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전통사찰 경내 식재실태 및 식재정비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Planting Status and Maintenance Plans of Traditional Korean Temples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4 no.1, 2016년, pp.53 - 70  

이선희 (국립수목원 전시교육과) ,  진혜영 (국립수목원 전시교육과) ,  이현채 (국립수목원 전시교육과) ,  문애라 (국립수목원 전시교육과) ,  최우경 (국립수목원 전시교육과) ,  송유진 (국립수목원 전시교육과) ,  송정화 (국립수목원 전시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의 사찰정원은 자연과의 조화로운 삶을 추구하는 조상들의 지혜가 반영되어 있는 전통정원 중의 하나로, 전통사찰은 종교적 공간으로도 그 가치가 높지만 지리적 이점으로 주변경관이 아름다운 곳에 입지해 있기 때문에 종교적 공간으로써 사찰뿐만 아니라 경관감상을 위해 국내 외적으로 관심과 방문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많은 사찰정원은 전통적 공간과 어울리지 않는 식물들의 무분별한 식재로 전통적 공간으로써 본래의 가치와 의미를 잃어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역사 문화를 간직한 사찰이 세계화에 앞서 전통성을 유지하기 위해 전국 전통사찰 51개소를 대상으로 사찰 경내 식재현황을 조사하였다. 식재현황 조사 결과, 사찰에 식재된 식물은 총 207종으로 그 중 자생식물은 128종(61.84%), 재배식물은 76종(36.71), 귀화식물은 2종(0.97%), 도입식물은 1종(0.48)으로 자생식물의 식재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전국 사찰에 가장 많이 식재된 상위 3종으로는 소나무(46개소), 느티나무(38개소), 은행나무(36개소)였다. 희귀식물로는 검팽나무, 구상나무 등이 조사되었으며 이는 전체식물 중 5.3%에 해당되며, 한국의 특산식물로는 병꽃나무, 오동나무 등이 조사되었으며 이는 3.4%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연꽃, 파초, 불두화와 같이 불교와 관련이 있는 수종의 비율은 적었는데, 이로 미루어 볼 때, 전통 사찰정원에는 불교적 의미가 있는 식물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통적 의미를 가지는 식물의 식재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역사적인 공간으로써의 특징이 더 크게 보였다. 위와 같은 식재현황을 바탕으로 사찰정원의 의미와 특징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찰의 진입로 영역, 경내 마당, 배경림과의 경계 및 화계 등 사찰 내부공간의 성격에 따라 식재 정비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새로운 한국사찰정원을 조성함에 있어 종교적, 역사적으로 의미가 있는 등 상징성 있는 식물의 식재 및 장소에 알맞은 수종을 식재할 것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n temple gardens have very high preservation value as the place reflecting ancestral wisdom in harmony with nature. Not only as a religious place but also as a beautiful landscape place, many people including foreigners are visiting traditional Korean temples. However, current many Korean temp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다른 한국정원과 달리 사찰 정원으로서 그 의미와 특징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찰 내부 공간의 성격에 따라 식재 정비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사찰 경내 생육하는 주요 수종의 현지조사를 바탕으로 현황을 분석하고 정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시간에 따른 수목의 변화로 인한 사료 고증의 한계, 사료 기록 수종명 검증의 한계, 토착식물의 맹목적 식재 권장의 한계 등으로 실태와 정비 방안의 개연성이 미흡한 한계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역사·문화를 간직한 사찰이 세계화에 앞서 전통성을 유지하기 위해 현 시점에서 전통 사찰 정원에서의 식재 실태 및 식재정비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매번 산에 가서 향나무를 채취하다가 쪼개고 씻어서 발 위에 펼쳐두었는데, 그 향나무가 밤이 되면 촛불처럼 빛을 발하였다. 이런 이유로 고을 사람들은 그 향을 바친 무리들에게 보시하고 빛을 얻는 해라며 축하하였다.
  • 우리의 역사·문화를 간직한 사찰이 세계화에 앞서 전통성을 유지하기 위해 전국 전통사찰 51개소를 대상으로 사찰 경내 식재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찰 경내 식재 정비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도출된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역사·문화를 간직한 사찰이 세계화에 앞서 전통성을 유지하기 위해 현 시점에서 전통 사찰 정원에서의 식재 실태 및 식재정비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 전통사찰 51개소를 대상으로 식재현황을 파악하고자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사찰정원에서의 식재 수종의 개선 등과 같은 식재 정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찰림이란? 사찰림(寺刹林)은 사찰 경내 풍치를 보존하고 사찰 운영에 필요한 재원과 물자를 조달하기 위해 사찰이 소유하고 있는 산림이며[2], 전체면적은 우리나라 면적의 0.7%인 6만 3천 헥타르로[3] 우리나라의 사찰림이 생태계 보존에 미치는 영향은 막대하다고 할 수 있겠다.
불교경전의 화엄경과 법화경에서 숲을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가? 또한 그의 제자들 역시 숲에서 깨달음을 얻고 번뇌를 깨우쳤다. 불교경전에도 숲에 대한 표현이 나타나는데 ‘화엄경’에는 시냇 물이 흐르는 울창한 숲을 강조하며, ‘법화경’에서는 극락이 수풀로 우거진 동산이라고 묘사하고 있다[1]. 이는 불교라는 종교에서 숲이 차지하는 의미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항으로 고승들의 설법과 오래된 법경에서도 불교와 숲 사이의 불가분한 관계를 알 수 있다.
불교와 숲이 밀접한 이유는? 불교는 숲과 밀접한 종교이다. 부처가 탄생하여 열반에 이르 기까지 나무와 숲은 부처가 설법을 하고 수행을 하는 장소였다. 또한 그의 제자들 역시 숲에서 깨달음을 얻고 번뇌를 깨우쳤다. 불교경전에도 숲에 대한 표현이 나타나는데 ‘화엄경’에는 시냇 물이 흐르는 울창한 숲을 강조하며, ‘법화경’에서는 극락이 수풀로 우거진 동산이라고 묘사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Jeon, Y. W. (2015). Jeon Young Woo's Stories of temple forest: Part 2. Buddhism, religion of forest. Contributions of Buddhism Newspaper 2015.01.26. 

  2. Jeon, Y. W.(2009). Origin formation and function of temple forest. Forest and humanity. 21: 1-15. 

  3. Korea Forest Service.(2015). Forest managed by Buddhism, Temple Forest. 

  4. Yi, P. I. and Yi, Y. K. (2000). Study of Temple Environment. Sillamunwhawon: Gyeongsangbukdo. 

  5. Heo, S. H.(2005). A Study on the Planting Condition of Traditional Temples - Bulguksa, Bunhwangsa, Kirimsa, Golgulsa. The Study of Buddhist landscape architecture. 10: 79-92. 

  6. You, J. H., Hong, K. P. and Lee, D. H.(2010). Landscape Plants and Planting Characteristics of Three-Tresure Templ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119-128. 

  7. Jeon, U. S.(1996). A study on the species planted in the private, public institutions and attractions. Korean journal of nature conservation. 15: 27-62. 

  8. Shin, J. H.(1997). Korea of foreign species status and improvement measures. National forestry cooperative federation. 373: 90-95. 

  9. Thomas, M. S.(2016). Elements of Ecology. LifeScience: Seoul. 

  10. Buddhist temple ecology Research Institute(2014). plant ties with Buddhism. Buddhist temple ecology Research Institute Research Reports. 

  11. Shin, Y. C. and Kwak, B. H.(1982). Study on landscape and flora of Korean temples. Collection of dissertation of Pai Chae University. 3: 345-410. 

  12. Kwon, Y. H.(1993). Tree Story. Seoul: Jeonwon. 

  13. Kim, Y. S. and Rho, J. H.(2014).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Musa basjoo planting in folk village and traditional templ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2: 124-133. 

  14. Rho, J. H., Kim, Y. S. and Goh, Y. B.(2014). Aspects and Significance of Musa basjoo, a Landscaping Plant - Focused on Analysis of Old Paintings of Chosun Dynasty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8(2): 23-36. 

  15. Jung, H. K. and Kim, S. H.(2007). Trees of our living.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Korea Forest Service. 

  16. Lee, S.(2006). Study on planting in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Suryusanbang. Seoul. 

  17. Shim, J. S. and Bae, J. K.(2004). An Investigation Study on The Planting Arrangement of Ornamental Plants in Four Level Land Buddhist Temples. Journal of Natural Sciences Pai Chai University, Korea. 14: 123-138. 

  18. Ha, J. H. and Kim, N. C.(1999). Studies on the flora and management planning at the Bulkuk temple. Temple Landscape Research. 7: 43-59. 

  19. Hong, K. P. and You, J. H.(2015). Evaluation of planting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landscape plants of Haein-sa. Sillamunhwa. 46: 365-386. 

  20. Yeon, J. A. and Park, W. K.(2013). Species Identification of Wooden Elements Used for Daewungjeon Hall in the Bukjijangsa Temple, Daegu, Korea. Forest Products. 41(3): 201-210. 

  21. Baeg, J. C., Kim, Y. G. and Gong, Y. B.(2003). A Study on the Repair Project of the Hwagye after Restoration of the Chybyong in the Juhapru at the Changdeokgung Pala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1: 31. 

  22. Choi, S. B. and Ha, J. H.(1998). Studies on the flora at the Bulgap temple. Temple Landscape Research. 6: 181-200. 

  23. Beak, D. I.(2011). A study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cenic planting following spatial arrangement of temples in the greater Chunnam area. Master thesis of Dongsh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24. Ha, J. H., Hong, K. P. and Kim, N. C.(1997). A study on the planting status of landscaping plants of Sunam temple. Temple Landscape Research. 5: 45-57. 

  25. Park, C. W., Jeong, M. A. and Lee, Y. H.(2015). A Study on Reasons for Planting Abies holophylla by Imperial Japan in Korean Templ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4): 50-61. 

  26. Lee, W. H., Kim, D. H., Kim, J. U., Ahn, H. I., Kim, D. Y. and Cho, U. Y.(2014). A Study on the Maintenance Plan of Trees in Gwanghalluwon Garden for Representing Traditional Spac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2(3): 82-95. 

  27. Korea forest service, Korea National Arboretum(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28. Korea National Arboretum(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29. Lee, Y. M., Park, S. H., Jung, S. Y., Oh, S. H. and Yang, J. C.(2011). Study on the current sr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 87-101. 

  30. Numata(1975). Naturalized Plants. Tokyo: Japanese books. 

  31. Oh, H. K., Choi, Y. H. and You J. H.(2014). Analysis of ecological index of plant using flora distributed in temple forest.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3: 251-270. 

  32. Min, T. Y., Park, S. K. and Lee, Y. S.(2011). Plants in the scripture. Idambooks. 

  33. Peck, Y. J. and Kwak, D. Y.(200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stituent in entry area on Buddhism temples around Seoul.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and Design. 24: 159-166. 

  34. Korea Research Group of Tree Protection(2001). Study on conservation methods of protection and old trees in Seoul. Tree Protection. 6: 58-74. 

  35. Hong, K. P., Lee, S. Y. and Jang, B. H.(2000). A study on the Hwagye(artificial plant stairs) of buddhist templ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8: 13-25. 

  36. Chung, J. H.(2005). Status and challenges of landscape in historic site. Proceedings of Symposium of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pp:11-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