시하여 성과지표와 평가방법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선행연구로부터 핵심 지표를 추출하고 농촌전통테마마을의 성과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평가목표체계를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성과지표는 인적 요소, 경제적 요소, 사회적 요소로 대분류 항목을 설정하였다. 3. 평가요인별 평가등급기준은 평가적용지역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등간격으로 설정하였으며, 사회적 요소에서 주민만족도, 사업이해도, 주민참여도는 정성적 요인으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한 등급 설정에 무리가 있어 상대적 평가를 통해 등간격을 실시하였다. 4. 평가요인에 대한 객관성 확보를 위해 전문가 그룹에 의한 평가를 실시하고 의사결정기법의 하나인 AHP법을 이용하여 요인간의 중요도를 산정하였다. 소분류 항목의 평가결과, 주민만족도(150), 주민참여도(145), 경제적효과(123), 민박가구수(101), 리더양성정도(96), 사업이해도(90) 순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이는 사업방식이 상향식으로 전개되면서 농가의 이익창출과 주민역량, 지도자양성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어 나타난 결과라 사료된다. 5. 본 연구에서 설정한 평가등급기준과 평가요인별 중요도를 이용하여 경남지역 6개 농촌전통테마마을에 적용한 결과, 남해 해바리 마을이 7,654점으로 가장 높았고 남해 다랭이 마을 7,334점, 산청 남사예담촌 6,626점, 함양 물레방아떡 마을 6,260점, 의령 산천렵 마을 5,206점, 밀양 꽃새미 마을 4,890점 순으로 평가량이 산정되었다. 6.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농촌전통테마마을의 효율적 추진 및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세 가지 측면에서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인적 측면에서는 리더 육성 프로그램 개발, 전입인구 유치, 노인활동증대 등, 경제적 측면에서는 도농교류 확대를 통한 다양한 고객 확보 및 숙박시설 등 편의시설 기반 구축, 농산물 판매와 체험프로그램의 다양화, 사회적 측면에서는 공동운영방식을 통한 공동체의식 회복, 주민 역량강화 및 홍보 마케팅 등을 향후 개선방향으로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농촌전통테마마을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지속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마을 리더양성 및 주민참여, 합리적인 운영방식, 지역특산물 개발 및 다양한 체험프로그램 개발 등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성과분석 결과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높은 성과를 나타내고 있는 마을은 효율적인 사업운영관리의 안정화를 모색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성과를 보이는 마을은 부문별 세부추진계획을 수립하여 활성화를 도모함으로서 농촌마을 간의 균형적인 발전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The government is doing various development projects of rural areas to revitalize the rural communities that are becoming hollow. In spite of the government's effort to recover rural communities, the difference between rural communities becomes larger than that between a urban community and a rural ...
The government is doing various development projects of rural areas to revitalize the rural communities that are becoming hollow. In spite of the government's effort to recover rural communities, the difference between rural communities becomes larger than that between a urban community and a rural community. Therefore, it is urgent to make a strategy for a balanced development of rural communities. The goal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indicators that are able to evaluate the accomplishment of the projects for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s and make developmental suggestions for a balanced development of rural communities using the indicators. The survey of the inhabitants and representatives of the six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s in Gyeongsangnam-do on the awareness and satisfaction of the rural development project that was going on was conducted. Human, economic, and social factors were selected as the evaluation indicators. In order to secure the objectivity of the indicators, the importance of the indicators was evaluated by experts. The importance of the performance indictors was analyzed by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The importance of the performance indictors was in the order of satisfaction of inhabitants(150), participation of inhabitants(145), economic effectiveness(123), lodging facilities(101), leader training(96), project cognizance(90), etc. As these evaluation methods were applied to the six villages, haebari village came first followed by darangyi village, namsayedam village, mulrebangatteok village and Yedong Mountain fishing village. This study proposed a way of improvement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rural communities in terms of human, economic and social aspects.
The government is doing various development projects of rural areas to revitalize the rural communities that are becoming hollow. In spite of the government's effort to recover rural communities, the difference between rural communities becomes larger than that between a urban community and a rural community. Therefore, it is urgent to make a strategy for a balanced development of rural communities. The goal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indicators that are able to evaluate the accomplishment of the projects for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s and make developmental suggestions for a balanced development of rural communities using the indicators. The survey of the inhabitants and representatives of the six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s in Gyeongsangnam-do on the awareness and satisfaction of the rural development project that was going on was conducted. Human, economic, and social factors were selected as the evaluation indicators. In order to secure the objectivity of the indicators, the importance of the indicators was evaluated by experts. The importance of the performance indictors was analyzed by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The importance of the performance indictors was in the order of satisfaction of inhabitants(150), participation of inhabitants(145), economic effectiveness(123), lodging facilities(101), leader training(96), project cognizance(90), etc. As these evaluation methods were applied to the six villages, haebari village came first followed by darangyi village, namsayedam village, mulrebangatteok village and Yedong Mountain fishing village. This study proposed a way of improvement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rural communities in terms of human, economic and social aspect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