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그 발생 역사를 19세기 후반으로 보고 있는 가야금 병창(竝唱) 중 <수궁가>의 한 대목인 ‘여봐라 주부야’에 대한 음악적 고찰을 하였다. 특히 거의 한 세대의 시차(時差)를 두고 있으며 김창조-오태석을 거치는 박귀희제와 한숙구-서공철을 거치는 강정열제에 대한 음악적 특징을 분석 ․ 비교하였다.
음악적인 분석의 대상은 두 창자(唱者) ‘여봐라 주부야’의 사설과 리듬, 음조직 및 음역, 그리고 소리와 반주 선율 진행 유형 등이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음악적 특징이 확인되었다.
첫째, 박귀희의 사설...
본고에서는, 그 발생 역사를 19세기 후반으로 보고 있는 가야금 병창(竝唱) 중 <수궁가>의 한 대목인 ‘여봐라 주부야’에 대한 음악적 고찰을 하였다. 특히 거의 한 세대의 시차(時差)를 두고 있으며 김창조-오태석을 거치는 박귀희제와 한숙구-서공철을 거치는 강정열제에 대한 음악적 특징을 분석 ․ 비교하였다.
음악적인 분석의 대상은 두 창자(唱者) ‘여봐라 주부야’의 사설과 리듬, 음조직 및 음역, 그리고 소리와 반주 선율 진행 유형 등이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음악적 특징이 확인되었다.
첫째, 박귀희의 사설은 19장단으로 구성된데 비해 강정열의 사설은 10장단이 확대된 29장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두 창자 사설의 음조에 따른 비교는 박귀희의 경우 각 사설의 내용에 민감하게 그 음조를 평조와 계면성으로 바꾼 반면, 강정열은 한 장단만이 평조성이고 나머지 모두가 계면성으로 표현하고 있다.
둘째, 박귀희와 강정열의 리듬은 박귀희의 경우 강정열 보다 싱코페이션과 분할 리듬을 많이 사용하며, 박귀희의 경우 강정열 보다 각 장단의 끝에 쉼표 처리를 빈번히 하고 있다.
셋째, 박귀희의 음조직은 악곡 전체에 걸쳐 d음을 요성하고 e-d음으로 퇴성하는 시김새와 간혹 f음이 출현하는 북부경토리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또한 악곡의 중간에 간혹 b음이 출현하여 육자백이토리의 특징도 보이고 있다. 강정열의 음조직은 악곡 전체에 걸쳐 e음을 요성하고 c-b음으로 퇴성하는 육자백이토리의 특징을 보이고 있지만, 간혹 e음을 요성하는 메나리토리와 e-d음으로 퇴성하는 북부경토리의 특징도 보이고 있다.
넷째, 사용 음역에 있어서는 박귀희와 강정열이 동일하게 d'-b♭''으로 한 옥타브 반을 사용한다.
다섯째, 소리와 가야금 반주 선율 진행 유형은 박귀희는 강정열에 비해 창과 가야금이 같은 음역으로 진행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즉 박귀희의 경우 소리와 가야금 선율이 거의 동일하게 진행된 유형, 창과 가야금 선율 및 리듬이 동일하게 진행된 유형, 소리의 리듬형이 잘게 분할 될 경우 가야금이 긴 시가의 음으로 연주된 유형의 세 가지 유형을 보이고 있다.강정열의 경우 역시 세가지 유형으로 이루어져있다. 즉, 하나의 음절이 여러 음으로 나뉘어질 때 이음줄이 붙은 유형, 가사 내에 꾸밈음이 있는 경우는 이음줄 없이 임시표나 꾸밈음 만으로 기보된 유형, 옥타브를 포함한 여러 음으로 나뉘어질 때 일정한 순서가 없이 진행되는 유형들 이다.
여섯째, 박귀희와 강정열의 소리와 반주 선율의 차이점은, 박귀희의 경우 강정열에 비해 가야금이 주법 관련 부호가 비교적 상세히 표현되고 있다. 또한 가야금 반주 부분에 있어서 두 음을 동시에 뜯는 주법이 나타난다. 이에 비해 강정열은 가사가 많아질수록 리듬은 간결해지고, 이음줄이나 꾸밈음 부분이 복잡하게 나타난다. 또한 노래가 쉬고 있을 때 가야금의 리듬형은 오직 ♩♪ / ♪♩의 두가지 리듬형만이 등장한다.
두 창자의 공통점은, 가야금 반주 선율은 소리의 주요음을 따라 진행하여, 매 장단의 마지막에 소리가 쉴 때 가야금 반주가 공백을 메꾸어준다. 또한 소리와 반주 선율은 대부분 같은 진행 선을 보이고 있으나, 가야금의 경우 주법상의 특징으로 인해 옥타브로 도약하거나 리듬분할이나 꾸밈음이 보이고 있다.
본고에서는, 그 발생 역사를 19세기 후반으로 보고 있는 가야금 병창(竝唱) 중 <수궁가>의 한 대목인 ‘여봐라 주부야’에 대한 음악적 고찰을 하였다. 특히 거의 한 세대의 시차(時差)를 두고 있으며 김창조-오태석을 거치는 박귀희제와 한숙구-서공철을 거치는 강정열제에 대한 음악적 특징을 분석 ․ 비교하였다.
음악적인 분석의 대상은 두 창자(唱者) ‘여봐라 주부야’의 사설과 리듬, 음조직 및 음역, 그리고 소리와 반주 선율 진행 유형 등이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음악적 특징이 확인되었다.
첫째, 박귀희의 사설은 19장단으로 구성된데 비해 강정열의 사설은 10장단이 확대된 29장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두 창자 사설의 음조에 따른 비교는 박귀희의 경우 각 사설의 내용에 민감하게 그 음조를 평조와 계면성으로 바꾼 반면, 강정열은 한 장단만이 평조성이고 나머지 모두가 계면성으로 표현하고 있다.
둘째, 박귀희와 강정열의 리듬은 박귀희의 경우 강정열 보다 싱코페이션과 분할 리듬을 많이 사용하며, 박귀희의 경우 강정열 보다 각 장단의 끝에 쉼표 처리를 빈번히 하고 있다.
셋째, 박귀희의 음조직은 악곡 전체에 걸쳐 d음을 요성하고 e-d음으로 퇴성하는 시김새와 간혹 f음이 출현하는 북부경토리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또한 악곡의 중간에 간혹 b음이 출현하여 육자백이토리의 특징도 보이고 있다. 강정열의 음조직은 악곡 전체에 걸쳐 e음을 요성하고 c-b음으로 퇴성하는 육자백이토리의 특징을 보이고 있지만, 간혹 e음을 요성하는 메나리토리와 e-d음으로 퇴성하는 북부경토리의 특징도 보이고 있다.
넷째, 사용 음역에 있어서는 박귀희와 강정열이 동일하게 d'-b♭''으로 한 옥타브 반을 사용한다.
다섯째, 소리와 가야금 반주 선율 진행 유형은 박귀희는 강정열에 비해 창과 가야금이 같은 음역으로 진행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즉 박귀희의 경우 소리와 가야금 선율이 거의 동일하게 진행된 유형, 창과 가야금 선율 및 리듬이 동일하게 진행된 유형, 소리의 리듬형이 잘게 분할 될 경우 가야금이 긴 시가의 음으로 연주된 유형의 세 가지 유형을 보이고 있다.강정열의 경우 역시 세가지 유형으로 이루어져있다. 즉, 하나의 음절이 여러 음으로 나뉘어질 때 이음줄이 붙은 유형, 가사 내에 꾸밈음이 있는 경우는 이음줄 없이 임시표나 꾸밈음 만으로 기보된 유형, 옥타브를 포함한 여러 음으로 나뉘어질 때 일정한 순서가 없이 진행되는 유형들 이다.
여섯째, 박귀희와 강정열의 소리와 반주 선율의 차이점은, 박귀희의 경우 강정열에 비해 가야금이 주법 관련 부호가 비교적 상세히 표현되고 있다. 또한 가야금 반주 부분에 있어서 두 음을 동시에 뜯는 주법이 나타난다. 이에 비해 강정열은 가사가 많아질수록 리듬은 간결해지고, 이음줄이나 꾸밈음 부분이 복잡하게 나타난다. 또한 노래가 쉬고 있을 때 가야금의 리듬형은 오직 ♩♪ / ♪♩의 두가지 리듬형만이 등장한다.
두 창자의 공통점은, 가야금 반주 선율은 소리의 주요음을 따라 진행하여, 매 장단의 마지막에 소리가 쉴 때 가야금 반주가 공백을 메꾸어준다. 또한 소리와 반주 선율은 대부분 같은 진행 선을 보이고 있으나, 가야금의 경우 주법상의 특징으로 인해 옥타브로 도약하거나 리듬분할이나 꾸밈음이 보이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an art piece, 'Hey, turtle,' a part in that belongs to a genre of Gayageum Byeongchang, which is estimated to start in the late 19th century. Particularly, the study attempts to analyze and compare two musical characteristics between Gui-Hee Park's style handed down from Ch...
This study investigates an art piece, 'Hey, turtle,' a part in that belongs to a genre of Gayageum Byeongchang, which is estimated to start in the late 19th century. Particularly, the study attempts to analyze and compare two musical characteristics between Gui-Hee Park's style handed down from Chang-Jo Kim and Tae-Seok Oh, and Jung-Yeol Kang's style handed down from Suk-Gu Han and Gong-Chul Seo, between which there are one gap in generation.
The targets of this study are the saseol, the rhythm, the tonal system, the voice range, the progressing patters of the singing voice and the melody in accompaniment of the two singers in 'Hey, turtle.' The musical features examined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Kang's saseol consists of 29 beats, extended by 10 beats more, while Park's is made up of 19 beats. Additionally, in term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aseol's pitches between the two singers, Park sensitively changes the pitches between Pyeongjo and Gyemyeon style, whereas Kang expresses all in Gyemyeon style except one beat in Pyeonjo style.
Secondly, concerning the rhythms of Park and Kang, Park uses more syncopation and divided rhythms than Kang. Also, Park put more frequent rests than Kang at the end of each beat.
Thirdly, Park's tonal system features Sigimsae doing Yoseong on d-note and Toeseong into e-d note, and Bukbugyeong-tori sometimes having f-note. Besides, it is characterized by Yukjabegi-tori because of occasional b-notes in the middle of a piece. Meanwhile, Kang's distinct traits are Yoseong on e-note and Toeseong into e-d note throughout a piece, but Menari-tori doing Yoseong on e-note and Bukbugyeong-tori doing Toeseong into e-d note as well.
Fourthly, concerning the voice range, both of Park and Kang have a range of one and a half octaves, using d'-b♭''.
Fifthly, concerning the progressing patters of the singing voice and the melody in accompaniment, it is indicated that Park's sound of chang and gayageum progresses in the same range, compared with Kang's. That is, Park's is classified into almost the same progress type between the singing voice and the gayageum melody, the same progress type between the chang, the gayageum melody and the rhythm, and the type of playing the gayageum as the notes of the classical poetry in the case of small split patterns of rhythms in sound. Kang's has those three types as well. In other words, they are the slur-added type when one syllable is divided into several, the type notated with accidentals or trills without slurs when there are trills in lyrics, and the randomly progressed type when there are notes divided into several including octaves.
Sixthly, as for the differences in the singing voice and the melody in accompaniment, the signs related to gayageum playing styles in Park's are relatively displayed in more detail than Kang's. In addition, the playing style, plucking the two strings at the same time, appears in the gayageum accompaniment of Park. Meanwhile, in Kang's, as lyrics get longer, rhythms get simpler, and slurs or trills get more complex. Moreover, during the pauses in lyrics, there are only two types of rhythms such as ♩♪ / ♪♩ in playing the gayageum.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in common, the melody in the gayageum accompaniment progresses following the main notes of a song, and the accompaniment fills in the pauses in singing at the end of each beat. Also, the melodies of both singing and accompaniment flow mostly the same, but, in the case of the gayageum, raising octaves, split rhythms or trills appear for its playing styles.
This study investigates an art piece, 'Hey, turtle,' a part in that belongs to a genre of Gayageum Byeongchang, which is estimated to start in the late 19th century. Particularly, the study attempts to analyze and compare two musical characteristics between Gui-Hee Park's style handed down from Chang-Jo Kim and Tae-Seok Oh, and Jung-Yeol Kang's style handed down from Suk-Gu Han and Gong-Chul Seo, between which there are one gap in generation.
The targets of this study are the saseol, the rhythm, the tonal system, the voice range, the progressing patters of the singing voice and the melody in accompaniment of the two singers in 'Hey, turtle.' The musical features examined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Kang's saseol consists of 29 beats, extended by 10 beats more, while Park's is made up of 19 beats. Additionally, in term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aseol's pitches between the two singers, Park sensitively changes the pitches between Pyeongjo and Gyemyeon style, whereas Kang expresses all in Gyemyeon style except one beat in Pyeonjo style.
Secondly, concerning the rhythms of Park and Kang, Park uses more syncopation and divided rhythms than Kang. Also, Park put more frequent rests than Kang at the end of each beat.
Thirdly, Park's tonal system features Sigimsae doing Yoseong on d-note and Toeseong into e-d note, and Bukbugyeong-tori sometimes having f-note. Besides, it is characterized by Yukjabegi-tori because of occasional b-notes in the middle of a piece. Meanwhile, Kang's distinct traits are Yoseong on e-note and Toeseong into e-d note throughout a piece, but Menari-tori doing Yoseong on e-note and Bukbugyeong-tori doing Toeseong into e-d note as well.
Fourthly, concerning the voice range, both of Park and Kang have a range of one and a half octaves, using d'-b♭''.
Fifthly, concerning the progressing patters of the singing voice and the melody in accompaniment, it is indicated that Park's sound of chang and gayageum progresses in the same range, compared with Kang's. That is, Park's is classified into almost the same progress type between the singing voice and the gayageum melody, the same progress type between the chang, the gayageum melody and the rhythm, and the type of playing the gayageum as the notes of the classical poetry in the case of small split patterns of rhythms in sound. Kang's has those three types as well. In other words, they are the slur-added type when one syllable is divided into several, the type notated with accidentals or trills without slurs when there are trills in lyrics, and the randomly progressed type when there are notes divided into several including octaves.
Sixthly, as for the differences in the singing voice and the melody in accompaniment, the signs related to gayageum playing styles in Park's are relatively displayed in more detail than Kang's. In addition, the playing style, plucking the two strings at the same time, appears in the gayageum accompaniment of Park. Meanwhile, in Kang's, as lyrics get longer, rhythms get simpler, and slurs or trills get more complex. Moreover, during the pauses in lyrics, there are only two types of rhythms such as ♩♪ / ♪♩ in playing the gayageum.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in common, the melody in the gayageum accompaniment progresses following the main notes of a song, and the accompaniment fills in the pauses in singing at the end of each beat. Also, the melodies of both singing and accompaniment flow mostly the same, but, in the case of the gayageum, raising octaves, split rhythms or trills appear for its playing styl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