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집단놀이 프로그램을 통한 ADHD 아동의 친사회성과 교우관계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improvement of prosociability and peer relationship of ADHD child through the group play program.원문보기
본 연구는 집단놀이프로그램을 적용하여 ADHD아동의 친사회성과 교우관계를 향상하는데 목적을 둔 단일사례연구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집단놀이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친사회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가? 둘째, 집단 놀이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교우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아동은 ADHD로 진단받고 6개월 이상 약물치료 중이며, 사회적 행동이 미숙하여 교우관계 갈등이 심한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이다. 대상 아동의 친사회성과 교우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집단놀이 14회기, 부모님 상담 2회기, 아동 상담 2회기, 담임 교사 상담 1회기, 정리 및 평가 1회기를 포함한 집단놀이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총 20회기 중 대상아동과 급우들에게 매회 50분씩 주 2회, 14회기의 놀이 프로그램을 연구자가 직접 실시하였다. 집단놀이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
본 연구는 집단놀이프로그램을 적용하여 ADHD아동의 친사회성과 교우관계를 향상하는데 목적을 둔 단일사례연구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집단놀이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친사회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가? 둘째, 집단 놀이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교우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아동은 ADHD로 진단받고 6개월 이상 약물치료 중이며, 사회적 행동이 미숙하여 교우관계 갈등이 심한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이다. 대상 아동의 친사회성과 교우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집단놀이 14회기, 부모님 상담 2회기, 아동 상담 2회기, 담임 교사 상담 1회기, 정리 및 평가 1회기를 포함한 집단놀이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총 20회기 중 대상아동과 급우들에게 매회 50분씩 주 2회, 14회기의 놀이 프로그램을 연구자가 직접 실시하였다. 집단놀이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양적분석과 질적분석을 병행하였다. 친사회적 행동 척도와 Iowa 사회적 능력척도의 사전, 사후 결과를 양적분석 자료로서 이용하였다. 집단 놀이를 녹화한 비디오, 문장완성검사, 학교생활화, 회기별 소감문, 상담 축어록을 질적 분석 자료로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놀이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친사회성을 향상시켰다. 집단놀이프로그램 후에, 친사회적 행동 검사와 Iowa 사회적 능력척도 교사용 점수가 각각 18점, 8점 증가하였고 비디오와 소감문을 통해 ADHD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놀이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교우관계를 향상시켰다. 사전-사후에 실시한 학교생활화와 문장완성검사에서도 담임교사와 친구들에 대한 대상아동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된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적용한 집단놀이프로그램은 사회적 능력이 부족하여 또래와의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ADHD아동의 친사회성과 교우관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사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 수준을 고려한 다양한 놀이 활동을 제작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이 연구는 최근 학교장면에서 자주 발생하는 집단 따돌림, 학교 폭력과 같은 문제의 예방 및 또래 친구들과의 우애 증진, 타인에 대한 포용심 증대에 효과적인 생활지도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ADHD아동과 또래들은 학급집단에서 지켜야 할 도덕적 규범처럼 생각하기 쉬운 친사회적 행동의 다소 딱딱한 이미지를 재미있는 집단놀이를 통해 배우면서 보다 활발한 집단 경험을 하게 되고 집단응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집단놀이프로그램을 적용하여 ADHD아동의 친사회성과 교우관계를 향상하는데 목적을 둔 단일사례연구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집단놀이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친사회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가? 둘째, 집단 놀이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교우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아동은 ADHD로 진단받고 6개월 이상 약물치료 중이며, 사회적 행동이 미숙하여 교우관계 갈등이 심한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이다. 대상 아동의 친사회성과 교우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집단놀이 14회기, 부모님 상담 2회기, 아동 상담 2회기, 담임 교사 상담 1회기, 정리 및 평가 1회기를 포함한 집단놀이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총 20회기 중 대상아동과 급우들에게 매회 50분씩 주 2회, 14회기의 놀이 프로그램을 연구자가 직접 실시하였다. 집단놀이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양적분석과 질적분석을 병행하였다. 친사회적 행동 척도와 Iowa 사회적 능력척도의 사전, 사후 결과를 양적분석 자료로서 이용하였다. 집단 놀이를 녹화한 비디오, 문장완성검사, 학교생활화, 회기별 소감문, 상담 축어록을 질적 분석 자료로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놀이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친사회성을 향상시켰다. 집단놀이프로그램 후에, 친사회적 행동 검사와 Iowa 사회적 능력척도 교사용 점수가 각각 18점, 8점 증가하였고 비디오와 소감문을 통해 ADHD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놀이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교우관계를 향상시켰다. 사전-사후에 실시한 학교생활화와 문장완성검사에서도 담임교사와 친구들에 대한 대상아동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된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적용한 집단놀이프로그램은 사회적 능력이 부족하여 또래와의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ADHD아동의 친사회성과 교우관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사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 수준을 고려한 다양한 놀이 활동을 제작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이 연구는 최근 학교장면에서 자주 발생하는 집단 따돌림, 학교 폭력과 같은 문제의 예방 및 또래 친구들과의 우애 증진, 타인에 대한 포용심 증대에 효과적인 생활지도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ADHD아동과 또래들은 학급집단에서 지켜야 할 도덕적 규범처럼 생각하기 쉬운 친사회적 행동의 다소 딱딱한 이미지를 재미있는 집단놀이를 통해 배우면서 보다 활발한 집단 경험을 하게 되고 집단응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is is a case study aimed at improving prosociability and peer relationship of child with th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through the group play program.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rais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Is the group play program effective in improv...
This is a case study aimed at improving prosociability and peer relationship of child with th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through the group play program.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rais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Is the group play program effective in improving ADHD child's prosociability? Second, Is the group play program effective in improving ADHD child's peer relationship? The subject is the third grade student of elementary school, who was diagnosed with an ADHD of a doctor. He has been receiving drug treatment for over six months and has lots of trouble maintaining a good relationship with peers due to his lack of sociability. In order to improve the child's prosociability and peer relationship, group play program was organized in this study contained the following five parts : group play 14session, counseling with the child's parents 2session, the child's teacher 1 session, assessment 1 session. The researcher conducted group play 14session for the subject and his peers, two sessions per week, 50 minutes each. This study combined quantitative analysis with qualitative analysis for identifying effect of the group play program. The results of pre-test and post-test of pro-sociality behavior test and Iowa Social Competency Scale were used as the materials of quantitative analysis. Moreover, group play 14 session recorded in VCR, SCT(Sentence Completion Test), KSD(Kinetic School Drawing), impression writing each session, a verbatim record were used as the materials of qualitative analysi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above analysis. first, ADHD child's prosociability improved through the group play program. After the program, Pro-sociality behavior test score has increased 18point and Iowa Social Competency Scale 8point. In addition, ADHD child showed to increase Pro-sociality behaviors through recorded VCR and impression written each session. Second, ADHD child's peer relationship improved through the group play program. pre-test and post-test of SCT and KSD also showed positives changes in ADHD child's perception of friends and school teacher. In conclusion, the group play program employed in this study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prosociability and peer relationship of ADHD children who have difficulties in maintaining a peer relationship due to the lack of sociability. From the research,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duced various materials for play activitie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program. Second, the study can be utilized as an effective life guidance method that prevents group-alienation and school violence and improves friendship with peers and tolerance towards others. third, as ADHD child and peers learn pro-social behaviors which can be considered forceful like ethical norms through interesting group play, they participate in group activities more actively and thus group cohesion improves.
This is a case study aimed at improving prosociability and peer relationship of child with th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through the group play program.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rais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Is the group play program effective in improving ADHD child's prosociability? Second, Is the group play program effective in improving ADHD child's peer relationship? The subject is the third grade student of elementary school, who was diagnosed with an ADHD of a doctor. He has been receiving drug treatment for over six months and has lots of trouble maintaining a good relationship with peers due to his lack of sociability. In order to improve the child's prosociability and peer relationship, group play program was organized in this study contained the following five parts : group play 14session, counseling with the child's parents 2session, the child's teacher 1 session, assessment 1 session. The researcher conducted group play 14session for the subject and his peers, two sessions per week, 50 minutes each. This study combined quantitative analysis with qualitative analysis for identifying effect of the group play program. The results of pre-test and post-test of pro-sociality behavior test and Iowa Social Competency Scale were used as the materials of quantitative analysis. Moreover, group play 14 session recorded in VCR, SCT(Sentence Completion Test), KSD(Kinetic School Drawing), impression writing each session, a verbatim record were used as the materials of qualitative analysi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above analysis. first, ADHD child's prosociability improved through the group play program. After the program, Pro-sociality behavior test score has increased 18point and Iowa Social Competency Scale 8point. In addition, ADHD child showed to increase Pro-sociality behaviors through recorded VCR and impression written each session. Second, ADHD child's peer relationship improved through the group play program. pre-test and post-test of SCT and KSD also showed positives changes in ADHD child's perception of friends and school teacher. In conclusion, the group play program employed in this study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prosociability and peer relationship of ADHD children who have difficulties in maintaining a peer relationship due to the lack of sociability. From the research,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duced various materials for play activitie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program. Second, the study can be utilized as an effective life guidance method that prevents group-alienation and school violence and improves friendship with peers and tolerance towards others. third, as ADHD child and peers learn pro-social behaviors which can be considered forceful like ethical norms through interesting group play, they participate in group activities more actively and thus group cohesion improv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