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입양부모의 입양 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otional Adoption Experience of Adopting Parents 원문보기


강다선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전공 국내석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문초록 본 연구는 입양부모들이 경험하는 입양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입양부모들의 입양 경험은 어떠한가?’라는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들 중 현상학적 연구, 특히 Giorgi의 현상학 연구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를 선정할 때 연구자는 입양에 있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모두 고려하고자 하였다. 부부만이 입양사실을 알고 있는 비밀 입양가정, 모든 이웃에게 특히 입양된 아동에게 입양을 공개한 공개 입양가정, 신생아를 입양한 가정, 연장아를 입양한 가정, 친자가 있는 입양가정, 친자가 없는 가정을 골고루 선정하여 입양경험이 다양하게 나올 수 있는 6가정을 선정하였다. 6가정 중 양모만 참여한 가정이 4가정, 양부모 모두 참여한 가정이 2가정, 총 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사실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입양부모들은 입양 후 사랑하는 자녀를, 이웃들은 그저 데려온 아이로만 본다는 것에 힘들어 했다. 입양된 아동은 미혼모의 아이, 어떤 핏줄인지 모르는 아이로만 보는 편협 된 생각이 이웃들에 의해 은연중에 표현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로 인해 입양부모들은 굉장한 스트레스 이겨내고 있었다. 둘째, 입양을 준비하는 사람들이나 일반사람들이 입양에 대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 정부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홍보를 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부는 입양부모들이 입양을 하기 전, 입양에 대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입양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며, 이에 대한 홍보도 적극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이에 입양기관과 입양부모들도 같이 협조하여야 한다. 이러한 홍보를 통해, 친자에 대한 아쉬움 때문에 입양을 고민하는 가정들이나, ‘잘 키울 수 있을까?’, ‘친자식처럼 사랑할 수 있을까?’, ‘자라면서 문제를 일으키면 어떨까?’ 하고 입양 결정을 고민하는 가정들에게도 입양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며, 이들이 입양을 결정하는 시기를 앞당길 수도 있을 것이며, 또한 입양의 긍정적인 면을 같이 홍보하여 우리사회가 가지고 있는 입양에 대한 편협된 생각을 바꾸도록 노려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입양부모들은 입양을 통해 형성된 가족에 매우 만족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입양부모들은 입양 후 입양사실을 잊고 살고 있었으며, 입양 전과 달리 자신들의 모든 생활 리듬이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만족하고 있었다. 넷째, 입양부모들의 입양아에 대한 사랑은 친자녀를 낳아 기르는 부모와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은 입양 아동의 사랑을 ‘낳아 주지 못해 마안하다’라고 표현하고 있었으며, 아이들이 원하면 친생부모를 만나게 해 줄 계획도 세우고 있었다. 입양부모들은 그때를 대비하여 입양기관에서 친생부모에 대한 자료를 잘 보관하고 있는지를 걱정하였다. 다섯째, 연장아 입양에 대해서는 입양 전·후 많은 지지와 정보 교류가 필요하고, 입양부모들의 인내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입양부모교육의 중요성과 사후관리의 중요성을 같이 말하고 있는 부분이다. 입양 전 부모교육으로 인해 입양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충분히 가지고 있어야 입양된 아동과 성숙된 가정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입양 후에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사후관리가 있어야 할 것이다. 입양은 입양을 신청하여 아이를 데려가는 과정으로 종료되는 것이 아니라 아이를 데려가면서 시작한다고 봐도 과언은 아니다. 특히 연장아 입양에 대한 사후관리는 좀 더 전문성을 가지고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여섯째, 입양한 가정을 중심으로 입양 가족과 이웃의 다른 가족들이 입양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어 입양을 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것은 입양을 가까이에서 접한 사람들은 입양에 대한 마음이 열려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을 통해 학교나 종교기관 혹은 ...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motional adoption experience of adopting parents. To accomplish the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 was asked: "What's the emotional adoption experience of adopting parents?" This study was carried out using particularly a phenomenological approach of ...

주제어

#입양 입양부모 입양제도 입양역사 

학위논문 정보

저자 강다선
학위수여기관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전공
발행연도 2010
총페이지 93 p.
키워드 입양 입양부모 입양제도 입양역사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2149046&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