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위논문] 우리나라 관광정책 집행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원문보기


김상남 (명지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국내박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관광산업은 21세기 신 성장 동력산업 으로서 서비스산업 중에서도 “ 고용 없는 성장시대” 의 최적의 대안산업으로 성장기여도와 잠재력, 외화획득 효과가 높은 고부가가치산업이자 친환경산업으로서 글로벌경쟁시대에 그 역할을 충분히 수행해 나갈 수 있는 흔히 “굴뚝 없는 성장산업”으로 그 동안 한국경제발전에 크게 공헌하여 왔다. 특히 부존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로서는 관광산업이야말로 중요산업이며 관광을 통한 삶의 질을 높이고 삶을 통한 인간의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켜야 하는 중요한 과제를 안고 있다. 최근 세계 경제포럼이 발표한 “2011 관광산업 경쟁력지수”에서 우리나라의 성적은 139개국 중 32위로 작년 순위 31위보다 오히려 한 계단 더 떨어졌다.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이 22위인 것을 고려하면 관광분야가 우리 전체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나 수준이 아직 많이 부족하다는 의미로 밖에 볼 수 없다. 그 동안 우리나라의 관광정책은 주로 국가의 정책 개입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 한 동안 관광을 사치 및 향락산업으로 인식하여 관광을 마치 과소비를 조장하는 사업으로 외화만을 낭비하는 산업으로 인식하여 우리나라의 관광산업이 활성화 되지 못하였으나 관광이 경제적인 측면에서 외화획득, 고용창출 같은 원천으로 인식하면서부터 국가의 정책개입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지방자치시대에 즈음하여 지역관광의 경쟁력이 곧 한국관광의 경쟁력이라고 하지만 지방자치제가 실시된 지 15여년이 지난 오늘날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문화와 레저를 즐길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환경의 자원화를 감안한 환경 보존형 개발 등 다양한 정책을 수립해 나가려고 노력하고 있으나 국내의 지방자치단체들의 경쟁력을 진단해 보면 아직도 가야할 길이 멀다. 2011년도인 금년도 외래관광객 850만 명, 2012년 1천만 명의 시대를 앞두고 있지만 여전히 외국 관광객들은 서울, 제주, 부산, 경주, 설악산 등 일부지역을 제외하고 찾아가기 어려운 실정이다. 정책적인측변에서 그 동안 지방자치단체가 자율성과 창의성을 발휘하기 어려웠고 중앙정부의 각 부처에서 추진하는 사업을 지역의 관광시스템으로 통합하려는 노력도 부족하고 중앙정부와 광역지방자치단체가 수직적인 조정과 협력네트워크나 공공과 민간의 파트너 쉽 부재는 더 큰 문제로 당초 계획했던 목표에 대하여 얼마나 성과가 있었는지에 대한 엄정한 평가도 거의 없다. 우리나라의 관광산업의 발전을 위한 정책집행에 있어서 정부는 막연하게 ...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direct local election was started in June 1995, local autonomy has been progressed gradually. However, after that, with growing demand and voice of local communities, and expansion of self-governing capability of municipal corporations, conflicts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gencies h...

Keyword

#우리나라의 관광정책 개선방안  #우리나라의 관광산업 발전을 위한 개선방안 

학위논문 정보

저자 김상남
학위수여기관 명지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행정학과
지도교수 임승빈
발행연도 2011
총페이지 ix, 212 p.
키워드 우리나라의 관광정책 개선방안, 우리나라의 관광산업 발전을 위한 개선방안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2530095&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