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반구 온대지방의 낙엽수는 생육초기인 봄에 개엽하고 가을에 낙엽을 형성함으로써 식물계절현상을 1년 주기로 나타내는데, 발아, 개엽, 개화, 낙화 및 낙엽 등의 단계로 뚜렷이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겨울눈 파열과 개엽 시기는 생육초기의 급격한 온도변화에 대한 대처능력과 봄 서리, 광주기 전략 등 식물의 생존과 생장 연구의 기초가 되고 있다. 이러한 식물의 생물계절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으로 대기후뿐만 아니라 미기후도 중요하며 동일종, 동일 위도라도 지역, 고도, 사면, 개체 또는 가지의 위치에 따라 그 시기가 다르다고 알려져 있다. 기후변화에 대한 식물의 행동양상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
북반구 온대지방의 낙엽수는 생육초기인 봄에 개엽하고 가을에 낙엽을 형성함으로써 식물계절현상을 1년 주기로 나타내는데, 발아, 개엽, 개화, 낙화 및 낙엽 등의 단계로 뚜렷이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겨울눈 파열과 개엽 시기는 생육초기의 급격한 온도변화에 대한 대처능력과 봄 서리, 광주기 전략 등 식물의 생존과 생장 연구의 기초가 되고 있다. 이러한 식물의 생물계절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으로 대기후뿐만 아니라 미기후도 중요하며 동일종, 동일 위도라도 지역, 고도, 사면, 개체 또는 가지의 위치에 따라 그 시기가 다르다고 알려져 있다. 기후변화에 대한 식물의 행동양상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점봉산에서 겨울눈 파열과 개엽을 중심으로 봄철 식물 계절 현상을 관찰하고, 관련 환경인자를 함께 조사하여 미기후 변화에 따른 식물계절현상과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중 생장에 따른 목본식물의 발아, 개엽의 각 단계별 시기를 조사하고, 동일 지역 내에서 사면에 따른 영향을 비교하였다. 조사종의 겨울눈 파열과 개엽 시기는 전체적으로 2006년에서 2009년까지는 빨라졌다가 2010, 2011년은 상대적으로 느려진 경향이 나타났다. 겨울눈 파열의 경우 교목보다 관목이 1-3주 빠른 시기에 파열된 모습이 관찰되었으며, 개엽의 시기에 있어서는 같거나 1주의 빠른 결과를 보여 상대적으로 비슷한 시기에 개엽한 모습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사면에 따른 차이는 교목의 겨울눈 파열시기에 일부 나타났으나 큰 차이는 없었으며 조사 기간 동안 전체적으로 사면에 따른 영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목 중에는 산벚나무(Prunus sargentii)가 상대적으로 파열시기가 빨랐으며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가 느렸다. 관목의 겨울눈 파열 시기에서는 국수나무(Stephanandra incisa)가 다른 종보다 이른 시기에 겨울눈이 파열하는 모습을 보였다. 2006년부터 2011년까지 겨울눈 파열과 개엽 시기와 봄철 대기온도, 토양온도의 변화와는 음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월과 4월의 평균기온은 다른 시기보다 높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겨울눈의 파열 시기를 세부구분하고 단계별 등급을 설정하여 잎의 길이 생장과의 관계를 추정한 결과 전체적으로 2009년까지는 시기가 빨라지다가 이후에는 느려지는 모습이 일주일 간격의 조사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개체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그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국수나무(Stephanandra incisa)가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보다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북반구 온대지방의 낙엽수는 생육초기인 봄에 개엽하고 가을에 낙엽을 형성함으로써 식물계절현상을 1년 주기로 나타내는데, 발아, 개엽, 개화, 낙화 및 낙엽 등의 단계로 뚜렷이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겨울눈 파열과 개엽 시기는 생육초기의 급격한 온도변화에 대한 대처능력과 봄 서리, 광주기 전략 등 식물의 생존과 생장 연구의 기초가 되고 있다. 이러한 식물의 생물계절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으로 대기후뿐만 아니라 미기후도 중요하며 동일종, 동일 위도라도 지역, 고도, 사면, 개체 또는 가지의 위치에 따라 그 시기가 다르다고 알려져 있다. 기후변화에 대한 식물의 행동양상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점봉산에서 겨울눈 파열과 개엽을 중심으로 봄철 식물 계절 현상을 관찰하고, 관련 환경인자를 함께 조사하여 미기후 변화에 따른 식물계절현상과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중 생장에 따른 목본식물의 발아, 개엽의 각 단계별 시기를 조사하고, 동일 지역 내에서 사면에 따른 영향을 비교하였다. 조사종의 겨울눈 파열과 개엽 시기는 전체적으로 2006년에서 2009년까지는 빨라졌다가 2010, 2011년은 상대적으로 느려진 경향이 나타났다. 겨울눈 파열의 경우 교목보다 관목이 1-3주 빠른 시기에 파열된 모습이 관찰되었으며, 개엽의 시기에 있어서는 같거나 1주의 빠른 결과를 보여 상대적으로 비슷한 시기에 개엽한 모습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사면에 따른 차이는 교목의 겨울눈 파열시기에 일부 나타났으나 큰 차이는 없었으며 조사 기간 동안 전체적으로 사면에 따른 영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목 중에는 산벚나무(Prunus sargentii)가 상대적으로 파열시기가 빨랐으며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가 느렸다. 관목의 겨울눈 파열 시기에서는 국수나무(Stephanandra incisa)가 다른 종보다 이른 시기에 겨울눈이 파열하는 모습을 보였다. 2006년부터 2011년까지 겨울눈 파열과 개엽 시기와 봄철 대기온도, 토양온도의 변화와는 음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월과 4월의 평균기온은 다른 시기보다 높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겨울눈의 파열 시기를 세부구분하고 단계별 등급을 설정하여 잎의 길이 생장과의 관계를 추정한 결과 전체적으로 2009년까지는 시기가 빨라지다가 이후에는 느려지는 모습이 일주일 간격의 조사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개체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그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국수나무(Stephanandra incisa)가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보다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Deciduous trees in northern temperate regions show a seasonal phenomena with corresponding annual cycle of leafing in the spring and leaf-fall in the autumn. Plant phenology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into bud-burst, leafing, flowering, deflowering and leaf-falling. Among these phenological phases...
Deciduous trees in northern temperate regions show a seasonal phenomena with corresponding annual cycle of leafing in the spring and leaf-fall in the autumn. Plant phenology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into bud-burst, leafing, flowering, deflowering and leaf-falling. Among these phenological phases, the timing of bud-burst and leafing are the basic research themes for plant survival and growth strategies in the early growth season including adaptability to rapid temperature change, spring frost, and gradual photoperiod change. The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phenology of plants are microclimate as well as macroclimate. It is known that even with the same species and the same latitude, timing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elevation, slope, individuals and the location of the branches. Phenology of the early spring season, focused on bud-burst and leafing, was investigated in Mt. Jumbong to identify patterns of plant behavior to climate change. Environmental factors associated with plant phenology were analyz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plant phenology and changes in microclimate was discussed. For this, date of bud-burst and leafing were determined in the early spring, and the phenologies of different slopes within the same region were compared. The timing of bud-burst and leafing were earlier from 2006 until 2009, and tended to be relatively later in 2010 and 2011. The timing of bud-burst of trees was observed 1-3 weeks earlier than the shrubs, while the timing of leafing of trees was observed equal or one week earlier than the shrubs. Different slopes affected early spring phenology,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rees, Prunus sargentii was relatively earlier in timing of bud-burst, while Quercus mongolica was later. Among shrubs, the timing of bud-burst of Stephanandra incisa was earlier than other species. Between 2006 and 2011, the timing of bud-burst and leafing were negativly correlated with changes in air temperature and soil temperature in spring. In particular, average temperature in March and April showed a higher correlation. The timing of bud-burst was classified in detail by cod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des and the lengths of leaves was determined. The timing of bud-burst based on codes was earlier from 2006 until 2009, and tended to be relatively later in 2010 and 2011. The results were similar to those by the survey of weekly intervals.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individuals in the timing of bud-burst,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 higher correlation between the timing of bud-burst and monthly mean air temperatures of March, April, and May was observed in Stephanandra incisa than Lindera obtusiloba.
Deciduous trees in northern temperate regions show a seasonal phenomena with corresponding annual cycle of leafing in the spring and leaf-fall in the autumn. Plant phenology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into bud-burst, leafing, flowering, deflowering and leaf-falling. Among these phenological phases, the timing of bud-burst and leafing are the basic research themes for plant survival and growth strategies in the early growth season including adaptability to rapid temperature change, spring frost, and gradual photoperiod change. The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phenology of plants are microclimate as well as macroclimate. It is known that even with the same species and the same latitude, timing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elevation, slope, individuals and the location of the branches. Phenology of the early spring season, focused on bud-burst and leafing, was investigated in Mt. Jumbong to identify patterns of plant behavior to climate change. Environmental factors associated with plant phenology were analyz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plant phenology and changes in microclimate was discussed. For this, date of bud-burst and leafing were determined in the early spring, and the phenologies of different slopes within the same region were compared. The timing of bud-burst and leafing were earlier from 2006 until 2009, and tended to be relatively later in 2010 and 2011. The timing of bud-burst of trees was observed 1-3 weeks earlier than the shrubs, while the timing of leafing of trees was observed equal or one week earlier than the shrubs. Different slopes affected early spring phenology,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rees, Prunus sargentii was relatively earlier in timing of bud-burst, while Quercus mongolica was later. Among shrubs, the timing of bud-burst of Stephanandra incisa was earlier than other species. Between 2006 and 2011, the timing of bud-burst and leafing were negativly correlated with changes in air temperature and soil temperature in spring. In particular, average temperature in March and April showed a higher correlation. The timing of bud-burst was classified in detail by cod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des and the lengths of leaves was determined. The timing of bud-burst based on codes was earlier from 2006 until 2009, and tended to be relatively later in 2010 and 2011. The results were similar to those by the survey of weekly intervals.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individuals in the timing of bud-burst,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 higher correlation between the timing of bud-burst and monthly mean air temperatures of March, April, and May was observed in Stephanandra incisa than Lindera obtusiloba.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