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집중력 훈련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개념, 정서 및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effects of concentration training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concepts, emotion and concentration원문보기
본 연구는 집중력 훈련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개념, 정서 및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집중력 훈련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개념, 정서 및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중학생들의 학업능력 향상이나 상담프로그램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집중력 향상 프로그램을 받은 집단은 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자아개념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집중력 향상 프로그램을 받은 집단은 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정서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셋째, 집중력 향상 프로그램을 받은 집단은 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집중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본 연구의 대상자는 S중학교 1학년 학생들로 실험집단(9명)과 통제 집단(9명)을 무선표집하여 할당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 모형은 사전-사후 유사실험 통제집단 설계이다. 연구도구는 집중력 점검검사, 집중력 방해하는 요인검사, 자아개념검사, 정서평가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절차는 집중력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 하기를 희망하는 학생 9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2010년 6월 부터 10월 까지 실시하였다. 집중력 향상 프로그램은 총 15회기로 매회 45분씩 본 연구자가 직접 참여하여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실험-통제 집단 간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 검사 결과 동질성을 검증하고, 집중력 향상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실험 집단 사후검사와 통제 집단 사후검사를 비교 분석한다. 이들 분석을 위해 통계 프로그램인 ...
본 연구는 집중력 훈련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개념, 정서 및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집중력 훈련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개념, 정서 및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중학생들의 학업능력 향상이나 상담프로그램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집중력 향상 프로그램을 받은 집단은 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자아개념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집중력 향상 프로그램을 받은 집단은 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정서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셋째, 집중력 향상 프로그램을 받은 집단은 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집중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본 연구의 대상자는 S중학교 1학년 학생들로 실험집단(9명)과 통제 집단(9명)을 무선표집하여 할당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 모형은 사전-사후 유사실험 통제집단 설계이다. 연구도구는 집중력 점검검사, 집중력 방해하는 요인검사, 자아개념검사, 정서평가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절차는 집중력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 하기를 희망하는 학생 9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2010년 6월 부터 10월 까지 실시하였다. 집중력 향상 프로그램은 총 15회기로 매회 45분씩 본 연구자가 직접 참여하여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실험-통제 집단 간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 검사 결과 동질성을 검증하고, 집중력 향상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실험 집단 사후검사와 통제 집단 사후검사를 비교 분석한다. 이들 분석을 위해 통계 프로그램인 SPSS 10.0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 편차를 산출하여 t-검증을 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중력 훈련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그렇지 않은 통제 집단의 자아개념 사전-사후검사결과 실험집단의 자아개념의 하위 영역인 신체자아, 도덕적 자아 , 성격적 자아, 자아평가에서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정서평가하위영역의 차이검증 결과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실험집단의 연구대상자들이 통제집단의 연구대상자들보다 부적 정서인 실망감 정서와 초조감 정서 경험이 현저히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집중력 하위 영역 검사 중 집중력 점검 요인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집중력 방해요인에서는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결과를 통해 제언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주의 집중력이 낮은 학생들로 이루어진 집단으로 학습의욕도 낮은 집단이었으며 개별적 요구와 능력, 자발성 등이 제 각각이어서 수준을 맞추기가 쉽지 않았다. 능력별로 프로그램을 진행할 필요를 느꼈고 집중력향상 프로그램을 더욱 체계화 하여 집중력을 높여주고 학습의욕 까지도 높여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도록 노력 해야겠다. 둘째, 집중력 향상 프로그램이 단기간에 이루어져서 행동화 내면화 시키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프로그램 진행자와 학생 간에 라포가 형성되고 서로가 알아 갈 때 프로그램이 끝나서 학생들에게 내면화 시키기는 어려움이 있었다. 더욱 세분화 되고 체계화 된 프로그램을 가지고 1년 과정의 프로그램을 진행한다면 더욱 좋은 성과가 있으리라 기대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집중력 훈련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개념, 정서 및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중학생들의 학업능력 향상이나 상담프로그램 등의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집중력 훈련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개념, 정서 및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집중력 훈련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개념, 정서 및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중학생들의 학업능력 향상이나 상담프로그램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집중력 향상 프로그램을 받은 집단은 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자아개념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집중력 향상 프로그램을 받은 집단은 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정서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셋째, 집중력 향상 프로그램을 받은 집단은 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집중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본 연구의 대상자는 S중학교 1학년 학생들로 실험집단(9명)과 통제 집단(9명)을 무선표집하여 할당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 모형은 사전-사후 유사실험 통제집단 설계이다. 연구도구는 집중력 점검검사, 집중력 방해하는 요인검사, 자아개념검사, 정서평가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절차는 집중력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 하기를 희망하는 학생 9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2010년 6월 부터 10월 까지 실시하였다. 집중력 향상 프로그램은 총 15회기로 매회 45분씩 본 연구자가 직접 참여하여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실험-통제 집단 간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 검사 결과 동질성을 검증하고, 집중력 향상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실험 집단 사후검사와 통제 집단 사후검사를 비교 분석한다. 이들 분석을 위해 통계 프로그램인 SPSS 10.0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 편차를 산출하여 t-검증을 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중력 훈련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그렇지 않은 통제 집단의 자아개념 사전-사후검사결과 실험집단의 자아개념의 하위 영역인 신체자아, 도덕적 자아 , 성격적 자아, 자아평가에서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정서평가하위영역의 차이검증 결과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실험집단의 연구대상자들이 통제집단의 연구대상자들보다 부적 정서인 실망감 정서와 초조감 정서 경험이 현저히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집중력 하위 영역 검사 중 집중력 점검 요인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집중력 방해요인에서는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결과를 통해 제언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주의 집중력이 낮은 학생들로 이루어진 집단으로 학습의욕도 낮은 집단이었으며 개별적 요구와 능력, 자발성 등이 제 각각이어서 수준을 맞추기가 쉽지 않았다. 능력별로 프로그램을 진행할 필요를 느꼈고 집중력향상 프로그램을 더욱 체계화 하여 집중력을 높여주고 학습의욕 까지도 높여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도록 노력 해야겠다. 둘째, 집중력 향상 프로그램이 단기간에 이루어져서 행동화 내면화 시키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프로그램 진행자와 학생 간에 라포가 형성되고 서로가 알아 갈 때 프로그램이 끝나서 학생들에게 내면화 시키기는 어려움이 있었다. 더욱 세분화 되고 체계화 된 프로그램을 가지고 1년 과정의 프로그램을 진행한다면 더욱 좋은 성과가 있으리라 기대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집중력 훈련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개념, 정서 및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중학생들의 학업능력 향상이나 상담프로그램 등의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how concentration program affects middle school students' self-concepts, emotion and concentration. Specifically, we try to use this study as a basic data by looking effects of concentration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concepts, emotion and concentration. Th...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how concentration program affects middle school students' self-concepts, emotion and concentration. Specifically, we try to use this study as a basic data by looking effects of concentration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concepts, emotion and concentration. This study sets several questions as follows; First, what differences in self-concepts of students who get concentration training or not. Second, what emotional impacts concentration program show compare to students who did not get training program. Third, how concentration program affects concentration of students compare to students who did not get training progra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randomly sampled which included experimental group(9 people) and control group(9 people) from S middle school freshmen. This study used pre-post test control group design as experimental design model. The research tools were attention checking test, attention barrier test, self-concept test and emotional evaluation. This study selected 9 students who wanted to take part in concentration training program. Concentration program were composed of 15 classes which were carried out June, 2010 to September, 2010 and each class held 45 minutes by researcher. We performed homogeneity test on pretest results to verify homogeneity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e also compared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post test after concentration program. In order to analyze data, we used statistics program, SPSS 10.0, to calculat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o use t-verificatio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self-concept test. Pretest-posttest also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self-concepts' subarea : physical self, moral self and personality self. Second, emotional evaluation's subarea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us,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remarkable reduction in disappointment and anxiety which are negative emotions. Third, In attention checking test, attention checking factor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However, attention barrier factor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Followings are suggestions from this study. First, it was hard to meet students' level becaus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scatterbrained students who have different demands, ability and motivation. Thus, concentration training program should consider students' ability and systemize to improve concentration and motivation. Second, concentration training program operated short period of time made it hard to internalize what students taught. The program ended when rapport was made between students and instructor. Thus, concentration program which should be more subdivided and systematized with one year course would show better performance.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ic data for academic improvement and counseling program by looking effects of concentration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concepts, emotion and concentration.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how concentration program affects middle school students' self-concepts, emotion and concentration. Specifically, we try to use this study as a basic data by looking effects of concentration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concepts, emotion and concentration. This study sets several questions as follows; First, what differences in self-concepts of students who get concentration training or not. Second, what emotional impacts concentration program show compare to students who did not get training program. Third, how concentration program affects concentration of students compare to students who did not get training progra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randomly sampled which included experimental group(9 people) and control group(9 people) from S middle school freshmen. This study used pre-post test control group design as experimental design model. The research tools were attention checking test, attention barrier test, self-concept test and emotional evaluation. This study selected 9 students who wanted to take part in concentration training program. Concentration program were composed of 15 classes which were carried out June, 2010 to September, 2010 and each class held 45 minutes by researcher. We performed homogeneity test on pretest results to verify homogeneity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e also compared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post test after concentration program. In order to analyze data, we used statistics program, SPSS 10.0, to calculat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o use t-verificatio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self-concept test. Pretest-posttest also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self-concepts' subarea : physical self, moral self and personality self. Second, emotional evaluation's subarea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us,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remarkable reduction in disappointment and anxiety which are negative emotions. Third, In attention checking test, attention checking factor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However, attention barrier factor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Followings are suggestions from this study. First, it was hard to meet students' level becaus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scatterbrained students who have different demands, ability and motivation. Thus, concentration training program should consider students' ability and systemize to improve concentration and motivation. Second, concentration training program operated short period of time made it hard to internalize what students taught. The program ended when rapport was made between students and instructor. Thus, concentration program which should be more subdivided and systematized with one year course would show better performance.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ic data for academic improvement and counseling program by looking effects of concentration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concepts, emotion and concentr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