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인터넷 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 감 및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가정연계활동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인터넷 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 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인터넷 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G시에 소재한 Y초등학교 병설유치원과 O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만 4, 5세 유아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 20명씩 총 40명이었다. 실험집단은 5주 동안 주 3회씩 총 15회 인터넷 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활동에 참여하였으며, 통제집단은 같은 기간 동안 인터넷 동화를 듣고 이야기 나누기 활동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자아존중 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Harter & Pike(1984)에 의해 개발된 유아용 자아지각 척도인 ‘5~6세용 자아존중 감 척도’를 김영숙(1997)이 수정.보완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Morrow(1984)가 개발한 검사 도구로 손미향(1997), 양순애(2003)등의 연구에서 사용된 이야기 이해도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들의 집단 별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한 사전검사 결과 두 집단 간의 자아존중 감과 이야기 이해력 검사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동질 집단으로 간주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
본 연구는 인터넷 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 감 및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가정연계활동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인터넷 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 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인터넷 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G시에 소재한 Y초등학교 병설유치원과 O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만 4, 5세 유아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 20명씩 총 40명이었다. 실험집단은 5주 동안 주 3회씩 총 15회 인터넷 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활동에 참여하였으며, 통제집단은 같은 기간 동안 인터넷 동화를 듣고 이야기 나누기 활동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자아존중 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Harter & Pike(1984)에 의해 개발된 유아용 자아지각 척도인 ‘5~6세용 자아존중 감 척도’를 김영숙(1997)이 수정.보완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Morrow(1984)가 개발한 검사 도구로 손미향(1997), 양순애(2003)등의 연구에서 사용된 이야기 이해도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들의 집단 별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한 사전검사 결과 두 집단 간의 자아존중 감과 이야기 이해력 검사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동질 집단으로 간주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인터넷 동화를 감상한 후 이야기 나누기 활동에 참여한 통제집단보다 자아존중 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자아존중 감의 5가지 하위요인 중 ‘인지적 능력’, ‘동료수용’, ‘어머니수용’, ‘자기수용’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신체적 능력’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인터넷 동화를 감상한 후 이야기 나누기 활동에 참여한 통제집단보다 이야기 이해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야기 이해력의 2가지 하위요인인 ‘이야기 구조 이해’, ‘이야기 추론 이해’ 모두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인터넷 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활동은 유아의 자아존중 감 및 이야기 이해력을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터넷 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활동이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용해 볼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인터넷 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 감 및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가정연계활동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인터넷 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 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인터넷 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G시에 소재한 Y초등학교 병설유치원과 O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만 4, 5세 유아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 20명씩 총 40명이었다. 실험집단은 5주 동안 주 3회씩 총 15회 인터넷 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활동에 참여하였으며, 통제집단은 같은 기간 동안 인터넷 동화를 듣고 이야기 나누기 활동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자아존중 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Harter & Pike(1984)에 의해 개발된 유아용 자아지각 척도인 ‘5~6세용 자아존중 감 척도’를 김영숙(1997)이 수정.보완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Morrow(1984)가 개발한 검사 도구로 손미향(1997), 양순애(2003)등의 연구에서 사용된 이야기 이해도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들의 집단 별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한 사전검사 결과 두 집단 간의 자아존중 감과 이야기 이해력 검사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동질 집단으로 간주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인터넷 동화를 감상한 후 이야기 나누기 활동에 참여한 통제집단보다 자아존중 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자아존중 감의 5가지 하위요인 중 ‘인지적 능력’, ‘동료수용’, ‘어머니수용’, ‘자기수용’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신체적 능력’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인터넷 동화를 감상한 후 이야기 나누기 활동에 참여한 통제집단보다 이야기 이해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야기 이해력의 2가지 하위요인인 ‘이야기 구조 이해’, ‘이야기 추론 이해’ 모두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인터넷 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활동은 유아의 자아존중 감 및 이야기 이해력을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터넷 동화를 활용한 가정연계활동이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용해 볼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related activities using internet fairy tales on children's self-esteem and story comprehension, and based on the examination, to seek effective family related activities which can be utiliz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ese...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related activities using internet fairy tales on children's self-esteem and story comprehension, and based on the examination, to seek effective family related activities which can be utiliz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goal are as follows. First, what effects do family related activities using internet fairy tales have on children's self-esteem? Second, what effects do family related activities using internet fairy tales have on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tal 40 children of four or five years old from the kindergarten attached to the 'Y' Elementary School and the kindergarten attached to the 'O' Elementary School. Of the 40 children, 20 were assigned into an experiment group and the other 20 into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family related activities using internet fairy tales total 15 times, three times a week for five weeks, and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activities of listening internet fairy tales and talking about the stories during the same period. 'A self-esteem scale for five and six years old children' was used to measure children's self-esteem in the present study, which is a self-consciousness scale for children developed by Harter & Pike (1984), then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Kim Yeong Suk (1997). And a story comprehension test tool was used to measure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which is developed by Morrow (1984) and used in a study by Son Mi Hyang (1997) and Yang Sun Ae (2003). The two groups were assumed as a homogeneous group becaus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result of pretest about children's self-esteem and story comprehension between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The collected data from the pretest and posttest was analysed by t-test using the statistic program SPSS(ver. 17.0).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family related activities using internet fairy tales showed higher score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self-esteem than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activities of listening internet fairy tales and talking about the stories. The experim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self-esteem, 'cognitive ability', 'peer acceptance', 'mother's acceptance', and 'self-acceptance' among five sub-factors of self-esteem than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a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family related activities using internet fairy tales showed higher score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story comprehension than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activities of listening internet fairy tales and talking about the stories. The experim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two sub-factors of story comprehension, 'understanding story structures', and 'understanding story inferences'. In conclusion, it was shown that family related activities using internet fairy tales have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children's self-esteem and story comprehens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family related activities using internet fairy tales are worth utilizing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related activities using internet fairy tales on children's self-esteem and story comprehension, and based on the examination, to seek effective family related activities which can be utiliz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goal are as follows. First, what effects do family related activities using internet fairy tales have on children's self-esteem? Second, what effects do family related activities using internet fairy tales have on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tal 40 children of four or five years old from the kindergarten attached to the 'Y' Elementary School and the kindergarten attached to the 'O' Elementary School. Of the 40 children, 20 were assigned into an experiment group and the other 20 into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family related activities using internet fairy tales total 15 times, three times a week for five weeks, and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activities of listening internet fairy tales and talking about the stories during the same period. 'A self-esteem scale for five and six years old children' was used to measure children's self-esteem in the present study, which is a self-consciousness scale for children developed by Harter & Pike (1984), then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Kim Yeong Suk (1997). And a story comprehension test tool was used to measure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which is developed by Morrow (1984) and used in a study by Son Mi Hyang (1997) and Yang Sun Ae (2003). The two groups were assumed as a homogeneous group becaus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result of pretest about children's self-esteem and story comprehension between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The collected data from the pretest and posttest was analysed by t-test using the statistic program SPSS(ver. 17.0).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family related activities using internet fairy tales showed higher score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self-esteem than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activities of listening internet fairy tales and talking about the stories. The experim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self-esteem, 'cognitive ability', 'peer acceptance', 'mother's acceptance', and 'self-acceptance' among five sub-factors of self-esteem than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a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family related activities using internet fairy tales showed higher score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story comprehension than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activities of listening internet fairy tales and talking about the stories. The experim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two sub-factors of story comprehension, 'understanding story structures', and 'understanding story inferences'. In conclusion, it was shown that family related activities using internet fairy tales have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children's self-esteem and story comprehens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family related activities using internet fairy tales are worth utilizing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