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비특이성 만성요통 환자들과 요통이 없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무산소성 역치수준을 비교 분석하여, 비특이성 만성요통이 유산소성 운동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환자군은 비특이성 만성요통을 호소하고 있는 50대 여성 15명, 정상군은 연령, 신장, 체중 그리고 신체 활동수준이 비슷한 요통이 없는 건강한 여성 15명으로 구성되었다. 대상자들은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16분으로 설정된 발케법(Balke protocol)으로 증상 제한성 점증부하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중 ...
본 연구는 비특이성 만성요통 환자들과 요통이 없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무산소성 역치수준을 비교 분석하여, 비특이성 만성요통이 유산소성 운동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환자군은 비특이성 만성요통을 호소하고 있는 50대 여성 15명, 정상군은 연령, 신장, 체중 그리고 신체 활동수준이 비슷한 요통이 없는 건강한 여성 15명으로 구성되었다. 대상자들은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16분으로 설정된 발케법(Balke protocol)으로 증상 제한성 점증부하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중 심박수 전송 벨트를 이용하여 심박수를 측정하였으며, 자동 호흡 가스 분석기에 연결된 호흡 마스크를 이용하여 환기가스를 측정하였다. 호흡교환율이 1 이상인 상태에서 자발적으로 운동을 중단할 때까지 검사를 진행하였으며, 중단 의사가 없을 경우 16분 동안 운동을 허락하였다. 대상자들의 운동자각도를 검사 후에 측정하였으며, 환자군의 시각 상사 척도는 검사 전 후에 평가하였다. 무산소성 역치수준은 환기가스에서 분석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산소섭취량을 완전히 넘어서는 지점으로 결정하였다. 군 간의 운동지속시간, 최고 산소섭취량, 그리고 무산소성 역치수준의 도달시간, 분당 심박수, 호흡수, 산소섭취량, 대사당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시행하였으며, 군 간의 운동자각도의 차이와 환자군의 실험 전과 후에 평가된 시각 상사 척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윌콕슨의 부호순위 검정(Wilcoxon's signed-rank test)을 시행하였다. 유의수준 α=0.05로 설정하였다. 대상자들의 발케 트레드밀 프로토콜의 운동자각도는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환자군의 실험 후 시각 상사 척도는 실험 전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운동지속시간은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5). 분당 최고 산소섭취량과 단위체중당 최고 산소섭취량은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5). 무산소성 역치수준의 분당 호흡수는 군 간 차이가 없었으나(p>0.05), 무산소성 역치수준의 도달 시간, 분당 심박수, 분당 산소섭취량과 상대적 산소섭취량 그리고 대사당량은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5). 본 연구의 결과 비특이성 만성요통 환자의 유산소성 운동능력은 정상군에 비해 저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임상에서 비특이성 만성요통 환자의 유산소성 운동능력 증진을 위한 재활 프로그램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향후 비특이성 만성요통 환자의 감소된 유산소성 운동능력의 원인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비특이성 만성요통 환자들과 요통이 없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무산소성 역치수준을 비교 분석하여, 비특이성 만성요통이 유산소성 운동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환자군은 비특이성 만성요통을 호소하고 있는 50대 여성 15명, 정상군은 연령, 신장, 체중 그리고 신체 활동수준이 비슷한 요통이 없는 건강한 여성 15명으로 구성되었다. 대상자들은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16분으로 설정된 발케법(Balke protocol)으로 증상 제한성 점증부하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중 심박수 전송 벨트를 이용하여 심박수를 측정하였으며, 자동 호흡 가스 분석기에 연결된 호흡 마스크를 이용하여 환기가스를 측정하였다. 호흡교환율이 1 이상인 상태에서 자발적으로 운동을 중단할 때까지 검사를 진행하였으며, 중단 의사가 없을 경우 16분 동안 운동을 허락하였다. 대상자들의 운동자각도를 검사 후에 측정하였으며, 환자군의 시각 상사 척도는 검사 전 후에 평가하였다. 무산소성 역치수준은 환기가스에서 분석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산소섭취량을 완전히 넘어서는 지점으로 결정하였다. 군 간의 운동지속시간, 최고 산소섭취량, 그리고 무산소성 역치수준의 도달시간, 분당 심박수, 호흡수, 산소섭취량, 대사당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시행하였으며, 군 간의 운동자각도의 차이와 환자군의 실험 전과 후에 평가된 시각 상사 척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윌콕슨의 부호순위 검정(Wilcoxon's signed-rank test)을 시행하였다. 유의수준 α=0.05로 설정하였다. 대상자들의 발케 트레드밀 프로토콜의 운동자각도는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환자군의 실험 후 시각 상사 척도는 실험 전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운동지속시간은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5). 분당 최고 산소섭취량과 단위체중당 최고 산소섭취량은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5). 무산소성 역치수준의 분당 호흡수는 군 간 차이가 없었으나(p>0.05), 무산소성 역치수준의 도달 시간, 분당 심박수, 분당 산소섭취량과 상대적 산소섭취량 그리고 대사당량은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5). 본 연구의 결과 비특이성 만성요통 환자의 유산소성 운동능력은 정상군에 비해 저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임상에서 비특이성 만성요통 환자의 유산소성 운동능력 증진을 위한 재활 프로그램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향후 비특이성 만성요통 환자의 감소된 유산소성 운동능력의 원인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