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이하 제작보고서)은 영화를 만들어 나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자본, 기술, 그리고 창조성 이 세 가지 요소를 갖추고 있는 상업영화 시스템과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단편극영화 제작 과정을 체계적으로 고민해보고자 한다. 이제는 누구 손안에나 영화를 찍을 카메라를 한 대 쯤은 가지고 있다. 어떤 이는 이제 본격적인 디지털 DIY 시대가 열렸다고도 한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또는 유튜브(http://www.youtube.com)의 활용 등으로 상영 공간이라는 경계가 없어졌다고도 한다. 바야흐로 그림을 그리고 음악을 만들 듯 영화를 만들 수 있는 시대가 왔다. 그러나 또한 이 논의는 8mm캠코더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누구나 자신의 이야기를 영화로 만들 수 있다고 했고 누구나 영화감독이 될 수 있다고 했다. 테크놀로지의 발달이 매체로서의 영화에 편리함을 가져다 준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누구나 영화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은 해묵은 이야기에 불과하다. 스마트폰만 있다고 영화를 만들 수 있다고 선동해서는 안 된다. 생산하는 구조와 양식, 소통하는 방식 등이 민주화 되었다고 해서 그의 발전적인 방향이 ...
본 논문(이하 제작보고서)은 영화를 만들어 나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자본, 기술, 그리고 창조성 이 세 가지 요소를 갖추고 있는 상업영화 시스템과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단편극영화 제작 과정을 체계적으로 고민해보고자 한다. 이제는 누구 손안에나 영화를 찍을 카메라를 한 대 쯤은 가지고 있다. 어떤 이는 이제 본격적인 디지털 DIY 시대가 열렸다고도 한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또는 유튜브(http://www.youtube.com)의 활용 등으로 상영 공간이라는 경계가 없어졌다고도 한다. 바야흐로 그림을 그리고 음악을 만들 듯 영화를 만들 수 있는 시대가 왔다. 그러나 또한 이 논의는 8mm캠코더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누구나 자신의 이야기를 영화로 만들 수 있다고 했고 누구나 영화감독이 될 수 있다고 했다. 테크놀로지의 발달이 매체로서의 영화에 편리함을 가져다 준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누구나 영화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은 해묵은 이야기에 불과하다. 스마트폰만 있다고 영화를 만들 수 있다고 선동해서는 안 된다. 생산하는 구조와 양식, 소통하는 방식 등이 민주화 되었다고 해서 그의 발전적인 방향이 문화 콘텐츠의 저변 확대나 영화 진흥의 미래에 대안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없다. 개인적인 이유, 사적인 영역, 개인의 영화가 무엇보다 앞서 있는 매체로서의 역할이 아니라 영화의 본질인 대중과의 소통하기 - 확장된 의미의 오락으로서의 기능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영화 제작에는 많은 돈이 지출되지만 쓸데없이 낭비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만 보아도 1년 중 100편 정도의 영화가 제작되고 상영되지만 겨우 흥행 성적 상위 10편 정도가 생존자라 할 수 있다. 영화는 배우, 감독, 제작자들에 의해 만들어 진다고 할 수 있지만 결국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관객이다. 이 과정에는 물론 여러 종류의 홍보나 선전이 개입되지만 어떤 영화가 관객의 상상력을 사로잡고, 어떤 영화는 왜 그렇지 못한가는 미스터리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화는 크리스티앙 메츠(Christian Metz)가 말한 대로 “우리의 생산물, 즉 그것을 소비하는 사회의 생산물” 관객을 고찰하지 않고 사회적 행위로 영화를 논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 해에 경쟁 또는 비경쟁으로 열리는 단편영화제가 무려 30여개에 달한다. 단편영화는 예전에는 상영시간이 짧은 영화 또는 16mm 또는 DV 소형영화라는 범주에 있었지만, 이제는 더이상 시간의 길이 혹은 화면 사이즈로 구분되지 않는다. 단편영화가 영화산업 또는 문화 콘텐츠 진흥에 다양성과 독창성의 자양분이 되고 있다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창의성과 작가정신이라는 두 가지 기본 바탕에 대중과 소통하는 영화로서 제대로 된 프로세스를 구축 할 때 창의적인 아이템 또는 시나리오가 존재할 수 있다. 한편 그것이 바로 단편영화로서의 존재감이라고 여기며 본 제작보고서에는 제작단계별 특성 및 문제점, 중점사항들을 정리하였다.
본 논문(이하 제작보고서)은 영화를 만들어 나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자본, 기술, 그리고 창조성 이 세 가지 요소를 갖추고 있는 상업영화 시스템과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단편극영화 제작 과정을 체계적으로 고민해보고자 한다. 이제는 누구 손안에나 영화를 찍을 카메라를 한 대 쯤은 가지고 있다. 어떤 이는 이제 본격적인 디지털 DIY 시대가 열렸다고도 한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또는 유튜브(http://www.youtube.com)의 활용 등으로 상영 공간이라는 경계가 없어졌다고도 한다. 바야흐로 그림을 그리고 음악을 만들 듯 영화를 만들 수 있는 시대가 왔다. 그러나 또한 이 논의는 8mm캠코더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누구나 자신의 이야기를 영화로 만들 수 있다고 했고 누구나 영화감독이 될 수 있다고 했다. 테크놀로지의 발달이 매체로서의 영화에 편리함을 가져다 준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누구나 영화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은 해묵은 이야기에 불과하다. 스마트폰만 있다고 영화를 만들 수 있다고 선동해서는 안 된다. 생산하는 구조와 양식, 소통하는 방식 등이 민주화 되었다고 해서 그의 발전적인 방향이 문화 콘텐츠의 저변 확대나 영화 진흥의 미래에 대안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없다. 개인적인 이유, 사적인 영역, 개인의 영화가 무엇보다 앞서 있는 매체로서의 역할이 아니라 영화의 본질인 대중과의 소통하기 - 확장된 의미의 오락으로서의 기능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영화 제작에는 많은 돈이 지출되지만 쓸데없이 낭비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만 보아도 1년 중 100편 정도의 영화가 제작되고 상영되지만 겨우 흥행 성적 상위 10편 정도가 생존자라 할 수 있다. 영화는 배우, 감독, 제작자들에 의해 만들어 진다고 할 수 있지만 결국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관객이다. 이 과정에는 물론 여러 종류의 홍보나 선전이 개입되지만 어떤 영화가 관객의 상상력을 사로잡고, 어떤 영화는 왜 그렇지 못한가는 미스터리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화는 크리스티앙 메츠(Christian Metz)가 말한 대로 “우리의 생산물, 즉 그것을 소비하는 사회의 생산물” 관객을 고찰하지 않고 사회적 행위로 영화를 논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 해에 경쟁 또는 비경쟁으로 열리는 단편영화제가 무려 30여개에 달한다. 단편영화는 예전에는 상영시간이 짧은 영화 또는 16mm 또는 DV 소형영화라는 범주에 있었지만, 이제는 더이상 시간의 길이 혹은 화면 사이즈로 구분되지 않는다. 단편영화가 영화산업 또는 문화 콘텐츠 진흥에 다양성과 독창성의 자양분이 되고 있다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창의성과 작가정신이라는 두 가지 기본 바탕에 대중과 소통하는 영화로서 제대로 된 프로세스를 구축 할 때 창의적인 아이템 또는 시나리오가 존재할 수 있다. 한편 그것이 바로 단편영화로서의 존재감이라고 여기며 본 제작보고서에는 제작단계별 특성 및 문제점, 중점사항들을 정리하였다.
This thesis is on the production process of a short film which is different to that of the commercial film system with capital, technology and creativity. Most people have own camera to shoot a film. Some say today is the digital DIY age. Moreover, there is no spatial limitation in showing the film ...
This thesis is on the production process of a short film which is different to that of the commercial film system with capital, technology and creativity. Most people have own camera to shoot a film. Some say today is the digital DIY age. Moreover, there is no spatial limitation in showing the film thanks to SNS, youtube, etc. An age has come to make a film just as drawing a picture or composing music. However, a similar discourse goes back to the 8mm camcorder period. At that time, people said anyone could make a film and anybody could be a film director. Though it is true that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gives convenience to the film industry, it is absolutely nonsense that anyone can produce a film. It is absurd to remark anyone can be a film maker with a smart phone. The development of production structure, democratization of a communication method cannot guarantee the expansion of cultural contents or cannot be an alternative of promoting the film industry. It is because the role of film as a media does not focus on personal reason, private sphere and individual's film but focus on the communication with the popular, an essential function of a film as an extended entertainment. A great deal of money is spent in film-making, but sometimes money is wasted too. About 100 films are produced annually in Korea, but only dozens are the survivors in the box-office record. A film is made by actors, directors and producers, but the success depends on the number of audiences. Of course, various promotions are introduced in the process, but it is still mysterious to determine the attraction of audiences' imagination. Nonetheless, as Christian Metz(1982) remarked, it is impossible to talk about the film as a social action without speculating audiences being “social products who consume our products”. There are over 30 competitive and non-competitive short film festivals. The short film is not classified by the running time or screen size in the category of short film with short running time or 16mm/DV small size film. There is no doubt that the short film is a nutriment for diversity and creativity in promoting the film industry or cultural contents. When a right process is constructed based on creativeness and the spirit of the author to communicate with the popular, creative scenario and item can exist, which is the reason for existence as a short film. This production report includes characteristics, problems and core points in each stage of production.
This thesis is on the production process of a short film which is different to that of the commercial film system with capital, technology and creativity. Most people have own camera to shoot a film. Some say today is the digital DIY age. Moreover, there is no spatial limitation in showing the film thanks to SNS, youtube, etc. An age has come to make a film just as drawing a picture or composing music. However, a similar discourse goes back to the 8mm camcorder period. At that time, people said anyone could make a film and anybody could be a film director. Though it is true that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gives convenience to the film industry, it is absolutely nonsense that anyone can produce a film. It is absurd to remark anyone can be a film maker with a smart phone. The development of production structure, democratization of a communication method cannot guarantee the expansion of cultural contents or cannot be an alternative of promoting the film industry. It is because the role of film as a media does not focus on personal reason, private sphere and individual's film but focus on the communication with the popular, an essential function of a film as an extended entertainment. A great deal of money is spent in film-making, but sometimes money is wasted too. About 100 films are produced annually in Korea, but only dozens are the survivors in the box-office record. A film is made by actors, directors and producers, but the success depends on the number of audiences. Of course, various promotions are introduced in the process, but it is still mysterious to determine the attraction of audiences' imagination. Nonetheless, as Christian Metz(1982) remarked, it is impossible to talk about the film as a social action without speculating audiences being “social products who consume our products”. There are over 30 competitive and non-competitive short film festivals. The short film is not classified by the running time or screen size in the category of short film with short running time or 16mm/DV small size film. There is no doubt that the short film is a nutriment for diversity and creativity in promoting the film industry or cultural contents. When a right process is constructed based on creativeness and the spirit of the author to communicate with the popular, creative scenario and item can exist, which is the reason for existence as a short film. This production report includes characteristics, problems and core points in each stage of produc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