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속도계를 활용하여 에너지소비량을 간편하게 측정하는 것은 운동과학의 현장과 연구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가속도계에 비하여 실용성을 강조하여 새롭게 개발한 가속도계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이 타당도를 제고하기 위하여 회귀식을 개발하는 것이다. K대학교에 재학 중인 47명의 대학생(남자 24명과 여자 23명)을 피검자로 선정하였다. 이들은 호흡가스분석기의 일종인 Vmax229와 연결하고, 동시에 현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가속도계인 Lifecorder와 신개발 가속도계를 착용한 상태로 ...
가속도계를 활용하여 에너지소비량을 간편하게 측정하는 것은 운동과학의 현장과 연구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가속도계에 비하여 실용성을 강조하여 새롭게 개발한 가속도계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이 타당도를 제고하기 위하여 회귀식을 개발하는 것이다. K대학교에 재학 중인 47명의 대학생(남자 24명과 여자 23명)을 피검자로 선정하였다. 이들은 호흡가스분석기의 일종인 Vmax229와 연결하고, 동시에 현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가속도계인 Lifecorder와 신개발 가속도계를 착용한 상태로 트레드밀에서 운동을 실시하였다. 저강도(4.8 km/h), 중강도(6.4 km/h), 그리고 고강도(9.7 km/h)에서 각각 6분간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강도 간에 5분씩의 휴식시간을 가졌다. 세 측정장비로 측정한 에너지소비량을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4.8 km/h에서 세 가지 측정장비 간의 에너지소비량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6.4 km/h에서는 Vmax229와 신개발 가속도계 간, 그리고 Lifecorder와 신개발 가속도계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9.7 km/h에서는 세 장비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세 가지 운동강도별로, 세 가지 측정장비로 얻은 에너지소비량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전체 강도를 포함하여 분석한 결과 역시 세 측정장비의 에너지소비량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특히, 신개발 가속도계가 Lifecorder에 비하여 Vmax229와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3) 신개발 가속도계로 얻은 에너지소비량을 이용하여 Vmax229로 얻은 에너지소비량을 추정하는 회귀식은 【 Vmax229 에너지소비량 = (0.884 × 신개발 가속도계 에너지소비량) + 6.41 】로 나타났다. 4) 이 회귀식을 활용하여 보정한 신개발 가속도계의 에너지소비량은 Vmax229로 얻은 에너지소비량과 모든 운동강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연구에서 개발한 회귀식을 이용하여, 신개발 가속도계로 측정한 에너지소비량을 보정하여 사용하는 경우 그 타당도가 매우 높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실용성을 강조하여 새롭게 개발한 가속도계를 운동과학 현장과 연구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내포한다. 향후 보다 다양한 운동유형과 강도를 적용하여 보다 넓은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신개발 가속도계의 타당도를 확보한다면 그 활용 범위가 더 확대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가속도계를 활용하여 에너지소비량을 간편하게 측정하는 것은 운동과학의 현장과 연구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가속도계에 비하여 실용성을 강조하여 새롭게 개발한 가속도계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이 타당도를 제고하기 위하여 회귀식을 개발하는 것이다. K대학교에 재학 중인 47명의 대학생(남자 24명과 여자 23명)을 피검자로 선정하였다. 이들은 호흡가스분석기의 일종인 Vmax229와 연결하고, 동시에 현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가속도계인 Lifecorder와 신개발 가속도계를 착용한 상태로 트레드밀에서 운동을 실시하였다. 저강도(4.8 km/h), 중강도(6.4 km/h), 그리고 고강도(9.7 km/h)에서 각각 6분간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강도 간에 5분씩의 휴식시간을 가졌다. 세 측정장비로 측정한 에너지소비량을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4.8 km/h에서 세 가지 측정장비 간의 에너지소비량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6.4 km/h에서는 Vmax229와 신개발 가속도계 간, 그리고 Lifecorder와 신개발 가속도계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9.7 km/h에서는 세 장비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세 가지 운동강도별로, 세 가지 측정장비로 얻은 에너지소비량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전체 강도를 포함하여 분석한 결과 역시 세 측정장비의 에너지소비량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특히, 신개발 가속도계가 Lifecorder에 비하여 Vmax229와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3) 신개발 가속도계로 얻은 에너지소비량을 이용하여 Vmax229로 얻은 에너지소비량을 추정하는 회귀식은 【 Vmax229 에너지소비량 = (0.884 × 신개발 가속도계 에너지소비량) + 6.41 】로 나타났다. 4) 이 회귀식을 활용하여 보정한 신개발 가속도계의 에너지소비량은 Vmax229로 얻은 에너지소비량과 모든 운동강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연구에서 개발한 회귀식을 이용하여, 신개발 가속도계로 측정한 에너지소비량을 보정하여 사용하는 경우 그 타당도가 매우 높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실용성을 강조하여 새롭게 개발한 가속도계를 운동과학 현장과 연구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내포한다. 향후 보다 다양한 운동유형과 강도를 적용하여 보다 넓은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신개발 가속도계의 타당도를 확보한다면 그 활용 범위가 더 확대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It is very important to measure energy expenditure easily by means of an accelerometer in the field and/or research area of exercise science. This study was designed to test the validity of a newly developed accelerometer and to create a regression equation to enhance the validity of the acceleromet...
It is very important to measure energy expenditure easily by means of an accelerometer in the field and/or research area of exercise science. This study was designed to test the validity of a newly developed accelerometer and to create a regression equation to enhance the validity of the accelerometer. Forty-seven collegiate students (24 males and 23 females) walked and/or ran on a treadmill with connection to Vmax229, a kind of gas analyzer, as well as wearing Lifecorder, currently wide-used accelerometer, and newly developed accelerometer on their waist. They exercised at three different intensities, i.e., 4.8 km/h, 6.4 km/h, and 9.7 km/h, for six minutes for each intensity, and rested for five-minute between the intensities. Energy expenditure measured by the three instruments were compared utilizing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nergy expenditure among three instruments at 4.8 km/h.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energy expenditure between Vmax229 and newly developed accelerometer and between Lifecorder and newly developed accelerometer at 6.4 km/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nergy expenditure among three instruments at 9.7 km/h. 2)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energy expenditure among three instruments. Especially, newly developed accelerometer showed higher correlation with Vmax229 than the correlation between Vmax229 and Lifecorder. 3) A regression equation to predict the energy expenditure of Vmax 229 utilizing the energy expenditure of newly developed accelerometer was created as follows: 【 Energy expenditure of Vmax229 = (0.884 × energy expenditure of newly developed accelerometer) + 6.41 】.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nergy expenditure among three instruments after correcting the values of newly developed accelerometer utilizing the regression equation in all intensities. It was concluded that the validity of newly developed accelerometer was high enough to use in the case of applying the regression equation. The present study has a great deal of meaning, providing a theoretical basis to use newly developed accelerometer in the field and/or research area of exercise science. Research investigating the validity of newly developed accelerometer including larger range of ages of subjects, more types and intensities of exercise would be warranted in the future.
It is very important to measure energy expenditure easily by means of an accelerometer in the field and/or research area of exercise science. This study was designed to test the validity of a newly developed accelerometer and to create a regression equation to enhance the validity of the accelerometer. Forty-seven collegiate students (24 males and 23 females) walked and/or ran on a treadmill with connection to Vmax229, a kind of gas analyzer, as well as wearing Lifecorder, currently wide-used accelerometer, and newly developed accelerometer on their waist. They exercised at three different intensities, i.e., 4.8 km/h, 6.4 km/h, and 9.7 km/h, for six minutes for each intensity, and rested for five-minute between the intensities. Energy expenditure measured by the three instruments were compared utilizing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nergy expenditure among three instruments at 4.8 km/h.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energy expenditure between Vmax229 and newly developed accelerometer and between Lifecorder and newly developed accelerometer at 6.4 km/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nergy expenditure among three instruments at 9.7 km/h. 2)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energy expenditure among three instruments. Especially, newly developed accelerometer showed higher correlation with Vmax229 than the correlation between Vmax229 and Lifecorder. 3) A regression equation to predict the energy expenditure of Vmax 229 utilizing the energy expenditure of newly developed accelerometer was created as follows: 【 Energy expenditure of Vmax229 = (0.884 × energy expenditure of newly developed accelerometer) + 6.41 】.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nergy expenditure among three instruments after correcting the values of newly developed accelerometer utilizing the regression equation in all intensities. It was concluded that the validity of newly developed accelerometer was high enough to use in the case of applying the regression equation. The present study has a great deal of meaning, providing a theoretical basis to use newly developed accelerometer in the field and/or research area of exercise science. Research investigating the validity of newly developed accelerometer including larger range of ages of subjects, more types and intensities of exercise would be warranted in the futur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