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이강백의 작품 속에 표출된 집단의 상황과 개인의 행동 양상을 고찰하여 작가의 현실인식과 사회반영 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Ⅱ장 1절에서는 「다섯」, 「알」, 「파수꾼」, 「셋」, 「내마」, 「미술관에서의 혼돈과 정리」 등의 작품을 중심으로 억압세력이 짓누르고 있는 집단의 상...
본고는 이강백의 작품 속에 표출된 집단의 상황과 개인의 행동 양상을 고찰하여 작가의 현실인식과 사회반영 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Ⅱ장 1절에서는 「다섯」, 「알」, 「파수꾼」, 「셋」, 「내마」, 「미술관에서의 혼돈과 정리」 등의 작품을 중심으로 억압세력이 짓누르고 있는 집단의 상황과 이에 조응하는 개인의 절망적인 형상을 살펴보았다. 이강백은 개인을 함몰시키는 집단의 속성을 작품을 통해 적나라하게 드러냄으로써 그의 현실인식을 표출한다.
2절에서는 「북어 대가리」, 「자살에 관하여」, 「통 뛰어넘기」, 「불지른 남자」, 「결혼」, 「내가 날씨에 변할 사람 같소?」, 「보석과 여인」, 「동지섣달 꽃 본 듯이」, 「영자와 진택」 등의 작품을 중심으로 실존적 위기에 처해 있는 집단의 상황을 살펴보았다. 이강백은 혼란한 사회적 상황 속에서 인간의 가치를 실현하는 것, 이것이 이강백이 인식하는 현실의 참된 모습이며 끊임없이 지향하는 작품 세계라고 할 수 있다.
3절에서는 「족보」, 「쥬라기의 사람들」, 「봄날」, 「비옹사옹」, 「유토피아를 먹고 잠들다」, 「수전노, 변함없는」, 「물고기 남자」, 「마르고 닳도록」, 「오, 맙소사」, 「호모 세파라투스」, 「칠산리」, 「들판에서」 등의 작품을 중심으로 자본 이데올로기의 지배 속에서 사회적 모순이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집단의 상황을 살펴보았다. 이강백에게 이기적이고 어리석은 개인은 정치적 권력 못지않게 비판의 대상이 된다.
4절에서는 「물거품」, 「뼈와 살」, 「영월행 일기」, 「느낌, 극락같은」, 「배우 우배」, 「진땀 흘리기」 등의 작품을 중심으로 가시와 불가시의 대립적 상황을 살펴보았다. 이 상황에서 개인의 행위 양상은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탐구로 기울고 있다.
Ⅲ장에서는 이강백 희곡의 의의와 한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주제의식과 되풀이 되는 극적 구조로 인해 느껴지는 식상함은 이강백 희곡의 한계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또한 작의적으로 설정된 인물임이 쉽게 간파되어 극중 리얼리티를 상실하게 된다. 하지만 이강백의 작품은 주제가 당대의 시대적인 것과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그의 희곡이 사회적 반영의 측면에서 충실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이강백의 극작술은 반사실주의 연극의 외형을 지닌 현대 한국 연극이 그 원천을 한국인의 삶과 그 삶의 양식, 의식과 감정을 바탕으로 수립되어야 함을 인식한 극작술이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강백은 현재 활발한 활동은 하고 있는 극작가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새로운 연구는 이전 작품과의 연결선상에서 출발해야 할 것이며 이전 작품과 새로운 작품의 연관성 및 일관성을 추적해 나간다면 더욱 깊이 있는 논의가 될 것이다.
본고는 이강백의 작품 속에 표출된 집단의 상황과 개인의 행동 양상을 고찰하여 작가의 현실인식과 사회반영 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Ⅱ장 1절에서는 「다섯」, 「알」, 「파수꾼」, 「셋」, 「내마」, 「미술관에서의 혼돈과 정리」 등의 작품을 중심으로 억압세력이 짓누르고 있는 집단의 상황과 이에 조응하는 개인의 절망적인 형상을 살펴보았다. 이강백은 개인을 함몰시키는 집단의 속성을 작품을 통해 적나라하게 드러냄으로써 그의 현실인식을 표출한다.
2절에서는 「북어 대가리」, 「자살에 관하여」, 「통 뛰어넘기」, 「불지른 남자」, 「결혼」, 「내가 날씨에 변할 사람 같소?」, 「보석과 여인」, 「동지섣달 꽃 본 듯이」, 「영자와 진택」 등의 작품을 중심으로 실존적 위기에 처해 있는 집단의 상황을 살펴보았다. 이강백은 혼란한 사회적 상황 속에서 인간의 가치를 실현하는 것, 이것이 이강백이 인식하는 현실의 참된 모습이며 끊임없이 지향하는 작품 세계라고 할 수 있다.
3절에서는 「족보」, 「쥬라기의 사람들」, 「봄날」, 「비옹사옹」, 「유토피아를 먹고 잠들다」, 「수전노, 변함없는」, 「물고기 남자」, 「마르고 닳도록」, 「오, 맙소사」, 「호모 세파라투스」, 「칠산리」, 「들판에서」 등의 작품을 중심으로 자본 이데올로기의 지배 속에서 사회적 모순이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집단의 상황을 살펴보았다. 이강백에게 이기적이고 어리석은 개인은 정치적 권력 못지않게 비판의 대상이 된다.
4절에서는 「물거품」, 「뼈와 살」, 「영월행 일기」, 「느낌, 극락같은」, 「배우 우배」, 「진땀 흘리기」 등의 작품을 중심으로 가시와 불가시의 대립적 상황을 살펴보았다. 이 상황에서 개인의 행위 양상은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탐구로 기울고 있다.
Ⅲ장에서는 이강백 희곡의 의의와 한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주제의식과 되풀이 되는 극적 구조로 인해 느껴지는 식상함은 이강백 희곡의 한계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또한 작의적으로 설정된 인물임이 쉽게 간파되어 극중 리얼리티를 상실하게 된다. 하지만 이강백의 작품은 주제가 당대의 시대적인 것과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그의 희곡이 사회적 반영의 측면에서 충실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이강백의 극작술은 반사실주의 연극의 외형을 지닌 현대 한국 연극이 그 원천을 한국인의 삶과 그 삶의 양식, 의식과 감정을 바탕으로 수립되어야 함을 인식한 극작술이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강백은 현재 활발한 활동은 하고 있는 극작가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새로운 연구는 이전 작품과의 연결선상에서 출발해야 할 것이며 이전 작품과 새로운 작품의 연관성 및 일관성을 추적해 나간다면 더욱 깊이 있는 논의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aspect of recognition of actuality and criticism of society in Lee, Kang-Baek’s work through studying the aspects of the situation of a group and an individual’s actions.
In Scene II, Line 1, a person’s correspondence to despair is examined throu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aspect of recognition of actuality and criticism of society in Lee, Kang-Baek’s work through studying the aspects of the situation of a group and an individual’s actions.
In Scene II, Line 1, a person’s correspondence to despair is examined through producing the oppression influence over the group through different work such as “Five,” “Egg,” “A Watchman,” “Three,” “Smoke,” and “Chaos and Reason in Art Gallery.” Lee Kang-Baek expresses his actuality recognition frankly through showing the characteristic of a group that facilitates collapse of an individual.
In Line 2, the existence emergency faced by a group is focused through “Head of a Dried Pollack,” “About Suicide,” “Jumping Over A Cask,” “The Man Who Set Fire,” “Wedding,” “Do You Think I Will Change with the Weather?,” “Jewelry and Woman,” “Like Looking at the Flowers in November and December,” and “Young-Ja and Jin-Taek.” Lee, Kang-Baek believes in the realization of human being’s value in a chaotic situation in society. This is the true figure of reality for Lee, Kang-Baek and this is his intentions in writing.
In Line 3, the society being pressured by the capital ideology is plainly described through literatures such as “A Pedigree,” “People of Jurassic,” “Spring Day,” “A Trance,” “Fall Asleep After Eating Utopia,” “A Miser, Unchangeable,” and “Fish Man,” “Dry and Wear Our,” “Oh Good God!,” “Homo Separatus,” “Chilsan-ri,” “From the Prarie.” In Lee Kang-Baek’s work, selfish and foolish person is criticized more than political power.
In Line 4, he examined the opposition of visibility versus non-visibility centered around literatures such as “Bubble,” “Bone and Flesh,” “Dirary to Yongwol,” “Feeling, Supreme Happiness,” “Actor Rotca,” and “Spilling Sweat.”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leaning toward not showing the aspect of personal action.
In Scene III,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Lee Kang-Baek’s play were examined. The limitations of his play were the repetition of dramatic rescue and abstract and intentional motif awareness surfeits the audience.
Additionally, it loses the sense of reality because the characters are easily penetrated as make-believe characters. On the other hand, because the main topic of Lee Kang-Baek’s work closely relates to its era, his plays are true in reflecting the social situation. Lee, Kang-Baek’s dramaturgy is meaningful because it consists of an external form of an anti-realistic play which is established based on the Korean people’s lives. This is meaningful because modern Korean plays must establish its origins based on the life forms of Koreans, Korean’s consciousness, and Korean’s sentiments
There will be more research on author Lee, Kang-Baek because he is still actively working in his field. It would be necessary for his next work to have some kind of a connection to his prior work and if studies pursue the connection and the consistency of his prior work and new work, it will have a deeper argumentative side to the thesi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aspect of recognition of actuality and criticism of society in Lee, Kang-Baek’s work through studying the aspects of the situation of a group and an individual’s actions.
In Scene II, Line 1, a person’s correspondence to despair is examined through producing the oppression influence over the group through different work such as “Five,” “Egg,” “A Watchman,” “Three,” “Smoke,” and “Chaos and Reason in Art Gallery.” Lee Kang-Baek expresses his actuality recognition frankly through showing the characteristic of a group that facilitates collapse of an individual.
In Line 2, the existence emergency faced by a group is focused through “Head of a Dried Pollack,” “About Suicide,” “Jumping Over A Cask,” “The Man Who Set Fire,” “Wedding,” “Do You Think I Will Change with the Weather?,” “Jewelry and Woman,” “Like Looking at the Flowers in November and December,” and “Young-Ja and Jin-Taek.” Lee, Kang-Baek believes in the realization of human being’s value in a chaotic situation in society. This is the true figure of reality for Lee, Kang-Baek and this is his intentions in writing.
In Line 3, the society being pressured by the capital ideology is plainly described through literatures such as “A Pedigree,” “People of Jurassic,” “Spring Day,” “A Trance,” “Fall Asleep After Eating Utopia,” “A Miser, Unchangeable,” and “Fish Man,” “Dry and Wear Our,” “Oh Good God!,” “Homo Separatus,” “Chilsan-ri,” “From the Prarie.” In Lee Kang-Baek’s work, selfish and foolish person is criticized more than political power.
In Line 4, he examined the opposition of visibility versus non-visibility centered around literatures such as “Bubble,” “Bone and Flesh,” “Dirary to Yongwol,” “Feeling, Supreme Happiness,” “Actor Rotca,” and “Spilling Sweat.”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leaning toward not showing the aspect of personal action.
In Scene III,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Lee Kang-Baek’s play were examined. The limitations of his play were the repetition of dramatic rescue and abstract and intentional motif awareness surfeits the audience.
Additionally, it loses the sense of reality because the characters are easily penetrated as make-believe characters. On the other hand, because the main topic of Lee Kang-Baek’s work closely relates to its era, his plays are true in reflecting the social situation. Lee, Kang-Baek’s dramaturgy is meaningful because it consists of an external form of an anti-realistic play which is established based on the Korean people’s lives. This is meaningful because modern Korean plays must establish its origins based on the life forms of Koreans, Korean’s consciousness, and Korean’s sentiments
There will be more research on author Lee, Kang-Baek because he is still actively working in his field. It would be necessary for his next work to have some kind of a connection to his prior work and if studies pursue the connection and the consistency of his prior work and new work, it will have a deeper argumentative side to the thesi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