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이강백 희곡「봄날」과「동지섣달 꽃 본 듯이」를 대상으로 하여 ‘연극성’의 개념과 극적효과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강백에 대해서는 80년대 이르러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대부분의 논의는 주로 작품의 내용적인 측면을 다루고 있다. 특히, 우의적 기법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며 반사실주의 작품세계를 지닌 작가들을 논의할 때 언급되고 있고 있을 뿐 이강백 작품의 연극성에 대하여 본격적으로 논의된 논문은 없었다. 이에 이 글에서는 개별 작품의 구체적 분석을 통해 연극적 요소를 파악하고 이러한 연극성이 작품의 주제를 형상화 시키는데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강백은 1970년대 반사실주의적 연극들이 본격적으로 공연될 무렵에 데뷔하여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이강백 희곡에 나타나는 기법적 특질 중 하나인 ...
이 논문은 이강백 희곡「봄날」과「동지섣달 꽃 본 듯이」를 대상으로 하여 ‘연극성’의 개념과 극적효과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강백에 대해서는 80년대 이르러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대부분의 논의는 주로 작품의 내용적인 측면을 다루고 있다. 특히, 우의적 기법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며 반사실주의 작품세계를 지닌 작가들을 논의할 때 언급되고 있고 있을 뿐 이강백 작품의 연극성에 대하여 본격적으로 논의된 논문은 없었다. 이에 이 글에서는 개별 작품의 구체적 분석을 통해 연극적 요소를 파악하고 이러한 연극성이 작품의 주제를 형상화 시키는데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강백은 1970년대 반사실주의적 연극들이 본격적으로 공연될 무렵에 데뷔하여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이강백 희곡에 나타나는 기법적 특질 중 하나인 알레고리는 당시 경직된 사회 현실을 우회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선택되었는데 이는 또한 모든 시대와 장소에 적용될 수 있다는 보편성을 취하고 있다. 이강백은 이러한 기법을 통하여 정치 사회 현실에 대한 문제를 작품 안에서 승화 시키고 있으며, 동시에 인간 실존의 내면에 관한 문제에 또한 천착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인간과 세계와의 관계를 작품을 통해 끊임없이 모색하고 있다. <봄날>과 <동지섣달 꽃 본 듯이>는 이강백 희곡 중 설화적 요소와 겹침구조를 차용하며 문학성과 더불어 풍부한 연극성을 지니고 있는 작품이다. 따라서 이 극에서 이강백이 구사하고 있는 기법적 특성을 통하여 그 연극성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이 문제를 다루기 위해 Ⅱ장에서는 이강백 희곡의 주된 작품세계를 살펴보았다. 정치 사회 현실에 대한 관심과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에 대한 이항대립적 세계관에 대한 작가의 끊임없는 천착은 다양한 관점으로 형상화 되고 있는데 주로 알레고리적 기법을 통하여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연극성의 의미를 해석하기 위해 희곡이 갖고 있는 문학과 상연예술에서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그 특질을 분석했다. Ⅲ장에서는 작품 <봄날>을 대상으로 극적 장치를 통하여 나타나는 연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봄날>은 이강백이 1970년대 알레고리 기법에 대한 한계성을 극복하고자 하는 시점인 80년대 초반에 나온 작품으로 설화적 요소와 서사극적 기법을 통해 단순성과 관념성을 지양하고 있다. 또한 이 시기의 가장 눈에 띠는 변화는 상황과 개인의 대립이라는 서양적 세계관에서 대립적 세계의 극복과 화해라는 동양적 세계관으로 그 관점이 옮겨오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세계관의 변화는 기법적 형식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봄날>은 내용의 이원성과 형식의 이원성을 취하고 있는데 이러한 이중구조는 알레고리의 의미망을 더욱 풍부하고 다층적으로 형상화 하고 있다. 또한 서사극적 기법의 차용은 그 해석적 관점에 많은 논란을 가져 왔는데 이러한 연극적 요소가 작품 내에서 어떠한 기능을 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강백 극작의 특징인 알레고리화에 대하여 그가 우의적 기법을 선택하게 된 동기와 이 방식이 지닌 장점과 한계에 대하여 작품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Ⅳ장에서는 작품 <동지섣달 꽃 본 듯이>를 대상으로 설화적 소재의 차용과 더불어 점점 무르익고 있는 다원구조의 형식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 작품은 연극의 해에 공연된 작품으로써 ‘연극에 대한 연극’을 보여주려는 의도를 가지고 만들어졌기 때문에 메타연극적 기법을 취하고 있다. 셰익스피어의 ‘세상이 곧 무대요, 인생이 연극’이라는 사상처럼 연극을 통해 인생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연극성은 다양한 오브제의 활용에 의해 더욱 극대화 되고 있는데 작품에서 오브제가 어떠한 방식으로 쓰이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으로 하여금 이강백 희곡에 나타난 연극성을 개별 작품의 분석을 통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이강백은 현재까지도 활발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현역 작가이기 때문에 그의 작품에 대해서는 더욱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 논문은 이강백 희곡「봄날」과「동지섣달 꽃 본 듯이」를 대상으로 하여 ‘연극성’의 개념과 극적효과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강백에 대해서는 80년대 이르러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대부분의 논의는 주로 작품의 내용적인 측면을 다루고 있다. 특히, 우의적 기법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며 반사실주의 작품세계를 지닌 작가들을 논의할 때 언급되고 있고 있을 뿐 이강백 작품의 연극성에 대하여 본격적으로 논의된 논문은 없었다. 이에 이 글에서는 개별 작품의 구체적 분석을 통해 연극적 요소를 파악하고 이러한 연극성이 작품의 주제를 형상화 시키는데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강백은 1970년대 반사실주의적 연극들이 본격적으로 공연될 무렵에 데뷔하여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이강백 희곡에 나타나는 기법적 특질 중 하나인 알레고리는 당시 경직된 사회 현실을 우회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선택되었는데 이는 또한 모든 시대와 장소에 적용될 수 있다는 보편성을 취하고 있다. 이강백은 이러한 기법을 통하여 정치 사회 현실에 대한 문제를 작품 안에서 승화 시키고 있으며, 동시에 인간 실존의 내면에 관한 문제에 또한 천착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인간과 세계와의 관계를 작품을 통해 끊임없이 모색하고 있다. <봄날>과 <동지섣달 꽃 본 듯이>는 이강백 희곡 중 설화적 요소와 겹침구조를 차용하며 문학성과 더불어 풍부한 연극성을 지니고 있는 작품이다. 따라서 이 극에서 이강백이 구사하고 있는 기법적 특성을 통하여 그 연극성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이 문제를 다루기 위해 Ⅱ장에서는 이강백 희곡의 주된 작품세계를 살펴보았다. 정치 사회 현실에 대한 관심과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에 대한 이항대립적 세계관에 대한 작가의 끊임없는 천착은 다양한 관점으로 형상화 되고 있는데 주로 알레고리적 기법을 통하여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연극성의 의미를 해석하기 위해 희곡이 갖고 있는 문학과 상연예술에서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그 특질을 분석했다. Ⅲ장에서는 작품 <봄날>을 대상으로 극적 장치를 통하여 나타나는 연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봄날>은 이강백이 1970년대 알레고리 기법에 대한 한계성을 극복하고자 하는 시점인 80년대 초반에 나온 작품으로 설화적 요소와 서사극적 기법을 통해 단순성과 관념성을 지양하고 있다. 또한 이 시기의 가장 눈에 띠는 변화는 상황과 개인의 대립이라는 서양적 세계관에서 대립적 세계의 극복과 화해라는 동양적 세계관으로 그 관점이 옮겨오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세계관의 변화는 기법적 형식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봄날>은 내용의 이원성과 형식의 이원성을 취하고 있는데 이러한 이중구조는 알레고리의 의미망을 더욱 풍부하고 다층적으로 형상화 하고 있다. 또한 서사극적 기법의 차용은 그 해석적 관점에 많은 논란을 가져 왔는데 이러한 연극적 요소가 작품 내에서 어떠한 기능을 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강백 극작의 특징인 알레고리화에 대하여 그가 우의적 기법을 선택하게 된 동기와 이 방식이 지닌 장점과 한계에 대하여 작품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Ⅳ장에서는 작품 <동지섣달 꽃 본 듯이>를 대상으로 설화적 소재의 차용과 더불어 점점 무르익고 있는 다원구조의 형식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 작품은 연극의 해에 공연된 작품으로써 ‘연극에 대한 연극’을 보여주려는 의도를 가지고 만들어졌기 때문에 메타연극적 기법을 취하고 있다. 셰익스피어의 ‘세상이 곧 무대요, 인생이 연극’이라는 사상처럼 연극을 통해 인생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연극성은 다양한 오브제의 활용에 의해 더욱 극대화 되고 있는데 작품에서 오브제가 어떠한 방식으로 쓰이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으로 하여금 이강백 희곡에 나타난 연극성을 개별 작품의 분석을 통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이강백은 현재까지도 활발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현역 작가이기 때문에 그의 작품에 대해서는 더욱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This thesis aims at studying the dramatic effect and property about Lee, gang baek's play and . It started the study about Lee gang baek in 1980s, but the theses mainly deal with the contents of the plays. Especially, they lively studied about the allegorical technique and only considered him as an...
This thesis aims at studying the dramatic effect and property about Lee, gang baek's play and . It started the study about Lee gang baek in 1980s, but the theses mainly deal with the contents of the plays. Especially, they lively studied about the allegorical technique and only considered him as anti-realism writer. There were no theses which studied about the dramatic property. So I tried to examine what dramatic property is and how this effect on the theme through analyze the plays in this paper. Lee, gang baek started writing plays in 1970s that anti-realism plays lively were performed. He chose the allegory to express the stiffness of society at that time, and this also has the universality that is applied to every age and place. He sublimes the political and social problems at that time with this technique and simultaneously digs into the problem about human existence. Also he constantly trie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world. The and of Lee, gang baek's plays are the works which borrowed the elements of fable and the structures of overlap. These plays abound in literary accomplishment and dramatic property. Therefore I try to search for the dramatic property with special technique that he uses. I observe the world of his works in part Ⅱ to deal with this subject. He expresses the constant concern about political and social problems and the world view about binomial opposition between in sight and out of sight with the allegorical technique. And I analyze the literary nature and the use in performance with his play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dramatic property. I analyze the dramatic property through dramatic equipments of the play in part Ⅲ. He intends to the simplicity and ideality with an elements of fable and a narrative techniques in the play that he tries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allegorical technique in 1980s. Also the major change in this period is a transfer from the western world view of the oppositions between circumstance and person to oriental world view of the conquest and reconciliation those oppositions. This change of the world view causes a change of the technique. The dual structure that the duality of contents and the duality of formality in the play enriches the meaning of allegory. I inquire into how the narrative technique contribute to the play and why he choose allegorical technique that contains merit and demerit. I examine a borrowing of the technique of fable and the plural structure with the play. This play that performed in the year of play adopts the technique of meta-play because it has intention to see ' play about play' . It shows the life with play as the Shakespearian thought ' this world is the stage, our life is the play ' Also I observe how he uses the stage properties to make maximum value dramatic property. I try to present the dramatic property in Lee, gang baek's plays with analyzing his plays. It needs the earnest studies about him because he writes play lively until now.
This thesis aims at studying the dramatic effect and property about Lee, gang baek's play and . It started the study about Lee gang baek in 1980s, but the theses mainly deal with the contents of the plays. Especially, they lively studied about the allegorical technique and only considered him as anti-realism writer. There were no theses which studied about the dramatic property. So I tried to examine what dramatic property is and how this effect on the theme through analyze the plays in this paper. Lee, gang baek started writing plays in 1970s that anti-realism plays lively were performed. He chose the allegory to express the stiffness of society at that time, and this also has the universality that is applied to every age and place. He sublimes the political and social problems at that time with this technique and simultaneously digs into the problem about human existence. Also he constantly trie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world. The and of Lee, gang baek's plays are the works which borrowed the elements of fable and the structures of overlap. These plays abound in literary accomplishment and dramatic property. Therefore I try to search for the dramatic property with special technique that he uses. I observe the world of his works in part Ⅱ to deal with this subject. He expresses the constant concern about political and social problems and the world view about binomial opposition between in sight and out of sight with the allegorical technique. And I analyze the literary nature and the use in performance with his play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dramatic property. I analyze the dramatic property through dramatic equipments of the play in part Ⅲ. He intends to the simplicity and ideality with an elements of fable and a narrative techniques in the play that he tries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allegorical technique in 1980s. Also the major change in this period is a transfer from the western world view of the oppositions between circumstance and person to oriental world view of the conquest and reconciliation those oppositions. This change of the world view causes a change of the technique. The dual structure that the duality of contents and the duality of formality in the play enriches the meaning of allegory. I inquire into how the narrative technique contribute to the play and why he choose allegorical technique that contains merit and demerit. I examine a borrowing of the technique of fable and the plural structure with the play. This play that performed in the year of play adopts the technique of meta-play because it has intention to see ' play about play' . It shows the life with play as the Shakespearian thought ' this world is the stage, our life is the play ' Also I observe how he uses the stage properties to make maximum value dramatic property. I try to present the dramatic property in Lee, gang baek's plays with analyzing his plays. It needs the earnest studies about him because he writes play lively until now.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