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뉴스포츠를 활용하여 체육수업을 진행하는 체육교사들의 뉴스포츠에 관한 경험과 인식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탐색하여 체육수업에 뉴스포츠 활용을 위한 폭 넓은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뉴스포츠를 활용하여 체육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체육교사 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체육교사들은 체육수업에 대한 고민에서 새로운 내용의 수업을 필요로 하여 뉴스포츠를 체육수업에 도입하게 되었으며 도입...
이 연구는 뉴스포츠를 활용하여 체육수업을 진행하는 체육교사들의 뉴스포츠에 관한 경험과 인식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탐색하여 체육수업에 뉴스포츠 활용을 위한 폭 넓은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뉴스포츠를 활용하여 체육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체육교사 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체육교사들은 체육수업에 대한 고민에서 새로운 내용의 수업을 필요로 하여 뉴스포츠를 체육수업에 도입하게 되었으며 도입의 어려움에는 행정가와의 마찰, 동료교사와의 마찰, 기자재 확보의 어려움 등이 있었다. 하지만 뉴스포츠 도입의 어려움에도 학생들이 좋아하고 학생들에게 필요한 스포츠라는 것을 인식하였기에 뉴스포츠의 도입을 포기할 수 없었다. 뉴스포츠에 대한 인식은 경험하기 전에는 부정적 인식이 많았으나 연수와 우연한 기회에 뉴스포츠를 경험하면서 긍정적 인식으로 변화되었고 이것은 뉴스포츠 도입의 큰 힘이 되었다. 둘째, 체육교사들은 뉴스포츠를 체육수업에 할용 하는 것에 있어서 근대스포츠를 보완하고 대안적인 스포츠라는 인식을 많이 하였으며, 뉴스포츠를 체육수업에 활용하기 위해 자발적 노력으로 준비하였고, 교육과정에 편성하여 뉴스포츠 수업을 진행하면서 학생들의 참여도가 높아지는 성과을 거두면서도 운동 능력이 뛰어난 학생들은 흥미를 잃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체육교사들은 뉴스포츠를 체육수업에 활용하면서 학생들의 얼굴이 밝아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생들을 보았고 그러기 때문에 뉴스포츠는 체육수업에 적극 활용되어져야 하는 스포츠로 인식하였다. 또한 아직은 보편성이 떨어지는 종목이라는 점에서 평가의 공정성을 위한 평가 기준안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셋째, 체육교사들은 뉴스포츠가 교육적 가치에 있어서 기존 근대스포츠와 비교해 손색이 없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현재 제 7차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신체 활동 가치 중심'의 건강, 도전, 경쟁, 표현, 여가라는 5가지의 영역 적합성에 대한 의견에는 상이한 차이가 있었으나 뉴스포츠가 제 7차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와 일맥상통하고 적합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넷째, 체육교사들은 뉴스포츠가 체육수업에 이미 많이 활용되어지고 있는 시대적 흐름을 감안할 때 미래의 체육교사로 사범대학 체육교육과에서 체육교사의 소양을 배우고 있는 체육교육과 학생들에게 뉴스포츠는 몰라서는 안 될 중요한 과목이라 인식하였다. 또한 뉴스포츠 과목의 수업 내용과 개설 방법에 대해서는 서로 다소 의견의 차이를 보이면서도 뉴스포츠가 높은 기능 수준을 요구하지 않고 단순한 규칙으로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기능 연마의 수업이 아닌 뉴스포츠의 다양한 활용 방법을 가리키는 수업으로 개설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인식하였다.
이 연구는 뉴스포츠를 활용하여 체육수업을 진행하는 체육교사들의 뉴스포츠에 관한 경험과 인식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탐색하여 체육수업에 뉴스포츠 활용을 위한 폭 넓은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뉴스포츠를 활용하여 체육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체육교사 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체육교사들은 체육수업에 대한 고민에서 새로운 내용의 수업을 필요로 하여 뉴스포츠를 체육수업에 도입하게 되었으며 도입의 어려움에는 행정가와의 마찰, 동료교사와의 마찰, 기자재 확보의 어려움 등이 있었다. 하지만 뉴스포츠 도입의 어려움에도 학생들이 좋아하고 학생들에게 필요한 스포츠라는 것을 인식하였기에 뉴스포츠의 도입을 포기할 수 없었다. 뉴스포츠에 대한 인식은 경험하기 전에는 부정적 인식이 많았으나 연수와 우연한 기회에 뉴스포츠를 경험하면서 긍정적 인식으로 변화되었고 이것은 뉴스포츠 도입의 큰 힘이 되었다. 둘째, 체육교사들은 뉴스포츠를 체육수업에 할용 하는 것에 있어서 근대스포츠를 보완하고 대안적인 스포츠라는 인식을 많이 하였으며, 뉴스포츠를 체육수업에 활용하기 위해 자발적 노력으로 준비하였고, 교육과정에 편성하여 뉴스포츠 수업을 진행하면서 학생들의 참여도가 높아지는 성과을 거두면서도 운동 능력이 뛰어난 학생들은 흥미를 잃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체육교사들은 뉴스포츠를 체육수업에 활용하면서 학생들의 얼굴이 밝아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생들을 보았고 그러기 때문에 뉴스포츠는 체육수업에 적극 활용되어져야 하는 스포츠로 인식하였다. 또한 아직은 보편성이 떨어지는 종목이라는 점에서 평가의 공정성을 위한 평가 기준안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셋째, 체육교사들은 뉴스포츠가 교육적 가치에 있어서 기존 근대스포츠와 비교해 손색이 없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현재 제 7차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신체 활동 가치 중심'의 건강, 도전, 경쟁, 표현, 여가라는 5가지의 영역 적합성에 대한 의견에는 상이한 차이가 있었으나 뉴스포츠가 제 7차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와 일맥상통하고 적합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넷째, 체육교사들은 뉴스포츠가 체육수업에 이미 많이 활용되어지고 있는 시대적 흐름을 감안할 때 미래의 체육교사로 사범대학 체육교육과에서 체육교사의 소양을 배우고 있는 체육교육과 학생들에게 뉴스포츠는 몰라서는 안 될 중요한 과목이라 인식하였다. 또한 뉴스포츠 과목의 수업 내용과 개설 방법에 대해서는 서로 다소 의견의 차이를 보이면서도 뉴스포츠가 높은 기능 수준을 요구하지 않고 단순한 규칙으로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기능 연마의 수업이 아닌 뉴스포츠의 다양한 활용 방법을 가리키는 수업으로 개설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인식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and searching deeply the experiences and recogni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progressing new sports based physical education to offer them wide data for the use of new spor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for the study,...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and searching deeply the experiences and recogni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progressing new sports based physical education to offer them wide data for the use of new spor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for the study, 4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carrying on new sports based physical education, were selected a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nd then the conclusion below was drawn out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ies. First, they drew the new sports into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s a solution to their needs of new contents based teaching and they had difficulty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it such as a conflict with administrators, with their colleagues, and difficulty in procuring tools and materials. For all such difficulty in introducing the new sports, they couldn't give up because the students liked it, and they came to recognize the new sports is essential for the students. The new sports was the subject to a negative recognition before it was experienced, but through training of it and experience of it by chance, the recognition of it changed to afformative one supporting greatly the introduction of it. Second, the idea of man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for the new sports used physical education class was that it supplements the modern sports and an alternative sports with voluntary efforts to use it for their class, and found out while carrying on the new sports drawn up curriculum class, an outcome of increase in their joining level and on the other hand, the problems of the students with an excellent athletic ability lost their interest Thos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aw the students with their faces turned into bright enjoining actively during the new sports based class, and so they perceived the new sports should actively be used for the physical education Besides, they wanted keenly an assessment standard for the fare assessment under the consideration that the new sports hasn't gotten its universality Third, their idea about the new sports was that it's no less valuable than the existing modern sports in educational value, having something to do with and suitable for the 7th curriculum revision 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suitability for 5 sectors such as the 'physical activity value centered' health, challenge, competition, expression, spare time. Fourth, thos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lso had feeling for the students studying the knowledge to be the future physical educators in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at college education that they have to learn the new sports considering the flow of the times that new sports is widely used in the physical classe In the class contents and opening method of new sports as a subject, there existed a difference in viewpoints a little between them, but all believed that it should be opened for teaching various using ways of it instead of targeting function training because it doesn't need a high skill to be enjoyed as a sports with simple rul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and searching deeply the experiences and recogni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progressing new sports based physical education to offer them wide data for the use of new spor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for the study, 4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carrying on new sports based physical education, were selected a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nd then the conclusion below was drawn out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ies. First, they drew the new sports into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s a solution to their needs of new contents based teaching and they had difficulty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it such as a conflict with administrators, with their colleagues, and difficulty in procuring tools and materials. For all such difficulty in introducing the new sports, they couldn't give up because the students liked it, and they came to recognize the new sports is essential for the students. The new sports was the subject to a negative recognition before it was experienced, but through training of it and experience of it by chance, the recognition of it changed to afformative one supporting greatly the introduction of it. Second, the idea of man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for the new sports used physical education class was that it supplements the modern sports and an alternative sports with voluntary efforts to use it for their class, and found out while carrying on the new sports drawn up curriculum class, an outcome of increase in their joining level and on the other hand, the problems of the students with an excellent athletic ability lost their interest Thos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aw the students with their faces turned into bright enjoining actively during the new sports based class, and so they perceived the new sports should actively be used for the physical education Besides, they wanted keenly an assessment standard for the fare assessment under the consideration that the new sports hasn't gotten its universality Third, their idea about the new sports was that it's no less valuable than the existing modern sports in educational value, having something to do with and suitable for the 7th curriculum revision 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suitability for 5 sectors such as the 'physical activity value centered' health, challenge, competition, expression, spare time. Fourth, thos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lso had feeling for the students studying the knowledge to be the future physical educators in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at college education that they have to learn the new sports considering the flow of the times that new sports is widely used in the physical classe In the class contents and opening method of new sports as a subject, there existed a difference in viewpoints a little between them, but all believed that it should be opened for teaching various using ways of it instead of targeting function training because it doesn't need a high skill to be enjoyed as a sports with simple rul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