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설미혼모의 양육/입양 선택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Related Factors Affecting Unwed Mother's Decision on Self-nurture or Adoption of Her Child 원문보기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v.25 no.2, 2014년, pp.247 - 260  

이은주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  최규련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unwed mothers residing in nine residental facilities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s. Those facilities were selected from national welfare facilities officially registered for single-parent families in 2011. The selected facilities were two places in Seoul, six places in Gyeonggi Pro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미혼모의 필요 및 욕구에 맞는 사회복지정책이 실제로 그들의 양육/입양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초점을 두어 사회적 자원 관련변인으로 사회적 지지와 복지서비스 경험정도를 선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설미혼모의 양육 또는 입양을 선택한 집단의 여러 특성의 차이와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미혼모의 사회복귀에 필요한 임상적 개입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양육선택미혼모와 입양선택미혼모의 임신관련 특성, 개인적 특성, 사회적 자원의 차이와 그 영향력이 어떠한가를 파악하여 시설미혼모의 상황에 맞는 사회복귀 개입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1년 국내외 입양아동 중 미혼모가정 출신아동의 비율은? 한편 입양아동의 경우에는 91년 3,483명에서 95년 3,205명, 2000년 4,046명, 2002년 4,059명으로 연간 4000명 내외에 달하였으나, 2005년에는 3,562명, 2007년 2,652명, 2008년에는 2,556명으로 최근 들어 다소 감소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8). 그러나 2011년 보건복지부 통계에 의하면 국내외 입양아동 중 미혼모가정 출신아동이 91.8%에 이르고 있다(Kim et al. 2013).
2008년 미혼모 시설에 입소한 여성의 수는? 국내 미혼모 관련 기관을 통한 미혼모의 추이를 보면 미혼모 시설에 입소한 여성의 수는 1991년 1,029명(시설 10개소), 1995년 990명(9개소), 2000년 1,273명(8개소), 2002년 1,673명(8개소), 2005년 2,123명(14개소), 2008년 2358명(48개소)으로 시설 수의 증가와 함께 지속적으로 증가해왔음을 알 수 있다(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09). 또한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14)의 연도별 전국 한부모 가족 현황에 의하면 지속적인 모자가구의 증가를 볼 수 있는데 2000년 총 한부모 가구수(14,312) 대비 모자가구(1,124)의 비율이 7.
입양계획중인 미혼모의 비율이 증가하는 이유는? 5%로 전체 미혼모의 절반이상이 양육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다양한 가족형태의 증가와 혼인여부와 상관없이 자신의 호적에 자녀를 입적시킬 수 있는 법 개정, 한부모가족지원법에 근거한 시설지원으로 미혼모시설 입소기회의 증가 및 정부의 경제적 지원 등 사회문화적 여건 변화와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미혼모에 관한 사회적 관행, 인식, 제도의 변화 등과 더불어 미혼모 스스로도 부모로서의 정체성을 수용하는 등 미혼모의 의식변화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나아가 미혼모들에게 양육 또한 하나의 선택으로 수용될 만큼 그들의 사회적 위치가 다소 강화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hn JJ, Kim JH(2006)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unmarried mother's child-rearing decision: Focusing on the role of social relationship. J Korean Counc Child Right 10(4), 605-624 

  2. Ahn SD(1984) Study on the unwed mother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analysis of factors relating her occurrence and welfare measures.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3. Choi KW(2005) A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unwed mother and her family-of-origin. J Korean Society Youth Protection Guidance, 8, 47-73 

  4. Doh HS(1996) The relationship of shyness, interpersonal adustment, and peer acceptance to loneliness in children. J Child Stud 17(2), 33-45 

  5. Donnelly B, Voydanoff P(1991). Factors associated with releasing for adoption among dolescent mothers. Family Relations. 40, 404-410 

  6. Han YJ(1998) Influence factors to self-estem of teenage and twenties unmarried mother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7. Kim MH, Cho JY, Cheong JO(2013) A study on the single-mom supporting policy and youth education system in korea. J Gov Policy 5(2), 71-90 

  8. Kim WH(2004) Predictive factors for decision making in adoption among unwed mothers in the residential care.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9. Kim YS(1995)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mong adults with mental disorder.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0. Koh SK(2002)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unmarried mother's psychological distres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1.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2009) Unwed mother's life world and policy agenda 

  12. Lee BS, Chun YJ(2005) A study on life history of unwed mothers. J Women's Stud 16, 11-32 

  13. Lee JY(2001)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eif-efficacy among the unmarried mother in social facilitie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4.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2014) The present condition of single parent family in the whole country by Year. www.mogef.go.kr [cited 2014 April 20]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08) The current situation report of adoption in Korea 

  16. Nho CR, Kim WH(2004) Predictive factors of baby release for adoption among unmarried mothers. J Korean Society Child Welf 17, 49-79 

  17. Park SH(2001) A study on unwed mother's keeping a child. Master's Thesis, Ehwa Womans University 

  18. Park SY(1998) The relations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loneliness in adolescents. Master's Thesis, Ehwa Womans University 

  19. Resnick, M. D. (1984). Informal adoption among black families(Washington D.C.: National Urban League) 

  20. Russell D, Peplau LA, Cutrona CE(1980).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vidence. J Peronality Soc Psychology, 39, 472-480 

  21. Yoon MH(2000) A study of the factors related on the pregnancy and the adoption of young child of teen-age unwed mothers. Master's Thesis, Sookmyung Womans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