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전통오방색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색채의식과 치료활용도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Color Consciousness about Korean Traditional Five Colors in Art Therapy History and its Therapeutic Applicability원문보기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전통오방색에 대한 색채의식과 치료활용에 대한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미술치료영역에 전통오방색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미술치료사 159명 이었으며, 연구도구는 일반적 사항, 색채선호도, 색채 인식, 치료활용도에 관련된 총 59문항의 설문지, 먼셀색채와 전통오방색을 혼합 배치한 <도판A>와 먼셀색채와 전통오방색을 분리 배치한 <도판B>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전통오방색에 대한 색채의식과 치료활용에 대한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미술치료영역에 전통오방색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미술치료사 159명 이었으며, 연구도구는 일반적 사항, 색채선호도, 색채 인식, 치료활용도에 관련된 총 59문항의 설문지, 먼셀색채와 전통오방색을 혼합 배치한 <도판A>와 먼셀색채와 전통오방색을 분리 배치한 <도판B>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직교회전인 Varimax 방식에 의한 요인분석, 교차분석, one-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사후 검증으로는 Scheffé-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오방색에 대한 색채의식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전통오방색 중 ‘청색’이 가장 높은 선호색으로 나타났으며, 전통오방색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전통오방색 기본적 인식, 치료적 인식, 감성적 인식 모두에서 평균보다 낮은 수준의 인식을 보였다. 계절별 친근감에 대한 선호에 있어서는 봄, 가을은 전통오방색을, 여름은 일반색을, 겨울은 전통오방색과 일반색의 선호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감정과 연관된 색에 대한 인식은 ‘즐거움’만 일반색의 선택이 높고, ‘분노’, ‘슬픔’은 전통오방색의 선택이 높게 나타났다. ‘평온’은 전통오방색과, 일반색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교육경력에 의한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전통오방색 인식에 대한 요인 중 기본적 인식요인에서 3년 미만이 6년 이상보다 더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전통오방색 선별 정도는 노란색, 황색에 대한 선호가 3년 미만이 3년~6년, 6년 이상과 차이를 보였다. 색의 감정적 부분은 ‘슬픔’에서 만, 3~6년 미만의 교육경력이 3년 미만, 6년 이상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치료활용도는 치료활용의 신뢰성, 치료활용의 체계성, 치료의 활용경험, 치료활용의 적절성의 4개요인 모두가 전반적으로 평균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교육경력에 따른 치료활용도의 차이는 전체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하위 영역 중 치료의 활용경험에서만 3년 미만이 6년 이상보다 전반적인 치료활용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전통오방색에 대한 색채의식과 치료활용에 대한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미술치료영역에 전통오방색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미술치료사 159명 이었으며, 연구도구는 일반적 사항, 색채선호도, 색채 인식, 치료활용도에 관련된 총 59문항의 설문지, 먼셀색채와 전통오방색을 혼합 배치한 <도판A>와 먼셀색채와 전통오방색을 분리 배치한 <도판B>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직교회전인 Varimax 방식에 의한 요인분석, 교차분석, one-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사후 검증으로는 Scheffé-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오방색에 대한 색채의식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전통오방색 중 ‘청색’이 가장 높은 선호색으로 나타났으며, 전통오방색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전통오방색 기본적 인식, 치료적 인식, 감성적 인식 모두에서 평균보다 낮은 수준의 인식을 보였다. 계절별 친근감에 대한 선호에 있어서는 봄, 가을은 전통오방색을, 여름은 일반색을, 겨울은 전통오방색과 일반색의 선호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감정과 연관된 색에 대한 인식은 ‘즐거움’만 일반색의 선택이 높고, ‘분노’, ‘슬픔’은 전통오방색의 선택이 높게 나타났다. ‘평온’은 전통오방색과, 일반색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교육경력에 의한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전통오방색 인식에 대한 요인 중 기본적 인식요인에서 3년 미만이 6년 이상보다 더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전통오방색 선별 정도는 노란색, 황색에 대한 선호가 3년 미만이 3년~6년, 6년 이상과 차이를 보였다. 색의 감정적 부분은 ‘슬픔’에서 만, 3~6년 미만의 교육경력이 3년 미만, 6년 이상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치료활용도는 치료활용의 신뢰성, 치료활용의 체계성, 치료의 활용경험, 치료활용의 적절성의 4개요인 모두가 전반적으로 평균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교육경력에 따른 치료활용도의 차이는 전체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하위 영역 중 치료의 활용경험에서만 3년 미만이 6년 이상보다 전반적인 치료활용도가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to the field of art therapy by analyzing color consciousness of the Korean traditional five colors and its recognition in therapeutic applicability. Subject of this study was 159 art therapists. Tool was a questionnaire consists of total 5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to the field of art therapy by analyzing color consciousness of the Korean traditional five colors and its recognition in therapeutic applicability. Subject of this study was 159 art therapists. Tool was a questionnaire consists of total 59 questions including questions about general matters, color preference, color consciousness, and therapeutic applicability. illustration A, made by mixing and arranging Munsell signal colors and the Korean traditional five colors, and illustration B, made by separating and arranging Munsell signal colors and the Korean traditional five colors were also used. In data analysis, SPSS 18.0 for Windows was used for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done by Varimax orthogonal rotation, cross tabulation analysis, and one-way ANOVA. For posteriori test, Scheffé-test was used. Result came out as follows. First of all, after examining general tendency of color consciousness about the Korean traditional five colors, 'Cheong-saek(Korean tradtional blue color)' came out to be the most preferred color. About recogni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five colors, basic recognition, therapeutic recognition, and emotional recognition all showed lower level of recognition than average. About friendliness according to seasons, the Korean traditional five colors were more preferred in 'spring' and 'autumn', while ordinary color were more preferred in 'summer'. The Korean traditional five colors and the ordinary colors showed similar level of preference in 'winter'. Examining the difference caused by teaching experience, the result showed that 'less than 3 years' marked higher than 'more than 6 years' on basic factor of recognition, which is a subdivision of factors of recognition of Korean traditional five colors. Also, about the sorting of the Korean traditional five colors, 'less than 3 years' showed difference with '3 to 6 years' and 'more than 6 years' in the preference for yellow and 'Hwang-saek(Korean traditional yellow color)'. About the emotional aspect of color, '3 to 6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showed difference with 'less than 3 years' and 'more than 6 years' only in the 'sadness'. Second, in therapeutic applicability, all 4 factors including credibility for therapeutic application, systemicity of therapeutic application, experience in therapeutic application, and appropriacy of therapeutic application pointed higher than average. Difference in therapeutic application according to teaching experience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overall, while amongst all subdivisions only the experience of therapeutic application showed higher therapeutic application in 'less than 3 years' than 'more than 6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to the field of art therapy by analyzing color consciousness of the Korean traditional five colors and its recognition in therapeutic applicability. Subject of this study was 159 art therapists. Tool was a questionnaire consists of total 59 questions including questions about general matters, color preference, color consciousness, and therapeutic applicability. illustration A, made by mixing and arranging Munsell signal colors and the Korean traditional five colors, and illustration B, made by separating and arranging Munsell signal colors and the Korean traditional five colors were also used. In data analysis, SPSS 18.0 for Windows was used for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done by Varimax orthogonal rotation, cross tabulation analysis, and one-way ANOVA. For posteriori test, Scheffé-test was used. Result came out as follows. First of all, after examining general tendency of color consciousness about the Korean traditional five colors, 'Cheong-saek(Korean tradtional blue color)' came out to be the most preferred color. About recogni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five colors, basic recognition, therapeutic recognition, and emotional recognition all showed lower level of recognition than average. About friendliness according to seasons, the Korean traditional five colors were more preferred in 'spring' and 'autumn', while ordinary color were more preferred in 'summer'. The Korean traditional five colors and the ordinary colors showed similar level of preference in 'winter'. Examining the difference caused by teaching experience, the result showed that 'less than 3 years' marked higher than 'more than 6 years' on basic factor of recognition, which is a subdivision of factors of recognition of Korean traditional five colors. Also, about the sorting of the Korean traditional five colors, 'less than 3 years' showed difference with '3 to 6 years' and 'more than 6 years' in the preference for yellow and 'Hwang-saek(Korean traditional yellow color)'. About the emotional aspect of color, '3 to 6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showed difference with 'less than 3 years' and 'more than 6 years' only in the 'sadness'. Second, in therapeutic applicability, all 4 factors including credibility for therapeutic application, systemicity of therapeutic application, experience in therapeutic application, and appropriacy of therapeutic application pointed higher than average. Difference in therapeutic application according to teaching experience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overall, while amongst all subdivisions only the experience of therapeutic application showed higher therapeutic application in 'less than 3 years' than 'more than 6 year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