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사회, 문화적으로 외모를 중요시하는 경향과 미적기준의 변화로 피부노화를 지연시키는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어지고 있으며, 그중 기능성 화장품의 연구 개발 또한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기능성 화장품의 신 성분으로 나온 PTD(Protein Transduction Domain)와 Human Peptide 복합물질에 대한 주름개선 및 피부상태 변화 관련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므로 이 복합물질의 유효성을 살펴보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2010년 7월 21일부터 8월 18일까지 서울에 거주하는 30∼40대 남성 10명과 여성 10명, 총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 하였다.연구대상자는 6개월 이내 피부트러블이 없고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을 사용하지 않은 자로, 기초 피부상태(유분, 수분, 거칠기)와 피부 탄력상태, 피부 주름상태(이마, 눈가, 입가), 일반적인 사항을 조사하여 ...
최근 사회, 문화적으로 외모를 중요시하는 경향과 미적기준의 변화로 피부노화를 지연시키는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어지고 있으며, 그중 기능성 화장품의 연구 개발 또한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기능성 화장품의 신 성분으로 나온 PTD(Protein Transduction Domain)와 Human Peptide 복합물질에 대한 주름개선 및 피부상태 변화 관련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므로 이 복합물질의 유효성을 살펴보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2010년 7월 21일부터 8월 18일까지 서울에 거주하는 30∼40대 남성 10명과 여성 10명, 총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 하였다.연구대상자는 6개월 이내 피부트러블이 없고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을 사용하지 않은 자로, 기초 피부상태(유분, 수분, 거칠기)와 피부 탄력상태, 피부 주름상태(이마, 눈가, 입가), 일반적인 사항을 조사하여 동질성 검증을 확보한 후, 남성 실험군 5명과 대조군 5명, 여성 실험군 5명과 대조군 5명으로 고루 배치하였다. 실험재료는 실험결과의 오차 범위를 줄이기 위하여 동일한 클렌저, 토너, 에센스, PTD와 Human Peptide 복합물질이 함유된 크림과 일반 크림을 제조하여 연구대상자들에게 제공하였으며, 실험 전 동질성 검증을 위해 1회, 화장품을 바른 뒤 주 1회 1주일 간격으로 4주간 총 5회 피부측정을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응답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남성과 여성의 그룹별 기초 피부상태(유분, 수분, 거칠기)와 피부 탄력상태, 피부 주름상태(이마, 눈가, 입가)의 동질성검증과 비교를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여 일반적인 특성의 특별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동질성 검증을 확보하였다. 남성과 여성의 실험 횟수에 따른 기초 피부상태(유분, 수분, 거칠기)와 피부 탄력상태, 피부 주름상태(이마, 눈가, 입가)의 비교를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하였다. 실험 후 만족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실험 후 만족도에 대한 각 문항간의 신뢰도는 Cronbach’s α의 계수로 판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초 피부상태’에서 남성의 경우 실험군과 대조군의 그룹 간 차이는 1주차, 2주차, 3주차, 4주차 모두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유분과 수분, 거칠기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실험군 내에서는 유분과 수분에서만 유분의 감소와 수분의 증가로 동일 그룹 내에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대조군 내에서는 유분과 수분, 거칠기 모두 유분의 감소와 수분의 증가, 거칠기의 감소로 동일 그룹 내에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실험군과 대조군의 그룹 간 차이는 1주차, 2주차, 3주차, 4주차 모두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유분과 수분, 거칠기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실험군과 대조군 내에서는 모두 유분과 수분, 거칠기에서 유분의 감소와 수분의 증가, 거칠기의 감소로 동일 그룹 내에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피부 탄력상태’에서 남성의 경우 실험군과 대조군의 그룹 간 차이는 1주차, 2주차, 3주차, 4주차 모두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탄력상태의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탄력의 증가로 동일 그룹 내에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실험군과 대조군의 그룹 간 차이는 1주차, 2주차, 3주차, 4주차 모두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탄력상태의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탄력의 증가로 동일 그룹 내에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피부 주름상태’에서 남성의 경우 실험군과 대조군의 그룹 간 차이는 이마주름과 눈가주름은 3주차와 4주차에서 그룹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입가주름은 4주차에서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실험군은 이마주름, 눈가주름, 입가주름 모두 주름의 감소로 동일 그룹 내에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대조군은 이마주름과 눈가주름, 입가주름 모두 주름이 감소되지 않아 동일 그룹 내에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여성의 경우 실험군과 대조군의 그룹 간 차이는 1주차, 2주차, 3주차, 4주차 모두 실험군과 대조군의 이마주름, 눈가주름, 입가주름 상태의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군은 이마주름, 눈가주름, 입가주름 모두 주름의 감소로 동일 그룹 내에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대조군은 입가주름에서만 주름의 감소로 동일 그룹 내에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남성의 주름상태’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그룹간 차이와 실험군 내에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남성과 여성의 실험군에서 동일 그룹 내에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나 PTD와 Human P
최근 사회, 문화적으로 외모를 중요시하는 경향과 미적기준의 변화로 피부노화를 지연시키는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어지고 있으며, 그중 기능성 화장품의 연구 개발 또한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기능성 화장품의 신 성분으로 나온 PTD(Protein Transduction Domain)와 Human Peptide 복합물질에 대한 주름개선 및 피부상태 변화 관련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므로 이 복합물질의 유효성을 살펴보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2010년 7월 21일부터 8월 18일까지 서울에 거주하는 30∼40대 남성 10명과 여성 10명, 총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 하였다.연구대상자는 6개월 이내 피부트러블이 없고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을 사용하지 않은 자로, 기초 피부상태(유분, 수분, 거칠기)와 피부 탄력상태, 피부 주름상태(이마, 눈가, 입가), 일반적인 사항을 조사하여 동질성 검증을 확보한 후, 남성 실험군 5명과 대조군 5명, 여성 실험군 5명과 대조군 5명으로 고루 배치하였다. 실험재료는 실험결과의 오차 범위를 줄이기 위하여 동일한 클렌저, 토너, 에센스, PTD와 Human Peptide 복합물질이 함유된 크림과 일반 크림을 제조하여 연구대상자들에게 제공하였으며, 실험 전 동질성 검증을 위해 1회, 화장품을 바른 뒤 주 1회 1주일 간격으로 4주간 총 5회 피부측정을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응답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남성과 여성의 그룹별 기초 피부상태(유분, 수분, 거칠기)와 피부 탄력상태, 피부 주름상태(이마, 눈가, 입가)의 동질성검증과 비교를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여 일반적인 특성의 특별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동질성 검증을 확보하였다. 남성과 여성의 실험 횟수에 따른 기초 피부상태(유분, 수분, 거칠기)와 피부 탄력상태, 피부 주름상태(이마, 눈가, 입가)의 비교를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하였다. 실험 후 만족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실험 후 만족도에 대한 각 문항간의 신뢰도는 Cronbach’s α의 계수로 판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초 피부상태’에서 남성의 경우 실험군과 대조군의 그룹 간 차이는 1주차, 2주차, 3주차, 4주차 모두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유분과 수분, 거칠기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실험군 내에서는 유분과 수분에서만 유분의 감소와 수분의 증가로 동일 그룹 내에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대조군 내에서는 유분과 수분, 거칠기 모두 유분의 감소와 수분의 증가, 거칠기의 감소로 동일 그룹 내에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실험군과 대조군의 그룹 간 차이는 1주차, 2주차, 3주차, 4주차 모두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유분과 수분, 거칠기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실험군과 대조군 내에서는 모두 유분과 수분, 거칠기에서 유분의 감소와 수분의 증가, 거칠기의 감소로 동일 그룹 내에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피부 탄력상태’에서 남성의 경우 실험군과 대조군의 그룹 간 차이는 1주차, 2주차, 3주차, 4주차 모두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탄력상태의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탄력의 증가로 동일 그룹 내에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실험군과 대조군의 그룹 간 차이는 1주차, 2주차, 3주차, 4주차 모두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탄력상태의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탄력의 증가로 동일 그룹 내에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피부 주름상태’에서 남성의 경우 실험군과 대조군의 그룹 간 차이는 이마주름과 눈가주름은 3주차와 4주차에서 그룹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입가주름은 4주차에서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실험군은 이마주름, 눈가주름, 입가주름 모두 주름의 감소로 동일 그룹 내에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대조군은 이마주름과 눈가주름, 입가주름 모두 주름이 감소되지 않아 동일 그룹 내에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여성의 경우 실험군과 대조군의 그룹 간 차이는 1주차, 2주차, 3주차, 4주차 모두 실험군과 대조군의 이마주름, 눈가주름, 입가주름 상태의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군은 이마주름, 눈가주름, 입가주름 모두 주름의 감소로 동일 그룹 내에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대조군은 입가주름에서만 주름의 감소로 동일 그룹 내에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남성의 주름상태’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그룹간 차이와 실험군 내에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남성과 여성의 실험군에서 동일 그룹 내에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나 PTD와 Human P
For the recent social and cultural trends of valuing appearance and the changes of aesthetic criteria, various methods to delay skin aging are being developed, and among those,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functional cosmetics is also being conducted constantly. Since there has been no research rela...
For the recent social and cultural trends of valuing appearance and the changes of aesthetic criteria, various methods to delay skin aging are being developed, and among those,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functional cosmetics is also being conducted constantly. Since there has been no research related with the anti-wrinkle effects and skin condition changes by conjugated substances like PTD or Human Peptide released as new components to manufacture functional cosmetics,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icacy of those conjugated substances. This research conducted an experiment to total 20 persons, 10 males and 10 females in their 30’s to 40’s residing in Seoul, from July 21st till August 18th, 2010. The study subjects had no skin trouble for the last six months and did not use any functional cosmetics for wrinkle improvement. After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m such as basic skin condition (oil, moisture, roughness), skin elasticity, and skin wrinkle conditions (in the forehead, eyes, lips) were investigated, homogeneity verification was secured, and then they were evenly distributed to the male experiment group (5 persons), control group (5), female experiment group (5), and control group (5). Regarding experiment materials, to reduce the error range of the experimental result, the study subjects were provided with the same cleanser, toner, essence, cream containing the conjugated substances of PTD and Human Peptide, and general cream manufactured. In order to verify homogeneity before the experiment, their skin was measured total five times for four weeks, once a week, in one-week intervals, after applying the cosmetics once. For the positive analysis of this study, all were verified within 5% significance level, and for statistic processing,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12.0 program. To figure out the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and to conduct homogeneity verification on and compare the male and the female group's basic skin conditions (oil, moisture, roughness), skin elasticity, and skin wrinkles (in the forehead, eyes, lips),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hereby, homogeneity verification was secured since there was no specific difference i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compare male and female groups’ basic skin conditions (oil, moisture, roughness),skin elasticity, skin wrinkle conditions (in the forehead, eyes, lips),in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And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and since there was no specific difference i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homogeneity verification was secured. Also, to compare male and female basic skin conditions (oil, moisture, roughness), skin elasticity, and skin wrinkle conditions (in the forehead, eyes, lips) according to the frequencies of the experiment, Repeated Measure ANOVA was carried out. And to examine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ir satisfaction after the experiment,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was conducted, and reliability of the items about satisfaction after the experiment was determined by Cronbach’s Coefficient. Thereby, this paper gained the following results. In the differences between 'basic skin conditions' of mal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il, moisture, and roughnes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ll through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weeks. Howeve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oil and moisture by the time elapsed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due to the oil reduction and moisture increase,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ll in oil, moisture, and roughness of the control group by the time elapsed within the same group due to the oil reduction, moisture increase, and roughness reduction. In the differences between femal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il, moisture, and roughnes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ll through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weeks. However,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oil, moisture, and roughness by the time elapsed within the same group. In the differences between 'skin elasticity conditions' of mal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kin elasticity condition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ll through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weeks. However,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time elapsed within the same group due to the elasticity increase. In the differences between femal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lasticity condition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ll through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weeks. And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time elapsed within the same group due to the elasticity increase. In the differences between 'skin wrinkle conditions' of mal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forehead and eye wrinkl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the third and fourth weeks, and lip wrinkle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the fourth week.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ll in forehead, eye, and lip wrinkles by the time elapsed within the same group while the control group indic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ll in forehead, eye, and lip wrinkles by the time elapsed within the same group. In the differences of femal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forehead, eye, and lip wrinkle conditions all through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
For the recent social and cultural trends of valuing appearance and the changes of aesthetic criteria, various methods to delay skin aging are being developed, and among those,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functional cosmetics is also being conducted constantly. Since there has been no research related with the anti-wrinkle effects and skin condition changes by conjugated substances like PTD or Human Peptide released as new components to manufacture functional cosmetics,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icacy of those conjugated substances. This research conducted an experiment to total 20 persons, 10 males and 10 females in their 30’s to 40’s residing in Seoul, from July 21st till August 18th, 2010. The study subjects had no skin trouble for the last six months and did not use any functional cosmetics for wrinkle improvement. After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m such as basic skin condition (oil, moisture, roughness), skin elasticity, and skin wrinkle conditions (in the forehead, eyes, lips) were investigated, homogeneity verification was secured, and then they were evenly distributed to the male experiment group (5 persons), control group (5), female experiment group (5), and control group (5). Regarding experiment materials, to reduce the error range of the experimental result, the study subjects were provided with the same cleanser, toner, essence, cream containing the conjugated substances of PTD and Human Peptide, and general cream manufactured. In order to verify homogeneity before the experiment, their skin was measured total five times for four weeks, once a week, in one-week intervals, after applying the cosmetics once. For the positive analysis of this study, all were verified within 5% significance level, and for statistic processing,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12.0 program. To figure out the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and to conduct homogeneity verification on and compare the male and the female group's basic skin conditions (oil, moisture, roughness), skin elasticity, and skin wrinkles (in the forehead, eyes, lips),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hereby, homogeneity verification was secured since there was no specific difference i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compare male and female groups’ basic skin conditions (oil, moisture, roughness),skin elasticity, skin wrinkle conditions (in the forehead, eyes, lips),in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And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and since there was no specific difference i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homogeneity verification was secured. Also, to compare male and female basic skin conditions (oil, moisture, roughness), skin elasticity, and skin wrinkle conditions (in the forehead, eyes, lips) according to the frequencies of the experiment, Repeated Measure ANOVA was carried out. And to examine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ir satisfaction after the experiment,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was conducted, and reliability of the items about satisfaction after the experiment was determined by Cronbach’s Coefficient. Thereby, this paper gained the following results. In the differences between 'basic skin conditions' of mal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il, moisture, and roughnes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ll through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weeks. Howeve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oil and moisture by the time elapsed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due to the oil reduction and moisture increase,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ll in oil, moisture, and roughness of the control group by the time elapsed within the same group due to the oil reduction, moisture increase, and roughness reduction. In the differences between femal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il, moisture, and roughnes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ll through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weeks. However,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oil, moisture, and roughness by the time elapsed within the same group. In the differences between 'skin elasticity conditions' of mal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kin elasticity condition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ll through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weeks. However,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time elapsed within the same group due to the elasticity increase. In the differences between femal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lasticity condition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ll through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weeks. And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time elapsed within the same group due to the elasticity increase. In the differences between 'skin wrinkle conditions' of mal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forehead and eye wrinkl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the third and fourth weeks, and lip wrinkle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the fourth week.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ll in forehead, eye, and lip wrinkles by the time elapsed within the same group while the control group indic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ll in forehead, eye, and lip wrinkles by the time elapsed within the same group. In the differences of femal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forehead, eye, and lip wrinkle conditions all through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