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에 따라 급속도록 늘어난 외국인 노동자 유입과 함께 국제결혼의 증가로 우리 사회는 다문화사회의 도전에 직면하였다. 이에 정부의 각 부처에서는 이러한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제도화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교육적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는 ‘다문화교육’에 논의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적절한 교육과정을 수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서의 다문화교육은 더 이상 논의의 대상이 아닌 현실이 되었다. 이미 인종적, 문화적, 사회·경제적으로 다양한 출신배경을 지닌 학생들이 교실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즉 한국의 다문화 실정에 맞는 적절한 교육과정을 수립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를 실천하는 교사의 인식이 바르게 정립되는 것이 그 못치 않게 중요한 시점인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재 한국의 다문화교육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교사들의 인식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라고 보고,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초등교사들은 다문화교육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2) 다문화교육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가? 3) 발견된 주요 유형들은 어떠한 특성을 나타내며 그 차이점은 무엇인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
세계화에 따라 급속도록 늘어난 외국인 노동자 유입과 함께 국제결혼의 증가로 우리 사회는 다문화사회의 도전에 직면하였다. 이에 정부의 각 부처에서는 이러한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제도화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교육적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는 ‘다문화교육’에 논의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적절한 교육과정을 수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서의 다문화교육은 더 이상 논의의 대상이 아닌 현실이 되었다. 이미 인종적, 문화적, 사회·경제적으로 다양한 출신배경을 지닌 학생들이 교실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즉 한국의 다문화 실정에 맞는 적절한 교육과정을 수립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를 실천하는 교사의 인식이 바르게 정립되는 것이 그 못치 않게 중요한 시점인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재 한국의 다문화교육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교사들의 인식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라고 보고,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초등교사들은 다문화교육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2) 다문화교육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가? 3) 발견된 주요 유형들은 어떠한 특성을 나타내며 그 차이점은 무엇인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Q기법을 이용하였다. 다문화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교육과정 및 학교의 개혁, 교사의 역할, 다문화사회를 바라보는 관점 등에 대한 48개의 진술문을 선정하여 초등교사들로 하여금 이를 동의하는 정도에 따라 나열하도로 하였다. 확보된 30개의 Q-sort를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다섯 가지 관점이 확인되었다. 첫째, 동화 추구형은 소수집단 학생들을 한국 사회에 통합되어야 할 대상으로 여기고 이를 위해서 한국사회에서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지식을 전수하여 이들이 한국사회에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소수집단 학생들이 한국어로 교육받아야 하기 때문에 한국어 교육이 시급하다고 여긴다. 또 다문화교육에서의 교사의 역할을 소수집단 학생들과 한국 사회를 연결시켜주는 존재라고 여기고 한국의 문화를 소수집단 학생들에게 필수 지식으로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한다. 둘째, 인간관계 추구형은 다문화교육의 주요 목적이 다양한 문화를 가진 학생들이 서로를 이해하여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여기고 문화적 교류활동을 적극적으로 실시하는 유형이다. 이들이 특히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이러한 활동을 통해서 다양한 문화를 가진 학생들이 서로를 존중하여 조화로운 인간관계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는 관용의 정신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한국의 학생들이 소수집단 학생들을 받아들여 그들을 이해하고, 다양한 문화 안에 내재되어 있는 유사성과 보편성을 인식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셋째, 문화 추구형은 다문화교육 전반을 문화와 연관 지어 생각하고 있으며, 학생들이 자신의 문화적 자아정체감을 잃지 않고 사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한다. 이를 위해서는 문화적 다양성과 평등성의 원칙에 걸맞게 교육과정을 재편성해야 하며 소수집단 학생들이 자신의 고유한 문화적 배경지식을 활용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이들은 한국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문화를 가진 학생들이 문화에 존재하는 다양성과 보편성을 이해함으로써 서로 존중하고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넷째, 사회적 행동 추구형은 능동적인 사회 참여 의식, 비판적 사고, 사회의 불평등과 인권 등을 다문화교육의 주요 요소로 인식하여 학생들에게 이러한 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유형이다. 이를 위해서는 다문화교육 교실에서는 사회적 이슈들에 대하여 토의하는 기회를 많이 제공하여 학생들이 민주주의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이들은 다양한 사회 집단의 불평등과 인권 등을 직접적으로 다룸으로써 공존과 평등의 사회 정의를 추구할 수 있다고 여긴다. 따라서 이들에게 균등한 교육의 기회가 보장될 수 있도록 학교를 개혁하는 것은 필수적이라고 인식된다. 다섯째, 배려 추구형은 다문화교육의 주요 목표가 모든 학생들이 서로 존중하고 신뢰하며, 이해심을 가지고 서로를 배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 여기고 이를 위해 교사는 학생들의 의견을 존중하고 배려하여 민주적인 교실수업이 되도록 이끌어야 한다고 인식하는 유형이다. 이들은 배려의 정신에 입각하여 다양한 문화 집단의 평등성에 알맞게 교육과정을 재편성하고 학교를 개혁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교사가 소수집단 학생들을 배려하여 그들이 자신이 지닌 문화적 배경지식(예를 들어 그들의 언어)을 활용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초등교사가 다문화교육에 대해 나름의 기준과 견해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다문화교육에 이론적 논의와 같이 교사들에게 다문화교육에 대한 다양한 관점이 존재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입증하고 있다. 향후 다문화
세계화에 따라 급속도록 늘어난 외국인 노동자 유입과 함께 국제결혼의 증가로 우리 사회는 다문화사회의 도전에 직면하였다. 이에 정부의 각 부처에서는 이러한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제도화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교육적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는 ‘다문화교육’에 논의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적절한 교육과정을 수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서의 다문화교육은 더 이상 논의의 대상이 아닌 현실이 되었다. 이미 인종적, 문화적, 사회·경제적으로 다양한 출신배경을 지닌 학생들이 교실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즉 한국의 다문화 실정에 맞는 적절한 교육과정을 수립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를 실천하는 교사의 인식이 바르게 정립되는 것이 그 못치 않게 중요한 시점인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재 한국의 다문화교육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교사들의 인식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라고 보고,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초등교사들은 다문화교육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2) 다문화교육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가? 3) 발견된 주요 유형들은 어떠한 특성을 나타내며 그 차이점은 무엇인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Q기법을 이용하였다. 다문화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교육과정 및 학교의 개혁, 교사의 역할, 다문화사회를 바라보는 관점 등에 대한 48개의 진술문을 선정하여 초등교사들로 하여금 이를 동의하는 정도에 따라 나열하도로 하였다. 확보된 30개의 Q-sort를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다섯 가지 관점이 확인되었다. 첫째, 동화 추구형은 소수집단 학생들을 한국 사회에 통합되어야 할 대상으로 여기고 이를 위해서 한국사회에서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지식을 전수하여 이들이 한국사회에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소수집단 학생들이 한국어로 교육받아야 하기 때문에 한국어 교육이 시급하다고 여긴다. 또 다문화교육에서의 교사의 역할을 소수집단 학생들과 한국 사회를 연결시켜주는 존재라고 여기고 한국의 문화를 소수집단 학생들에게 필수 지식으로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한다. 둘째, 인간관계 추구형은 다문화교육의 주요 목적이 다양한 문화를 가진 학생들이 서로를 이해하여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여기고 문화적 교류활동을 적극적으로 실시하는 유형이다. 이들이 특히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이러한 활동을 통해서 다양한 문화를 가진 학생들이 서로를 존중하여 조화로운 인간관계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는 관용의 정신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한국의 학생들이 소수집단 학생들을 받아들여 그들을 이해하고, 다양한 문화 안에 내재되어 있는 유사성과 보편성을 인식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셋째, 문화 추구형은 다문화교육 전반을 문화와 연관 지어 생각하고 있으며, 학생들이 자신의 문화적 자아정체감을 잃지 않고 사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한다. 이를 위해서는 문화적 다양성과 평등성의 원칙에 걸맞게 교육과정을 재편성해야 하며 소수집단 학생들이 자신의 고유한 문화적 배경지식을 활용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이들은 한국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문화를 가진 학생들이 문화에 존재하는 다양성과 보편성을 이해함으로써 서로 존중하고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넷째, 사회적 행동 추구형은 능동적인 사회 참여 의식, 비판적 사고, 사회의 불평등과 인권 등을 다문화교육의 주요 요소로 인식하여 학생들에게 이러한 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유형이다. 이를 위해서는 다문화교육 교실에서는 사회적 이슈들에 대하여 토의하는 기회를 많이 제공하여 학생들이 민주주의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이들은 다양한 사회 집단의 불평등과 인권 등을 직접적으로 다룸으로써 공존과 평등의 사회 정의를 추구할 수 있다고 여긴다. 따라서 이들에게 균등한 교육의 기회가 보장될 수 있도록 학교를 개혁하는 것은 필수적이라고 인식된다. 다섯째, 배려 추구형은 다문화교육의 주요 목표가 모든 학생들이 서로 존중하고 신뢰하며, 이해심을 가지고 서로를 배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 여기고 이를 위해 교사는 학생들의 의견을 존중하고 배려하여 민주적인 교실수업이 되도록 이끌어야 한다고 인식하는 유형이다. 이들은 배려의 정신에 입각하여 다양한 문화 집단의 평등성에 알맞게 교육과정을 재편성하고 학교를 개혁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교사가 소수집단 학생들을 배려하여 그들이 자신이 지닌 문화적 배경지식(예를 들어 그들의 언어)을 활용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초등교사가 다문화교육에 대해 나름의 기준과 견해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다문화교육에 이론적 논의와 같이 교사들에게 다문화교육에 대한 다양한 관점이 존재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입증하고 있다. 향후 다문화
As the world becomes more global, the rapidly changing Korean society is faced by defiance of multicultural society. Government ministries try to institutionalize transition to multicultural society and establish curriculum of multicultural education supposed educational alternative. Multicultural e...
As the world becomes more global, the rapidly changing Korean society is faced by defiance of multicultural society. Government ministries try to institutionalize transition to multicultural society and establish curriculum of multicultural education supposed educational alternative. Multicultural education of the actual education, however, is realized not a subject of debate any more. Because the students of racial, cultual and socioeconomic backgrounds exist in the classroom. In other words, establishing a proper curriculum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important, but understanding properly teachers' perception, who practice this curriculum, is more importa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 and think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Q-methodologe by w. Stephenson was used for analysis as it is appropriate and objective enough to deduce a prototype of the general attitude and subjective perception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Q-method was applied to explore the perceptions held by 30 teachers and five perspectives were found out. The fist perspective was labeled the assimilation-oriented type. Teacher who hold this view think that muticultural education' objective is to assimilate the minority students into Korean culture. To achieve this goal teachers should help them to be adapted successfully to Korean culture by teaching essential knowledge. The second perspective was labeled the human relations-oriented type. Teachers sharing this perspective are up and coming to hold cultural contacting activities. Because they think that muticultural education' objective is that the students who have different culture keep up harmonious relationships by understanding each other. The third perspective was labeled the culture-oriented type. Teacher who hold this view think that the diversity of culture articulate to overall muticultural education. They think that the student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cultual without being divested cultural identity. The forth perspective was labeled the social action-oriented type. Teachers holding this view place emphasis on the social action and participation. They think that muticultural education should teach social problems, controversial issue, human rights and critical thinking to student. The fifth perspective was labeled the caring-oriented type. Teachers sharing this perspective think that muticultural education' objective is that all students care each other on understanding. They think that teacher should respect and care student' opinion and should lead democratic lesson. Implication of this study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muticultural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their own viewpoints about muticultural education. That establish the theoretical discussion about muticultural education. Second, it reminds that more studies about mu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concerned about teachers' perception. Third, teachers' subjective perception about mu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in teacher training program.
As the world becomes more global, the rapidly changing Korean society is faced by defiance of multicultural society. Government ministries try to institutionalize transition to multicultural society and establish curriculum of multicultural education supposed educational alternative. Multicultural education of the actual education, however, is realized not a subject of debate any more. Because the students of racial, cultual and socioeconomic backgrounds exist in the classroom. In other words, establishing a proper curriculum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important, but understanding properly teachers' perception, who practice this curriculum, is more importa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 and think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Q-methodologe by w. Stephenson was used for analysis as it is appropriate and objective enough to deduce a prototype of the general attitude and subjective perception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Q-method was applied to explore the perceptions held by 30 teachers and five perspectives were found out. The fist perspective was labeled the assimilation-oriented type. Teacher who hold this view think that muticultural education' objective is to assimilate the minority students into Korean culture. To achieve this goal teachers should help them to be adapted successfully to Korean culture by teaching essential knowledge. The second perspective was labeled the human relations-oriented type. Teachers sharing this perspective are up and coming to hold cultural contacting activities. Because they think that muticultural education' objective is that the students who have different culture keep up harmonious relationships by understanding each other. The third perspective was labeled the culture-oriented type. Teacher who hold this view think that the diversity of culture articulate to overall muticultural education. They think that the student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cultual without being divested cultural identity. The forth perspective was labeled the social action-oriented type. Teachers holding this view place emphasis on the social action and participation. They think that muticultural education should teach social problems, controversial issue, human rights and critical thinking to student. The fifth perspective was labeled the caring-oriented type. Teachers sharing this perspective think that muticultural education' objective is that all students care each other on understanding. They think that teacher should respect and care student' opinion and should lead democratic lesson. Implication of this study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muticultural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their own viewpoints about muticultural education. That establish the theoretical discussion about muticultural education. Second, it reminds that more studies about mu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concerned about teachers' perception. Third, teachers' subjective perception about mu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in teacher training program.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