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민성 평가시 10초 검사의 유용성 연구 : 퍼듀 페그보드 및 뇌졸중 상지기능 검사와 비교 The Usefulness of 10-Second Test in Upper Extremity Dexterity Evaluation of Stroke Patients : A comparative study of purdue pegboard test and manual function test원문보기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상 지 기민성 평가를 위한 10초 검사와 Purdue pegboard test, MFT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10초 검사의 임상적 활용도를 예측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선정 기준에 따라 18명의 대상자를 선정한 뒤 기존의 작업치료 중재를 실시하여 작업치료 중재 전 ㆍ 후에 10초 검사, Purdue pegboard test, 그리고 뇌졸중 상 지 기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작업치료 중재 전 ㆍ 후의 점수 변화는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상 지 기민성 평가를 위한 10초 검사와 Purdue pegboard test, MFT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10초 검사의 임상적 활용도를 예측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선정 기준에 따라 18명의 대상자를 선정한 뒤 기존의 작업치료 중재를 실시하여 작업치료 중재 전 ㆍ 후에 10초 검사, Purdue pegboard test, 그리고 뇌졸중 상 지 기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작업치료 중재 전 ㆍ 후의 점수 변화는 대응 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각 평가도구의 세부항목 간의 상관관계와 작업치료 중재 전 ㆍ 후 점수 변화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작업치료 중재 전 ㆍ 후의 10초 검사와 Purdue pegboard test, MFT의 점수 변화는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 .05). 둘째, 10초 검사의 손가락 개별운동 검사, 손 회 내 ㆍ 회 외 검사, 손가락 두드리기 검사 항목 모두 Purdue pegboard test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p< .05), MFT의 경우 파악 항목과 손 회 내 ㆍ 회 외 검사, 손가락 두드리기 검사 항목, 조작 항목과 손가락 개별운동 검사, 손 회 내 ㆍ 회 외 검사, 손가락 두드리기 검사 항목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 .05). 셋째, 10초 검사, Purdue pegboard test, MFT의 작업치료 중재 전 ㆍ 후의 점수 변화의 상관관계는 10초 검사와 Purdue pegboard test에서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p< .05), MFT의 점수에서는 손가락 개별운동 검사, 손 회 내 ㆍ 회 외 검사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 .05).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10초 검사가 Purdue pegboard test, MFT와 같이 작업치료 중재 전ㆍ후 의 점수 변화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여 상 지 기능 및 기민성의 변화에 따라 점수 변화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Purdue pegboard test와 MFT 세부항목 간의 상관관계와 작업치료 중재 전 ㆍ 후의 점수변화에 대한 상관관계를 통해 10초 검사가 상 지 기능 특히 기민성을 평가하는데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10초 검사는 환자의 상 지 기능 및 기민성 상태의 변화와 회복 정도를 파악하고 객관적 자료를 제시할 수 있는 등 임상에서 손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수단과 선별검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상 지 기민성 평가를 위한 10초 검사와 Purdue pegboard test, MFT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10초 검사의 임상적 활용도를 예측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선정 기준에 따라 18명의 대상자를 선정한 뒤 기존의 작업치료 중재를 실시하여 작업치료 중재 전 ㆍ 후에 10초 검사, Purdue pegboard test, 그리고 뇌졸중 상 지 기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작업치료 중재 전 ㆍ 후의 점수 변화는 대응 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각 평가도구의 세부항목 간의 상관관계와 작업치료 중재 전 ㆍ 후 점수 변화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작업치료 중재 전 ㆍ 후의 10초 검사와 Purdue pegboard test, MFT의 점수 변화는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 .05). 둘째, 10초 검사의 손가락 개별운동 검사, 손 회 내 ㆍ 회 외 검사, 손가락 두드리기 검사 항목 모두 Purdue pegboard test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p< .05), MFT의 경우 파악 항목과 손 회 내 ㆍ 회 외 검사, 손가락 두드리기 검사 항목, 조작 항목과 손가락 개별운동 검사, 손 회 내 ㆍ 회 외 검사, 손가락 두드리기 검사 항목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 .05). 셋째, 10초 검사, Purdue pegboard test, MFT의 작업치료 중재 전 ㆍ 후의 점수 변화의 상관관계는 10초 검사와 Purdue pegboard test에서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p< .05), MFT의 점수에서는 손가락 개별운동 검사, 손 회 내 ㆍ 회 외 검사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 .05).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10초 검사가 Purdue pegboard test, MFT와 같이 작업치료 중재 전ㆍ후 의 점수 변화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여 상 지 기능 및 기민성의 변화에 따라 점수 변화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Purdue pegboard test와 MFT 세부항목 간의 상관관계와 작업치료 중재 전 ㆍ 후의 점수변화에 대한 상관관계를 통해 10초 검사가 상 지 기능 특히 기민성을 평가하는데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10초 검사는 환자의 상 지 기능 및 기민성 상태의 변화와 회복 정도를 파악하고 객관적 자료를 제시할 수 있는 등 임상에서 손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수단과 선별검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