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남지역 사찰의 공간구성에 따른 조경식재 현황과 특성에 관한 연구 원문보기


백두인 (東新大學校 環境造景學科 국내석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남지역 사찰의 공간구성에 따른 조경식재 현황 및 특성에 관한 연구 동신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백두인 (지도교수 : 김진성) 우리나라 전통사찰은 자연과 함께 우리 민족의 깊은 역사를 함께하고 탈속과 해탈을 추구하는 불교라는 종교의 특징이 조화롭게 형성되어 있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의 역사적 상황 속에서 임진왜란, 정유재란, 일제강점기, 6.25 한국전쟁 등 때문에 화재 및 훼손 등의 큰 피해가 발생하였다. 사찰의 공간은 그 복구차원에서 중창 및 중수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오면서 원형적 사찰경관의 변형은 불가피한 것이었다. 특히 조경식재는 그 원형을 파악하기 어려울 정도로 변형됐으며, 공간 내에 도입되는 수종 또한, 공간의 특성을 고려하기보다는 대부분 식재 자의 개인적 취향과 조경에 대한 정보 부재로 말미암아 단순한 수목의 공학적 기능에만 의존하여 식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전통사찰 공간 내에서 이루어지는 조경 식재 현황을 조사하여 그 특성을 고찰한 후, 앞으로 전통사찰의 조경 식재와 정비 계획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으로는 전남지역에서 우리나라 문화재보호법 제2조 제1항에 의거 국가적으로 역사적 · 학술적 가치가 중요하다고 판단되어 국가 문화재 사적(史蹟)으로 지정된 화엄사, 송광사, 선암사, 대흥사를 중심으로 문헌 및 현황조사를 통해 공간영역별로 수목 식재 위치를 표시하고 목록을 작성하고 고찰하여 보았다. 본 논문의 결론을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사찰 낙엽관목의 비율이 화엄사 3%(1종), 송광사 15%(8종), 선암사 7%(4종), 대흥사 20%(7종)로 낙엽관목의 수종이 단순하게 식재되어 있다. 따라서 사찰 경역내에서 종교적인 의식행사와 상징적 의미가 다양하게 표현되면서 전통 사찰 공간의 특징인 불교의 공(空)사상과 비움을 구성할 수 있고 꽃과 향기를 포함하는 낙엽관목 군락의 확대 식재가 요구되었다. 둘째, 연구 대상인 4개 사찰 경역 내에 식재된 수목의 종류는 총 93종으로 627개소에 식재되어 있었고, 식재 빈도수가 10개소 이상 식재된 주요 수종은 총 15종으로 이들은 모두 392개소에 식재되어 있고, 주요 수종 식재 비율이 전체 627개소의 62.51%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송광사 158개소, 화엄사 124개소, 대흥사 88개소 식재와 비교하여 선암사는 257개소에 식재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셋째 연구 대상지 사찰에서 공간별 식재특성은 현실 세계와 직접 맞닿은 진입공간에서 대형 거목들이 잘 보존되고 있었으며, 속계와 성역을 이어주는 전이공간의 구실을 하고, 그 식재 형태는 사찰 단위공간별 다른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넷째 연구 대상 4개 사찰경역내에 꽃 관상 수목 식재 비율이 전체 식재 수종 93종 627개소에서 동백나무, 배롱나무, 철쭉나무, 홍매화, 매화나무 5종이 166개소에 식재되어 26.5%를 차지하고 있다. 이것은 불교 공양의식(꽃, 향기, 차)의 하나인 꽃 공양의식으로 꽃 관상 수목이 한국 전통 사찰공간에서는 주요 도입 수종으로 식재됨을 알 수 있다. 끝으로 이번 조사연구 과정에서 나타난 본 연구의 한계점들은 앞으로 추가적인 연구에서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첫째, 앞으로 연구 대상을 전국 사찰로 확대하여 전통사찰의 공간 구성에 따른 식재 특성에 대한 고찰과 비교 연구가 지속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둘째, 연구 대상 사찰의 정밀한 지형 및 실측 현황 도면을 사용하여 사찰의 고유한 지형적인 요소와 ...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tudy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cenic Planting Following Spatial Arrangement of Temples in the Greater Chunnam Area Landscape Architecture Major Beak Do In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Dongsin University (Advised by Professor kim, gin seoung) Korean ...

학위논문 정보

저자 백두인
학위수여기관 東新大學校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環境造景學科
발행연도 2011
총페이지 vii, 86장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2575274&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