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남종화의 유입과 발전연구
A Study on Nanzonghua(南宗畵) Painting Style Inflow and Development in th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이금자 (호남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국내석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남종화법은 조선중기부터 소극적으로나마 수용되었던 바, 문징명의 서화와 󰡔고씨화보󰡕가 이 시기에 전해졌으며 일부의 진보적인 화가들은 황공망의 화풍이나 미법산수화풍을 수용하고 활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17세기 남종화 유입은 미약한 것이었고, 아직 동기창의 남북종론에 입각한 남종화의 개념을 인식한 시기는 아니었다. 이처럼 조선중기에 서서히 수용되기 시작했던 남종화풍이 보다 폭넓게 받아들여지고 화단에 유행하게 된 것은 18세기 초엽인 조선후기에 이르러서였다. 이 시기에는 󰡔고씨화보󰡕나 󰡔개자원화전󰡕 등 명․청대의 화보류와 더불어 중국 화가들의 서화가 전해지는 등 화가들의 중국 남종화와의 접촉이 보다 폭넓게 이루어졌다. 이를 계기로 원말사대가(황공망, 오진, 예찬, 왕몽)를 비롯한 명대 오파(吳派)의 심주, 문징명, 그리고 명말의 동기창과 청대 문인화가들의 화풍이 수용되었던 것이다. 이들 화풍의 영향과 함께 북송대 이래 문인화가들 사이에 자주 그려지던 미법산수화풍도 큰 인기를 유지하였다. 당시 중국문물을 가장 선진적으로 접할 수 있었던 겸재 정선, 관아재 조영석은 문인화풍 수용에 있어서 그 대표적인 인물이나, 이들은 당시 조선의 성리학에 몰두하여 겸재는 진경산수에, 조영석은 풍속화에 심취하여 남종화 자체를 적극적으로 추구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초기의 수용단계를 지나 남종화풍의 산수화가 화단에 정착하게 된 것은 현재 심사정(玄齋 沈師正), 표암 강세황(豹菴 姜世晃), 능호관 이인상(凌壺觀 李麟祥) 등을 비롯한 사대부화가들에 의해서였으며, 18세기 이래 더욱 증가되고 있었던 중국화의 유입도 이러한 현상을 더욱 촉진하고 있었다. 일단 남종산수화풍이 화단의 지배적 비중을 차지하게 되자 문인출신의 화가들은 물론이거니와 화원화가나 직업화가들까지 남종산수화풍을 구사하게 되었다. 이들은 동기창이 제시했던 본래적인 남종화의 틀을 벗어나, 일반적으로 강하고 모나며, 거칠고 간략한 화풍을 보여준다. 겸재의 진경산수화풍에도 그러한 특징이 더욱 강하게 보이지만 결국 그것은 우리의 풍토미와 고유의 심미관이 반영된 고유의 특성이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남종화풍의 우리의 풍토성에 의하여 토착화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로부터 18세기 초중반을 전후하여 출생하는 다음 세대의 사대부화가와 화원화가들이 모두 그 영향을 받아 남종화풍을 구사하게 된다. 정수영(鄭遂榮)이나 이방운, 이인문 등에 이르러서는 더욱 간략하고 해체된 화풍을 보여주게 되며, 김득신, 김석신, 이유신 등의 다음 세대에 이르면 조선만의 고유색을 드러낸 화풍으로 전통적인 남종문인화관에서 보면 일종의 속화(俗化)된 경향으로 나아간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 속에서 서권기와 문자향을 지향하며 고도의 이념미와 세련미를 추구하는 추사 김정희의 출현과 함께 남종화풍의 정신적인 영향을 고스란히 물려받은 문인화가들이 19세기 조선화단을 이끌었다. 우봉 조희룡(又峰 ...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anzonghua(南宗畵)」 painting style was accepted passively since the mid Joseon dynasty. Wen, zheng-ming(文徵明)'s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d 「gushihuapu(顧氏畵譜)」were introduced in this period. Some progressive painters accepted and practiced Huang, Gong-wang(黃公望)'s style of painting or 「mifas...

주제어

#조선시대 남종화 

학위논문 정보

저자 이금자
학위수여기관 호남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미술학과
발행연도 2011
총페이지 i, 61 p.
키워드 조선시대 남종화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2361992&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