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지역개발의 주민참여와 사업성과에 관한 사례 연구 - 미얀마 농촌공동체 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Villagers' Participation and Project Achievement in Rural Development - Focusing on Saemaul Undong Project in Myanmar -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6 no.3, 2020년, pp.79 - 89  

이승원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심성희 (한국농어촌공사 국제교육교류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Republic of Korea had been registered as the 24th member of OECD DAC in 2009, recent trend of Korea's ODA has showed drastic increase including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sector. Particularly, various rural development projects have been implemented adopting development experienc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사업은 마을간 사업성과 향상을 위한 건전한 상호 경쟁을 촉진하기 위해 연차별 마을사업 성과에 기반하여 차년도에 기본 사업비 이외에 인센티브를 차등 지급하는 평가 및 보상체계를 도입하였다. 지역/주 정부 사업시행위원회는 매년 말 사업이 종료되면 다음 해 1월 중에 소속 마을에서 제출한 사업시행보고서 및 점검결과를 중앙조정위원회에 제출하게 된다.
  • 본 연구는 미얀마 농촌공동체 개발사업의 실측 데이터를 바탕으로 마을 주민참여와 마을개발 사업성과와의 상관관계를 선형 회귀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회귀분석은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를 파악하여 독립변수의 특정치에 대응하는 종속변수 값을 예측하는 선형모형을 산출하는 방법이다.
  • 본 연구는 미얀마에서 새마을 방법론으로 시행된 ‘미얀마 농촌공동체 개발사업’을 대상으로 주민참여와 농촌 지역 마을개발 사업성과와의 상관관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개도국을 대상으로 하는 주민참여형 농촌공동체 개발사업의 주민 참여와 관련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미얀마에서 시행된 새마을운동 방법론을 도입한 농촌개발 ODA 사업사례를 중심으로 마을단위 공동체 기반의 농촌개발사업에서 주민참여가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국내 재원으로 국가정책 차원에서 시행된 한국의 새마을운동과 개도국 ODA로 시행된 새마을 방법론의 농촌공동체 개발 시범사업에는 국가별 여건, 재원과 사업추진 방식 등에서 차이와 한계가 명확하다.
  • 임상봉(2017)은 새마을 접근법의 특징을 바탕으로 미얀마 농업 및 농촌개발 방안으로 정부의 적극적 역할, 의식개혁과 생산기반 및 농업생산성 향상의 병행추진, 시범사업을 통한 성과확산, 마을지도자 육성과 주민참여 촉진, 무농지 농가 배려, 사업성과 발굴 및 입증 등을 의미론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해외 ODA사업으로 개도국 현지에서 시행된 새마을 방법론을 도입한 사업의 실증적 데이터 분석으로 논리를 객관적으로 뒷받침하였다는데 기존의 연구와는 차별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주민참여의 개념을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공동체 발전을 위해 경제적, 물질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행위로 정의하고, 마을에서 주민들이 실제 참여한 활동영역인 역량강화, 생활환경개선, 소득증대의 세 가지 분야로 주민참여를 분석하여 연구하였다.2)
  • , 2016), 적용 사례 소개(Noh, 2013), 유사 사업간 비교(Tran, 2016), 성과 분석(So, 2007)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나 주민참여와 사업의 성과에 대한 실증연구는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지에서 시행된 사업의 실측 데이터에 기반하여 주민참여의 다양한 영역과 사업의 성과를 수치화하였으며, 이에 대한 실증 분석을 통해 논리를 객관적으로 뒷받침하면서 기존연구와 차별화 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마을공동체 사업을 이루고 있는 역량강화, 생활환경개선, 소득증대의 세 가지 세부 사업 분야에 투입된 주민들의 자부담액을 각각의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연차별 사업평가 점수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이들 변수간 상관관계와 영향력의 크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농촌개발에 대한 주민참여를 주민들이 사업에 공여한 총 금액만으로 산출한 것은 본 연구의 한계이다.
  •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미얀마 농축산관개부(MOALI)가 2014년 11월부터 2,200만 불의 예산으로 5년간 시행한 미얀마 농촌공동체개발 사업은 새마을 운동으로 대표되는 한국 농촌개발의 실증된 성공 경험과 지식을 토대로 미얀마 농촌개발을 위한 성공적인 모델을 전파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ε은 종속변수의 변량 중 모형으로 설명하지 못하는 변량인 오차(Error)이며, 평균이 0이고 분산이 σ2인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ang, J., 2012, A Study of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for the Activation of Saemaul ODA: Focus on Asian, The Korean Association of Asian Studies, 15(3), 57-77. 

  2. Choi, M., Jeong, M., 2015, The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on citizen participation, The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49(2), 273-306. 

  3. Eom D. et al., 2005, A study on ex-post evaluation and management system of rural experience village, Ministry of Agriculture 

  4. Ha, H., Yoon, E., 2012, A Theoretical Study on Local Politics and Resident Participation, The East Asian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Studies, 15(1), 157-182. 

  5. Heo, J., Lee Y., 2016, International Dissemination of Saemaul Undong for Rural Development of Developing Countrie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24, 1-24. 

  6. Hwang, H., 2007, The Selection of Evaluation Items and the Estimation of Its Weight for Rural Development Progra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3(2), 18. 

  7. Han, K. et al., 2007,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System for the Interim Check of Integrated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3(2), 122. 

  8. Im, S., 2017,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Measures Through Saemaul Undong Approach in Myanmar, the Journal of the Kor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29(2):1-9(2017) 

  9. Jeong, M., 2016, A Study of Success and Failure in Community Development in Asia,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8(4), 1-25. 

  10. Jeong, G., 2009, Policy Experience and Application of Korea Saemaul Undong in 1970, Korea Development Institute, 46. 

  11. Korea EXIM Bank, 2020, ODA in Numbers : 2019 World ODA Statistic Data Book, Korea EXIM Bank, 41 

  12. Kim H., 2006, A Study on the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Rural Villag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2(3), 1-11. 

  13. Kim K. et al., 2006, Development of An Interim Evaluation System for Integrated Rural Village Cluster Development Projec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2(2), 72. 

  14. Lee, C., 2017, Text analysis and Implication of Presidents' Speeches regarding Saemaul Undong : 1972-2012, Yeungnam University. 

  15. Lee, J ., Bae, Y., Kim, T ., Lee, J., Suh, K ., 2013, Quantitative Effect Evaluation and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of Rural Development Proje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9(2), 108. 

  16. Lee, S., Park, J., 2009, Participation Decision for Rural Development as a Two-Step Process, Northeast Asia Tourism Research, 5(2), 77-89. 

  17. Lee, Y., Choi O., 2013, Motivations of the Bottom-Up Community Development: Trust & Sense of Community: - A Case of Saemaul Undong in Korea at 1970 -, Kore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21(1), 20. 

  18. Nam, H., 2017, Effectiveness of Saemaul Pilot Villages in Africa, Kyungwoon University. 

  19. Noh S., 2013, A Basic Study to Develop Glocalization Model of Global Saemaul Undong: Focused on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Institute of Korean Cultural Studies Yeungnam University. 

  20. OECD, 2016, A New Rural Development Paradigm for the 21st Century : A Toolkit for Developing Countries, OECD 

  21. Park, S., Ko, K., 2013, Policy Transfer and Modification of Saemaul Undong Internationally: A Case Study of Saemaul Undong in Laos and Cambodia,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51(4), 127-166. 

  22. Roh Y., 2006, Research Articles : Developing Business Performance Indicator for a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 Project: An Application of Analytic Hierarchy Program,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Sciences, 30(4), 191. 

  23. So, J., 2007, The outcome evaluation of the pilot project of Saemaul Undong in Asian developing countries: Lao PDR and Cambodia,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19(4), 179-202. 

  24. Suh, K. et al., 2006, Development of a Scoring Model for Evaluatingthe Rural Healthyand Longevity Village Project using DEA and AH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2(4), 10. 

  25. Tran H., 2016, A Comparative Study on Implementation Mechanism and Effect of Saemaeul Movement in Korea and New Rural Development Movement in Vietnam, Hanyang University. 

  26. Vongsakda V., Yi Y., 2017, Sam Sang Rural Community Development Model of Lao PDR in Approach to Successful Implementation,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24(2), 143-154. 

  27. WorldBank, https://data.worldbank.org/country/myanmar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