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양부모 가정과 한부모 가정 학령기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
Comparison of the Factors Influencing Children's Self-esteem between Two Parent Families and Single Parent Famili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0 no.3, 2010년, pp.367 - 377  

석소현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  신성희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compare factors influencing children's self-esteem between two parent families and single parent famili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692 children aged 11 to 13 yr (388 in two parent families and 304 in single parent families) recruited from 20 community agenci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양부모 가정과 한부모 가정 학령기 아동의 자아존중감 정도를 비교하고, 두 집단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개인특성 요인, 가족관련 요인, 사회 ∙ 환경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총체적으로 비교하고자 한다. 문헌 고찰 결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 요인으로 아동의 내적통제성이 높을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으며(Min, 2002; Shin, 2006), 문제행동이 많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고(Chung & Yuh, 2009; Han & Kim, 2006), 학업성적(Hwang & Yeo, 2006; Kim & Kang, 1999)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음이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양부모 가정과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관련요인의 차이를 비교하고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를 근거로 개인특성 요인의 내적통제성, 문제행동, 학업성적, 가족관련 요인의 가족강인성, 부모-자녀 의사소통, 사회 ∙ 환경적 요인의 사회적 지지가 가족형태에 따라 학령기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양부모 가정과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그 영향요인을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비교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양부모 가정과 한부모 가정 학령기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관련요인의 차이를 비교하고, 두 집단 간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근면성과 건강한 자아상의 형성이 중요한 발달과업인 학령기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관련 요인인 개인특성 요인의내적통제성, 문제행동, 학업성적과 가족관련 요인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가족강인성, 사회 ∙ 환경적 요인의 사회적 지지가 가족형태에 따라 다르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 또한 사회∙환경적 요인으로 아동이 가족, 교사, 친구의 지지 등 사회적 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음이 확인되었다(Chung & Yuh, 2009; Hwang & Yeo, 2006; Lee, 2003; Yoon & Ryu, 2007). 이러한 관련 요인들이 양부모 가정과 한부모 가정 학령기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학령기 아동과 관련된 부모, 초등학교 상담교사 및 보건교사, 지역사회 정신보건 전문가들이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과 학교보건사업계획 시 다양한 가족형태에 따른 구체적인 간호중재 방안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기의 자아존중감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아동기의 자아존중감은 발달과 적응 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행동, 동기, 성취 및 사회적 관계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영향을 미친다(Chung & Yuh, 2009). 높은 자아존중감은 건강한 행동 및 적응과 관련이 있고, 낮은 자아존중감은 자기 확신이 부족하고 의존적이며 불안, 우울 등과 같은 신경증적인 행동을 많이 나타낸다(Hwang & Yeo, 2006).
자아존중감이 낮은 경우 어떤 행동을 나타내는가? 아동기의 자아존중감은 발달과 적응 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행동, 동기, 성취 및 사회적 관계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영향을 미친다(Chung & Yuh, 2009). 높은 자아존중감은 건강한 행동 및 적응과 관련이 있고, 낮은 자아존중감은 자기 확신이 부족하고 의존적이며 불안, 우울 등과 같은 신경증적인 행동을 많이 나타낸다(Hwang & Yeo, 2006). 특히 학령기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성인기의 주요과업과 행동을 예측한다는 점(Chung & Yuh, 2009)에서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의 형성은 이 시기에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의 한부모 가정이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한부모 가정이란 이혼, 사별, 유기, 미혼모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가정으로 현재 18세 미만의 자녀와 살면서 자녀를 부양하고 부모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한부모와 자녀의 집단을 말한다. 최근 우리나라는 산업화, 도시화에 따른 사회구조의 변화, 여성의 사회진출 그리고 가치와 규범의 변화에 의하여 한부모 가정이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 자료(2009)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한부모 가정은 137만 가구로 2004년에 비해 2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chenbach, T. M., & Edelbrock, C. (1991).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4-18 and 1990 profile.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2. Barens, H., & Olson, D. H. (1982).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inventories.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3. Cha, Y. L. (2001). A study on th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4. Cho, K. M., & Joo, H. J. (2003). A comparative study on the mental health, behaviors between the divorced family adolescents and parent family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12, 543-551. 

  5. Cho, S. A. (2004). Differences in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according to the level of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children of divor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6. Chung, M. J., & Yuh, J. I. (2009). Effects of individual and social factors on children's affective problems and self-worth.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0(3), 71-82. 

  7. Dubow, E. F., & Ulman, D. G. (1989). Assessing social suppor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rvey of children's social support.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 52-64. 

  8. Han, M. H., & Yoo, A. J. (2003). The relation of 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to problem behavior.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7, 173-188. 

  9. Han, S. S., & Kim, K. M. (2006). Influencing factors on self-esteem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37-44. 

  10. Hwang, M. H., & Yeo, T. C. (2006). Self-esteem and social-psychological adjustment of Korean children.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15, 165-185. 

  11. Jeon, B. J.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1, 107-130. 

  12. Joo, S. H., & Cho, S. W. (2004). Impact of conflict and nurturing factors for the divorced parents on the behavioral adaptation of their childre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6, 215-238. 

  13. Kim, M. J. (2005).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children's adaptation in single parent famil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14. Kim, M. H., & Kang, M. H. (1999). Relevant variables of children's self-esteem: Analysis of the causal model.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 195-211. 

  15. Kim, Y. R., & An, M. J. (2005).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fference of gender-role identity and self-esteem between children of broken homes and those of normal homes.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36, 105-124. 

  16.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9). A report of population and households. Retrieved January 20, 2010, from http://kosis.kr/metadata/main.jsp?c_id1962004 

  17. Kwon, Y. M. (2000). The effects of parents' divorce on child self-esteem and socializ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8. Lee, K. L. (2003). The effects of children's perceived communications with mothers, self-esteem on school adjustment. The Human Ecology Research Institute Dong-A University, 11, 197-214. 

  19. Lee, Y. A. (1995). A study of perceived family adaptation in patient with chronic renal failure. Journal of Nursing Query, 4, 147-164. 

  20. McCubbin, M. A., McCubbin, H. I., & Thompson, A. I. (1986). Family hardiness index (FHI). In H. I. McCubbin, A. I. Thompson, & M. A. McCubbin. (1996), Family assessment: Resiliency, coping and adaptation-Inventory for research and practice (pp. 239-305).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System. 

  21. Min, H. Y. (1992). The relation between juvenile deliquency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2, 112-124. 

  22. Min, H. Y. (2002). Loneliness of school age children: Relationship with locus of control and coping in the peer alienation situatio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3(3), 51-63. 

  23. Min, H. Y., Lee, Y. J., & Kim, K. H.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adolescent's alienation in single mother-headed family and two parent family.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6(3), 15-23. 

  24. Nam, H. A., & Yang, S. (2005).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role stress in parents of primary school stud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14, 323-334. 

  25. Oh, K. J., Lee, H. L., Hong, K. Y., & Ha, E. H. (1997). K-CBCL: Korean children behavior checklist. Seoul: Chungangjucksung Publication. 

  26. Oh, S. H. (2001). A comparative study on family system and psycho- social characteristics among male-headed, female-headed, and normal families. Korean Journal of Child Welfare, 12, 77-107. 

  27. Park, H. S. (1998). The developmental mechanism of school resilience of Korean adolescents in povert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5, 147-165. 

  28. Park, S. H. (2004).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family system and the child's self-esteem perceived by the child.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9.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30. Shin, S. H. (2006). A structural model for children's adaptation in divorced famil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31. Yoon, H. M., & Ryu, N. M. (2007). Effects of family function,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roblem behavior. Kor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33, 215-2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