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바다골재자원 개발에 따른 부유토사 확산 저감방안 연구 (A)Method to Protect the Dispersion of Suspended Sediment Resulting From Development of Marine Sand and Gravel Resource원문보기
본 연구는 안정적인 골재자원 수급을 목적으로 2004년 12월에 개정된 골재채취법에 근거하여 지자체 혹은 수자원공사의 골재채취단지 지정 및 개발에 적합한 골재부존지역을 제시하고자 조사된바 있다. 조사구역은 남해-거제남부 해역(그림 1) 으로 해저지질도에 분포하는 지형 및 해저지질 정보를 기초로 선정된 곳이다.(KIGAM, 2007) 현지조사는 탄성파 탐사와 표층시료 채취 및 5개 지점에 대한 진동식 주상시추시료를 획득하였으며, 각종 실내 분석과 자료해석을 기초로 퇴적환경과 해저지형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조사구역에 분포하고 있는 뻘층과 모래층의 등층후도를 작성하고 이를 토대로 골재자원을 평가하였다. 항만공사에서 발생하는 부유토사가 다양한 형태로 ...
본 연구는 안정적인 골재자원 수급을 목적으로 2004년 12월에 개정된 골재채취법에 근거하여 지자체 혹은 수자원공사의 골재채취단지 지정 및 개발에 적합한 골재부존지역을 제시하고자 조사된바 있다. 조사구역은 남해-거제남부 해역(그림 1) 으로 해저지질도에 분포하는 지형 및 해저지질 정보를 기초로 선정된 곳이다.(KIGAM, 2007) 현지조사는 탄성파 탐사와 표층시료 채취 및 5개 지점에 대한 진동식 주상시추시료를 획득하였으며, 각종 실내 분석과 자료해석을 기초로 퇴적환경과 해저지형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조사구역에 분포하고 있는 뻘층과 모래층의 등층후도를 작성하고 이를 토대로 골재자원을 평가하였다. 항만공사에서 발생하는 부유토사가 다양한 형태로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수 있다. 국내에서는 연안공사시 발생되는 부유토사의 확산 저감방안으로 오탁방지막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해상조건으로 판단할 때 오탁확산 저감효율이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해역까지 오탁방지막을 설치하고, 관리부실로 인하여 방지막 자체가 환경폐기물화 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없었다. 따라서, 오탁방지막 설치실태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오탁방지막 설치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효율적인 오탁방지막 설치 방안을 모색하였다. 오탁방지막의 경우 국내 공사현장에서의 설치방식, 관리실태 파악과 아울러 주요 공사지점에서 방지막 전후의 부유퇴적물 농도를 관측하여 그 저감효율을 파악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파악된 설치․운용 실태 및 효율과 일본의 사례를 비교 검토하여 향후 국내의 오탁방지막 효율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내의 오탁방지막 유지관리 실태는 만족스럽지 않으며, 대부분 설치가 불필요하거나 높은 효율을 기대할 수 없는 곳이 많은 편이다. 일본의 경우와 비교하면 국내 오탁방지막 설치 및 유지관리 실태는 비효울적이며 형식적인 곳도 있다. 이상의 문헌 및 현장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향후 오탁방지막의 불필요한 설치를 지양하고 효율을 제고할 수 있도록, 설치에 필요한 수리기준, 방지막의 형식 및 평면배치에 관한 지침을 제안하였으나, 미진한 부분을 보완하고 누락된 부분에 관한 추가조사를 실시하는 등 지속적인 보완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안정적인 골재자원 수급을 목적으로 2004년 12월에 개정된 골재채취법에 근거하여 지자체 혹은 수자원공사의 골재채취단지 지정 및 개발에 적합한 골재부존지역을 제시하고자 조사된바 있다. 조사구역은 남해-거제남부 해역(그림 1) 으로 해저지질도에 분포하는 지형 및 해저지질 정보를 기초로 선정된 곳이다.(KIGAM, 2007) 현지조사는 탄성파 탐사와 표층시료 채취 및 5개 지점에 대한 진동식 주상시추시료를 획득하였으며, 각종 실내 분석과 자료해석을 기초로 퇴적환경과 해저지형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조사구역에 분포하고 있는 뻘층과 모래층의 등층후도를 작성하고 이를 토대로 골재자원을 평가하였다. 항만공사에서 발생하는 부유토사가 다양한 형태로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수 있다. 국내에서는 연안공사시 발생되는 부유토사의 확산 저감방안으로 오탁방지막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해상조건으로 판단할 때 오탁확산 저감효율이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해역까지 오탁방지막을 설치하고, 관리부실로 인하여 방지막 자체가 환경폐기물화 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없었다. 따라서, 오탁방지막 설치실태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오탁방지막 설치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효율적인 오탁방지막 설치 방안을 모색하였다. 오탁방지막의 경우 국내 공사현장에서의 설치방식, 관리실태 파악과 아울러 주요 공사지점에서 방지막 전후의 부유퇴적물 농도를 관측하여 그 저감효율을 파악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파악된 설치․운용 실태 및 효율과 일본의 사례를 비교 검토하여 향후 국내의 오탁방지막 효율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내의 오탁방지막 유지관리 실태는 만족스럽지 않으며, 대부분 설치가 불필요하거나 높은 효율을 기대할 수 없는 곳이 많은 편이다. 일본의 경우와 비교하면 국내 오탁방지막 설치 및 유지관리 실태는 비효울적이며 형식적인 곳도 있다. 이상의 문헌 및 현장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향후 오탁방지막의 불필요한 설치를 지양하고 효율을 제고할 수 있도록, 설치에 필요한 수리기준, 방지막의 형식 및 평면배치에 관한 지침을 제안하였으나, 미진한 부분을 보완하고 누락된 부분에 관한 추가조사를 실시하는 등 지속적인 보완이 필요하다.
The main object of the survey was to search potential mining area for marine sand resources in order to satisfy continuous aggregate demands. The survey area is located within a rectangular area of Namhae - Geojedo, which was selected based on the bathymetry and seafloor sediment character in the ma...
The main object of the survey was to search potential mining area for marine sand resources in order to satisfy continuous aggregate demands. The survey area is located within a rectangular area of Namhae - Geojedo, which was selected based on the bathymetry and seafloor sediment character in the marine geology map of korean seas(KIGAM, 2007). Detailed seafloor bathymetry and seismic characters of subsurface strata were obtained using geophysical equipments such as a high-resolution multi-beam echo-sounder and air-gun or chirp seismic system. In order to ground-check the geophysical data a grab sampler and a vibrocorer were used. The ship`s position was logged and maintained with 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during the whole survey. Sediment plumes generated by various harbor construction works and dredging operations can cause detrimental impact on coastal environment in various manners. As a unique measure against sediment plume, installation of silt screens have been under an obligation in most of coastal construction works in korea even in sea regimes where the efficiency of reducing plume spreading is strongly suspicious judging from the coastal hydrodynamic conditions, which requires additional but unnecessary construction costs. The worst situation is that silt screens themselves have occasionally become environmental waste due to poor management. Hence, it is also a urgent task to develop a guidance to solve the problems related to the screens and for optimal use of silt screens. For the second objective related to silt screens, actual states of domestic installation and management have been surveyed as well as field measurement of their performance and efficiency. The information obtained by domestic survey has been analysed and compared with foreign guidances and recommendations. Some desirable guidances and direction for optimal use of silt screens have been subsequently proposed. Comparing with japanese state, domestic maintenance of the silt screen has been proved to be poor state which should be improved as soon as possible. Actually, discussing on the management state is meaningless because the silt screens had been installed where installation itself seems to be needless or their good performance could not be expected.
The main object of the survey was to search potential mining area for marine sand resources in order to satisfy continuous aggregate demands. The survey area is located within a rectangular area of Namhae - Geojedo, which was selected based on the bathymetry and seafloor sediment character in the marine geology map of korean seas(KIGAM, 2007). Detailed seafloor bathymetry and seismic characters of subsurface strata were obtained using geophysical equipments such as a high-resolution multi-beam echo-sounder and air-gun or chirp seismic system. In order to ground-check the geophysical data a grab sampler and a vibrocorer were used. The ship`s position was logged and maintained with 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during the whole survey. Sediment plumes generated by various harbor construction works and dredging operations can cause detrimental impact on coastal environment in various manners. As a unique measure against sediment plume, installation of silt screens have been under an obligation in most of coastal construction works in korea even in sea regimes where the efficiency of reducing plume spreading is strongly suspicious judging from the coastal hydrodynamic conditions, which requires additional but unnecessary construction costs. The worst situation is that silt screens themselves have occasionally become environmental waste due to poor management. Hence, it is also a urgent task to develop a guidance to solve the problems related to the screens and for optimal use of silt screens. For the second objective related to silt screens, actual states of domestic installation and management have been surveyed as well as field measurement of their performance and efficiency. The information obtained by domestic survey has been analysed and compared with foreign guidances and recommendations. Some desirable guidances and direction for optimal use of silt screens have been subsequently proposed. Comparing with japanese state, domestic maintenance of the silt screen has been proved to be poor state which should be improved as soon as possible. Actually, discussing on the management state is meaningless because the silt screens had been installed where installation itself seems to be needless or their good performance could not be expect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