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일반 아동이 일상생활 속에서 느끼는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이 무엇이며 이를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신뢰성과 타당성을 갖춘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시시각각 변화하는 현대사회의 흐름과 더불어 아동들의 생태 또한 빠른 양상으로 변화하기 마련이므로 이러한 변화구도를 적절히 반영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한국형 초등학생의 일상생활 스트레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초등학생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Ⅰ에서는 스트레스 개념에 대한 구인탐색 후 1차 예비 문항을 추출하였으며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거쳐 본 문항을 개발하여 신뢰도와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일반 아동이 일상생활 속에서 느끼는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이 무엇이며 이를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신뢰성과 타당성을 갖춘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시시각각 변화하는 현대사회의 흐름과 더불어 아동들의 생태 또한 빠른 양상으로 변화하기 마련이므로 이러한 변화구도를 적절히 반영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한국형 초등학생의 일상생활 스트레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초등학생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Ⅰ에서는 스트레스 개념에 대한 구인탐색 후 1차 예비 문항을 추출하였으며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거쳐 본 문항을 개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Ⅱ에서는 본조사의 표본에 근거하여 T점수를 활용한 예비적 수준의 규준을 개발하였다. 연구Ⅰ에서는 이론적 검토를 통한 스트레스의 개념 및 하위변인의 설정한 후 문항을 제작하였다. 하위변인은 ‘개인요인’, ‘가정요인’, ‘학교요인’, ‘사회요인’의 4요인으로 설정하였으며 문항은 다음의 세가지 경로를 통해 추출된 응답을 기초로 하여 측정 문항들을 통합하고 모호한 문장들을 제외시켜 초등학교 아동들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문항을 개발하였다. 문항의 추출 경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일상적 스트레스원을 탐색하고 깊이있게 파악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시 D초등학교 학생 8명을 대상으로 집단면접 실시한 후 나온 응답, 둘째, 수원시 소재 D초등학교 4학년 학생 34명을 대상으로 자유응답 설문을 실시한 후 나온 응답, 셋째, 기존의 스트레스 척도 관련 문항을 수집 후, 이를 인용하거나 참고하여 추출된 문항이 그것이다. 그 후 앞서 개발한 1차 예비문항으로 경기도 수원시 D초등학교 3·4·5학년 학생 총 193명을 대상으로 2009년 5월에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1, 2차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 5개 요인의 65문항이 선정되었다. 최종적으로 추출된 요인은 각각 1요인(부모 및 가정환경 요인), 2요인(교사 및 학교환경 요인), 3요인(친구 및 개인요인), 4요인(주변환경 및 일상생활 요인), 5요인(학업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그리고 2차 요인분석 후 각 요인의 내적일치도 계수(Cronbach's α)를 산출한 결과 ‘부모 및 가정환경 요인’ 은 .915, ‘교사 및 학교환경 요인’은 .870, ‘친구 및 개인요인’ 은 .893, ‘주변환경 및 일상생활 요인’ 은 .813, ‘학업 요인’은 .817로 나타났으며 전체신뢰도는 .961로 높게 확인되어 신뢰도 적합기준에 합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위의 과정을 거쳐 개발된 65문항의 최종 척도를 바탕으로 본조사를 실시하기 위하여 도시 지역의 대표 표본인 서울·인천·경기 수원, 읍·면 지역의 대표 표본인 경기 여주·전라 지역의 총 19개 초등학교의 3 ·4 ·5학년 학생 총 1662명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여 2009년 9월 1일부터 9월 29일까지 약 1개월간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검사의 결과, 스트레스의 평균값이 가장 높은 요인은 주변 환경 및 일상생활 요인(X=2.26)이었으며 그 다음은 학업요인(X=1.99), 부모 및 가정환경 요인(X=1.84), 친구 및 개인요인(X=1.82), 마지막으로 교사 및 학교환경 요인(X=1.45) 순이었다. 또한, 5개 요인 전체의 스트레스 평균값은 4점 만점에서 1.80으로 산출되어 다소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차례의 요인분석을 통해 구인타당성을 확보한 후, 공인된 기존 척도와의 상관성을 통한 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된 ‘초등학생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척도’ 와 민하영, 유안진(1998)의 ‘학령기 아동의 일상적 생활스트레스 척도’ 검사를 2009년 9월 14일부터 25일까지 2주에 걸쳐 경기도 수원시 소재 D초등학교 4·5학년 학생 18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척도간 상관계수가 .295~.760 (p < 0.001) 까지의 범위를 나타내어 공인근거가 높은 편이라고 판단하였으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의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Ⅱ에서는 본조사의 표본에 근거하여 규준을 제작하였다. 하위 영역별 규준은 평균의 차이 및 타당화 결과를 검토하여 제작하였고, T점수를 사용하였다. 또한 정상분포를 기준으로 한 T점수와 표준편차, 비율에 관계에 근거하여 피검자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관련 등급의 의미와 해석을 포함한 규준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초등학생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이 확보되었다는 점, 특정 영역에서의 스트레스가 아닌 아동의 일상적 생활에 주목하여 일상 생활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스트레스 요인을 추출한 후 요인별 스트레스 강도 및 수위를 비교하는 연구를 통해 통합적으로 아동을 이해할 수 있는 근거자료로 활용 가능하다는 점, 초등학생의 일상 생활 스트레스 척도의 유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표준화를 실시하였다는 점으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척도의 구성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 지역 등 거주 지역별로 대상자의 범위와 수를 확대시켜 반복 연구할 필요가 있고, 시대적 변화의 흐름을 반영하기 위하여 측정도구에 대한 잦은 수정과 보완이 요구되며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일반 아동이 일상생활 속에서 느끼는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이 무엇이며 이를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신뢰성과 타당성을 갖춘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시시각각 변화하는 현대사회의 흐름과 더불어 아동들의 생태 또한 빠른 양상으로 변화하기 마련이므로 이러한 변화구도를 적절히 반영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한국형 초등학생의 일상생활 스트레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초등학생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Ⅰ에서는 스트레스 개념에 대한 구인탐색 후 1차 예비 문항을 추출하였으며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거쳐 본 문항을 개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Ⅱ에서는 본조사의 표본에 근거하여 T점수를 활용한 예비적 수준의 규준을 개발하였다. 연구Ⅰ에서는 이론적 검토를 통한 스트레스의 개념 및 하위변인의 설정한 후 문항을 제작하였다. 하위변인은 ‘개인요인’, ‘가정요인’, ‘학교요인’, ‘사회요인’의 4요인으로 설정하였으며 문항은 다음의 세가지 경로를 통해 추출된 응답을 기초로 하여 측정 문항들을 통합하고 모호한 문장들을 제외시켜 초등학교 아동들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문항을 개발하였다. 문항의 추출 경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일상적 스트레스원을 탐색하고 깊이있게 파악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시 D초등학교 학생 8명을 대상으로 집단면접 실시한 후 나온 응답, 둘째, 수원시 소재 D초등학교 4학년 학생 34명을 대상으로 자유응답 설문을 실시한 후 나온 응답, 셋째, 기존의 스트레스 척도 관련 문항을 수집 후, 이를 인용하거나 참고하여 추출된 문항이 그것이다. 그 후 앞서 개발한 1차 예비문항으로 경기도 수원시 D초등학교 3·4·5학년 학생 총 193명을 대상으로 2009년 5월에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1, 2차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 5개 요인의 65문항이 선정되었다. 최종적으로 추출된 요인은 각각 1요인(부모 및 가정환경 요인), 2요인(교사 및 학교환경 요인), 3요인(친구 및 개인요인), 4요인(주변환경 및 일상생활 요인), 5요인(학업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그리고 2차 요인분석 후 각 요인의 내적일치도 계수(Cronbach's α)를 산출한 결과 ‘부모 및 가정환경 요인’ 은 .915, ‘교사 및 학교환경 요인’은 .870, ‘친구 및 개인요인’ 은 .893, ‘주변환경 및 일상생활 요인’ 은 .813, ‘학업 요인’은 .817로 나타났으며 전체신뢰도는 .961로 높게 확인되어 신뢰도 적합기준에 합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위의 과정을 거쳐 개발된 65문항의 최종 척도를 바탕으로 본조사를 실시하기 위하여 도시 지역의 대표 표본인 서울·인천·경기 수원, 읍·면 지역의 대표 표본인 경기 여주·전라 지역의 총 19개 초등학교의 3 ·4 ·5학년 학생 총 1662명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여 2009년 9월 1일부터 9월 29일까지 약 1개월간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검사의 결과, 스트레스의 평균값이 가장 높은 요인은 주변 환경 및 일상생활 요인(X=2.26)이었으며 그 다음은 학업요인(X=1.99), 부모 및 가정환경 요인(X=1.84), 친구 및 개인요인(X=1.82), 마지막으로 교사 및 학교환경 요인(X=1.45) 순이었다. 또한, 5개 요인 전체의 스트레스 평균값은 4점 만점에서 1.80으로 산출되어 다소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차례의 요인분석을 통해 구인타당성을 확보한 후, 공인된 기존 척도와의 상관성을 통한 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된 ‘초등학생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척도’ 와 민하영, 유안진(1998)의 ‘학령기 아동의 일상적 생활스트레스 척도’ 검사를 2009년 9월 14일부터 25일까지 2주에 걸쳐 경기도 수원시 소재 D초등학교 4·5학년 학생 18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척도간 상관계수가 .295~.760 (p < 0.001) 까지의 범위를 나타내어 공인근거가 높은 편이라고 판단하였으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의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Ⅱ에서는 본조사의 표본에 근거하여 규준을 제작하였다. 하위 영역별 규준은 평균의 차이 및 타당화 결과를 검토하여 제작하였고, T점수를 사용하였다. 또한 정상분포를 기준으로 한 T점수와 표준편차, 비율에 관계에 근거하여 피검자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관련 등급의 의미와 해석을 포함한 규준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초등학생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이 확보되었다는 점, 특정 영역에서의 스트레스가 아닌 아동의 일상적 생활에 주목하여 일상 생활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스트레스 요인을 추출한 후 요인별 스트레스 강도 및 수위를 비교하는 연구를 통해 통합적으로 아동을 이해할 수 있는 근거자료로 활용 가능하다는 점, 초등학생의 일상 생활 스트레스 척도의 유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표준화를 실시하였다는 점으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척도의 구성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 지역 등 거주 지역별로 대상자의 범위와 수를 확대시켜 반복 연구할 필요가 있고, 시대적 변화의 흐름을 반영하기 위하여 측정도구에 대한 잦은 수정과 보완이 요구되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tress factors normal elementary school children undergo in daily lives, and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tool that can logically and systematically measure the factors. In Study Ⅰ, some items are built after setting the concept of stress and subordinate v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tress factors normal elementary school children undergo in daily lives, and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tool that can logically and systematically measure the factors. In Study Ⅰ, some items are built after setting the concept of stress and subordinate variables through theoretical reviews. Individual factor ’, ‘domestic factor, school factor and ‘social factor’were set as the 4 factors set as subordinate variables, and first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responses extracted through means of group interview and free answer survey, and collection of existing stress-related measurement items. Then, in May 2009 exploratory research using the preliminary items developed above was carried out on total 193 students of 3rd, 4th, and 5thgraders in D elementary school of Suwon-si, Gyeonggi-do. As a result of first and seco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65 items of 5 factors were selected. The final factors extracted were each titled as factor 1(parents and domestic background), factor 2(teachers and school background), factor 3(friends and individual factor), factor 4(environment and daily life factor) and factor 5(educational factor). And calculating the Cronbach's α of each factors after the second factor analysis, it is defined to qualify the reliability standard, with .915 for ‘parents and domestic background’, .870 for ‘teachers and school background’, .893 for ‘friends and individual factor’, .813 for ‘environment and daily life factor’, .817 for ‘educational factor’ and a high general reliability of .961. In order to carry out the primary research based on the final standard of 65 items developed through the above process, research was proceeded for approximately one month-from September 1st to 29th, 2009-on a total of 1662 students in 3rd, 4th, and 5th grade of 19 elementary schools in the district of Seoul, Ienhon, Gyeonggi Suwon as the representative sample of city region, and Gyeonggi Yeoju, Jeolla district as the representative sample of town a the d-county. As a result, the factor with highest meand-cluey schools iturned out to be environment and daily life factor(X=2.26), with educational factor(X=1.99), parents and domestic background factor(X=1.84), friendsand individual factor(X=1.82) following up, and teachers and school background factor(X=1.45) in the last place. After acquiring construct validity through two rounds of factor analysis, in order to verify concurrent validity in terms of correlation with established authorized standard, ‘Elementary school children’s daily life stress measure standard’, developed in this study, and ‘school-aged children’s daily life stress measure standard’ of Min Ha-young, Yoo Ahn-jin(1998) were carried out for two weeks-from September 14th to 25th, 2009-on 184 students in 4th, 5thgrade of D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Suwon-si. As a result,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cale indicated a range of .295~.760 (p < 0.001), showing high concurrent foundation and consequently verifying concurrent validity of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n Study Ⅱ, the norm is fixed based on primary research sample. Norms for each subordinate domain were produced by examining the mean difference and validation result, and it used T-score. Also, the study produces norms including significance and interpretation of the subject’s daily life stress related grade, based on T-score standardized on normal distribution curve, standard deviation, and rate. In the follow-up study, in order to increase content validity of the measuring standard, there is a need to carry out replication studies, extending the range and number of the target object in terms of residential district such as metropolitan exa, small and medium-sized city exa, am-sizrming am-siishing village region. Also, frequent supplementation and adjusteasurof the measure standard is required in order to reflect the changes of the tie r,exa, setting a standardized norm through sampling of standardization ediup with wider range is immediately in need for the practicality of the tool. Lastly, based on the stress measure relative Norm has been generated in this study, it calls for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towards child stress and measures to deal with it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tress factors normal elementary school children undergo in daily lives, and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tool that can logically and systematically measure the factors. In Study Ⅰ, some items are built after setting the concept of stress and subordinate variables through theoretical reviews. Individual factor ’, ‘domestic factor, school factor and ‘social factor’were set as the 4 factors set as subordinate variables, and first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responses extracted through means of group interview and free answer survey, and collection of existing stress-related measurement items. Then, in May 2009 exploratory research using the preliminary items developed above was carried out on total 193 students of 3rd, 4th, and 5thgraders in D elementary school of Suwon-si, Gyeonggi-do. As a result of first and seco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65 items of 5 factors were selected. The final factors extracted were each titled as factor 1(parents and domestic background), factor 2(teachers and school background), factor 3(friends and individual factor), factor 4(environment and daily life factor) and factor 5(educational factor). And calculating the Cronbach's α of each factors after the second factor analysis, it is defined to qualify the reliability standard, with .915 for ‘parents and domestic background’, .870 for ‘teachers and school background’, .893 for ‘friends and individual factor’, .813 for ‘environment and daily life factor’, .817 for ‘educational factor’ and a high general reliability of .961. In order to carry out the primary research based on the final standard of 65 items developed through the above process, research was proceeded for approximately one month-from September 1st to 29th, 2009-on a total of 1662 students in 3rd, 4th, and 5th grade of 19 elementary schools in the district of Seoul, Ienhon, Gyeonggi Suwon as the representative sample of city region, and Gyeonggi Yeoju, Jeolla district as the representative sample of town a the d-county. As a result, the factor with highest meand-cluey schools iturned out to be environment and daily life factor(X=2.26), with educational factor(X=1.99), parents and domestic background factor(X=1.84), friendsand individual factor(X=1.82) following up, and teachers and school background factor(X=1.45) in the last place. After acquiring construct validity through two rounds of factor analysis, in order to verify concurrent validity in terms of correlation with established authorized standard, ‘Elementary school children’s daily life stress measure standard’, developed in this study, and ‘school-aged children’s daily life stress measure standard’ of Min Ha-young, Yoo Ahn-jin(1998) were carried out for two weeks-from September 14th to 25th, 2009-on 184 students in 4th, 5thgrade of D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Suwon-si. As a result,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cale indicated a range of .295~.760 (p < 0.001), showing high concurrent foundation and consequently verifying concurrent validity of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n Study Ⅱ, the norm is fixed based on primary research sample. Norms for each subordinate domain were produced by examining the mean difference and validation result, and it used T-score. Also, the study produces norms including significance and interpretation of the subject’s daily life stress related grade, based on T-score standardized on normal distribution curve, standard deviation, and rate. In the follow-up study, in order to increase content validity of the measuring standard, there is a need to carry out replication studies, extending the range and number of the target object in terms of residential district such as metropolitan exa, small and medium-sized city exa, am-sizrming am-siishing village region. Also, frequent supplementation and adjusteasurof the measure standard is required in order to reflect the changes of the tie r,exa, setting a standardized norm through sampling of standardization ediup with wider range is immediately in need for the practicality of the tool. Lastly, based on the stress measure relative Norm has been generated in this study, it calls for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towards child stress and measures to deal with it as well.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