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 4, 5, 6학년 481명을 대상으로 한부모 가정과 양부모 가정 초등학생의 대인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에 관하여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이에 따라 대인관계성향 설문지와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설문지를 분석함으로써 한부모 가정 학생과 양부모 가정 학생의 학교생활에서 어떠한 차이를 가지고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고 교육적인 시사점을 얻는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한부모 가정과 양부모 가정 초등학생의 대인관계성향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한부모 가정과 양부모 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면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대인관계 성향척도는 안범희(1985)가 제작한 ‘대인관계성향검사’를 신만철(1993)이 문항을 축소화시킨 척도를 초등학교 수준에 맞게 각 하위요인 당 4문항씩 총 28문항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학교생활 적응의 검사도구는 코리안 테스팅 센터에서 출간한 김호권의 중학생들 용 표준화 검사 ‘나의 학교’ 영역과 김용래(2000)가 제작한 학교적응 척도를 초등학교 학생 실정에 맞게 4개의 하위영역인 수업태도에 대한 적응, 학교에 대한 적응, 교사에 대한 적응, 친구에 대한 적응의 각 4문항 씩 16문항으로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 4, 5, 6학년 481명을 대상으로 한부모 가정과 양부모 가정 초등학생의 대인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에 관하여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이에 따라 대인관계성향 설문지와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설문지를 분석함으로써 한부모 가정 학생과 양부모 가정 학생의 학교생활에서 어떠한 차이를 가지고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고 교육적인 시사점을 얻는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한부모 가정과 양부모 가정 초등학생의 대인관계성향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한부모 가정과 양부모 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면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대인관계 성향척도는 안범희(1985)가 제작한 ‘대인관계성향검사’를 신만철(1993)이 문항을 축소화시킨 척도를 초등학교 수준에 맞게 각 하위요인 당 4문항씩 총 28문항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학교생활 적응의 검사도구는 코리안 테스팅 센터에서 출간한 김호권의 중학생들 용 표준화 검사 ‘나의 학교’ 영역과 김용래(2000)가 제작한 학교적응 척도를 초등학교 학생 실정에 맞게 4개의 하위영역인 수업태도에 대한 적응, 학교에 대한 적응, 교사에 대한 적응, 친구에 대한 적응의 각 4문항 씩 16문항으로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SPSS 18.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을 통하여 한부모 가정의 학생과 양부모 가정의 학생 사이의 대인 관계 성향과 학교생활 적응 정도에 대한 응답 결과를 비교하고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해보았다. 이를 위해 두 집단 학생들의 응답 결과의 평균 및 표준편차, 평균의 차이를 산출하고 t검정을 통하여 이 차이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인지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 가정과 양부모 가정 초등학생 간의 대인관계 성향을 조사한 결과 양부모 가정 초등학생들은 역할성향에서 지배-우월적, 독립적- 책임감적인 성향, 사회관계성향에서는 동정-수용적 성향, 표현 성향에서는 반항-불신적 성향이 한부모 가정 초등학생들 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역할성향과 사회관계 성향에서는 한부모 가정 초등학생들 보다 좋은 성향을 유지하고 있지만 표현성향에서는 반항-불신적 성향과 관련해서는 선행 연구결과와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요즘 한자녀 가정의 시대에 태어나, 부모의 지나친 과보호적인 가정환경, 생활에 어려움을 경험하지 못하고, 자기 자신만 최고로 생각하는 이기적인 생각, 학교사회에 대한 불신적인 분위기와 맞물려 양부모 가정 초등학생들이 한부모 가정 초등학생들 보다 불평을 이야기하거나 남의 말을 무시하는 등의 반항적인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보인다. 둘째, 한부모 가정과 양부모 가정 초등학생 간의 학교생활 적응면에서 수업에 대한 적응을 제외하고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업에 대한 적응은 양부모가정 학생들이 좀더 적극적이며. 이는 앞서 분석한 역할 성향에서 독립-책임감적인 성향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자신이 해야할 일에 대한 책임감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유의하지는 않지만 전반적으로 한부모 가정 초등학생들이 낮은 적응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한부모 가정 초등학생의 자신감의 부족으로 학교생활에서도 대체적으로 소극적임을 알 수 있었고 학습에 대한 동기나 흥미, 교우관계 등에서는 가정환경이 미치는 영향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한부모 가족과 양부모 가정 초등학생의 대인관계성향에서는 대체적으로 양부모 가정의 한부모 가정보다 긍정적인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긍정적으로 작용하지 못하는 부분도 있다. 학교생활 적응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부분도 있지만 전반적으로 한부모 가정 초등학생들이 양부모 가정 초등학생들에 비해 낮은 적응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교사와 부모들은 한부모 가정 초등학생들에 대한 더 많은 사랑과 관심, 격려, 지지가 있어야 하겠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 4, 5, 6학년 481명을 대상으로 한부모 가정과 양부모 가정 초등학생의 대인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에 관하여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이에 따라 대인관계성향 설문지와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설문지를 분석함으로써 한부모 가정 학생과 양부모 가정 학생의 학교생활에서 어떠한 차이를 가지고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고 교육적인 시사점을 얻는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한부모 가정과 양부모 가정 초등학생의 대인관계성향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한부모 가정과 양부모 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면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대인관계 성향척도는 안범희(1985)가 제작한 ‘대인관계성향검사’를 신만철(1993)이 문항을 축소화시킨 척도를 초등학교 수준에 맞게 각 하위요인 당 4문항씩 총 28문항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학교생활 적응의 검사도구는 코리안 테스팅 센터에서 출간한 김호권의 중학생들 용 표준화 검사 ‘나의 학교’ 영역과 김용래(2000)가 제작한 학교적응 척도를 초등학교 학생 실정에 맞게 4개의 하위영역인 수업태도에 대한 적응, 학교에 대한 적응, 교사에 대한 적응, 친구에 대한 적응의 각 4문항 씩 16문항으로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SPSS 18.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을 통하여 한부모 가정의 학생과 양부모 가정의 학생 사이의 대인 관계 성향과 학교생활 적응 정도에 대한 응답 결과를 비교하고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해보았다. 이를 위해 두 집단 학생들의 응답 결과의 평균 및 표준편차, 평균의 차이를 산출하고 t검정을 통하여 이 차이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인지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 가정과 양부모 가정 초등학생 간의 대인관계 성향을 조사한 결과 양부모 가정 초등학생들은 역할성향에서 지배-우월적, 독립적- 책임감적인 성향, 사회관계성향에서는 동정-수용적 성향, 표현 성향에서는 반항-불신적 성향이 한부모 가정 초등학생들 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역할성향과 사회관계 성향에서는 한부모 가정 초등학생들 보다 좋은 성향을 유지하고 있지만 표현성향에서는 반항-불신적 성향과 관련해서는 선행 연구결과와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요즘 한자녀 가정의 시대에 태어나, 부모의 지나친 과보호적인 가정환경, 생활에 어려움을 경험하지 못하고, 자기 자신만 최고로 생각하는 이기적인 생각, 학교사회에 대한 불신적인 분위기와 맞물려 양부모 가정 초등학생들이 한부모 가정 초등학생들 보다 불평을 이야기하거나 남의 말을 무시하는 등의 반항적인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보인다. 둘째, 한부모 가정과 양부모 가정 초등학생 간의 학교생활 적응면에서 수업에 대한 적응을 제외하고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업에 대한 적응은 양부모가정 학생들이 좀더 적극적이며. 이는 앞서 분석한 역할 성향에서 독립-책임감적인 성향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자신이 해야할 일에 대한 책임감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유의하지는 않지만 전반적으로 한부모 가정 초등학생들이 낮은 적응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한부모 가정 초등학생의 자신감의 부족으로 학교생활에서도 대체적으로 소극적임을 알 수 있었고 학습에 대한 동기나 흥미, 교우관계 등에서는 가정환경이 미치는 영향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한부모 가족과 양부모 가정 초등학생의 대인관계성향에서는 대체적으로 양부모 가정의 한부모 가정보다 긍정적인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긍정적으로 작용하지 못하는 부분도 있다. 학교생활 적응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부분도 있지만 전반적으로 한부모 가정 초등학생들이 양부모 가정 초등학생들에 비해 낮은 적응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교사와 부모들은 한부모 가정 초등학생들에 대한 더 많은 사랑과 관심, 격려, 지지가 있어야 하겠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