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Neo-DBAE 이론에 기초한 미술 감상 교육연구 : 고등학교 교과서 회화 영역을 중심으로 Study in Art Appreciation Education Based on Neo-DBAE Theory - Focusing on Paintings in High School Art Textbooks원문보기
현대사회는 세계화, 정보화의 시대로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다. 세계 각국의 정보들은 시공간을 넘어 빠르게 교환되고 있으며 언제 어디서든 바로 확인해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무분별한 정보들을 올바르게 수용하고 활용할 줄 아는 비판적 사고력과 시각적 안목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미술교육에서는 창작활동뿐만 아니라 예술을 지각하고 향수하며, 이해하고 수용하는 감상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시각적 문해력 신장에 효율적 접근법인 Neo-DBAE이론에 기반한 미술 감상교육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DBAE(Discipline-Based Art Education)는 학문에 기초한 미술교육의 준말로, 미술의 독자성과 본질적 가치를 강조한다. 사회, 문화, 사상적으로 시대가 모더니즘에서 ...
현대사회는 세계화, 정보화의 시대로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다. 세계 각국의 정보들은 시공간을 넘어 빠르게 교환되고 있으며 언제 어디서든 바로 확인해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무분별한 정보들을 올바르게 수용하고 활용할 줄 아는 비판적 사고력과 시각적 안목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미술교육에서는 창작활동뿐만 아니라 예술을 지각하고 향수하며, 이해하고 수용하는 감상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시각적 문해력 신장에 효율적 접근법인 Neo-DBAE이론에 기반한 미술 감상교육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DBAE(Discipline-Based Art Education)는 학문에 기초한 미술교육의 준말로, 미술의 독자성과 본질적 가치를 강조한다. 사회, 문화, 사상적으로 시대가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 전환되면서 DBAE 내용 전반에 관한 의문이 제기되고 현대의 시대적 특성에 맞게 보완되어 나온 것이 Neo-DBAE이다. Neo-DBAE는 미학, 미술사, 미술비평, 미술표현의 네 영역을 중심으로 비평적 사고활동을 중시하고, 필요에 따라 네 영역의 중첩과 선택적 적용, 관련 학문 영역과의 통합을 추구하여 폭 넓은 미술경험을 유도한다. 이러한 Neo-DBAE의 특성에 기초하여 효과적인 미술 감상수업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그에 따른 지도방안을 연구하여 오늘날 Neo-DBAE이론에 기초한 미술교육이 현 미술교육의 중심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미술 감상은 미술 작품이나 시각 문화 환경의 의미를 이해하고, 그 가치를 느끼고 평가하는 활동이다. 또한 표현활동의 동기를 유발하며 작품을 역사적, 시대적, 문화적 맥락에서 이해하도록 돕는다. 본 연구는 Neo-DBAE이론에 기초한 미술교육 중에서도 한국회화와 서양회화의 감상교육을 통해 조형 양식과 표현 방법, 표현적 특성을 파악하여 그 시대의 문화를 이해하고 우리 사회의 문화적 환경과의 관계를 이해함으로써 다문화를 살아가는 이 시대에 서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회화 감상은 올바른 미적가치판단을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오늘날 변화의 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훌륭한 안내자의 역할을 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 다루어질 한국회화와 서양회화 감상은 현행 고등학교 교과서를 바탕으로 지도방안을 제시한다. 이에 본 연구는 Neo-DBAE를 바탕으로 한 고등학교 감상 지도방안 연구 내용을 다음과 같이 설계하였다. 제 1장 서론에서는 Neo-DBAE이론에 기초한 미술 감상교육 연구의 목적과 내용 및 방법, 연구의 대상 및 제한점을 제시한다. 제 2장에서는 Neo-DBAE의 배경과 특성을 살펴보고 Neo-DBAE의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고자 한다. 제 3장에서는 미술 감상교육의 의의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미술 감상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에 새롭게 개정된 현행 고등학교 교과서의 한국회화와 서양회화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Neo-DBAE이론에 근거한 감상 지도방안 설계의 토대를 제시하고자 한다. 제 4장에서는 Neo-DBAE이론에 기반을 둔 미술 감상교육의 방향에 대하여 살펴보고 Neo-DBAE이론에 근거한 한국회화, 서양회화 감상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내용은 현행 고등학교 교과서의 회화 영역 분석을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2011년 8월, 미술과 교육과정이 다시 한 번 개정되었다. 따라서 변화하는 사회의 흐름 속에 새로운 교육과정에 맞는 효과적인 감상지도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논문은 Neo-DBAE이론에 기초한 미술 감상교육의 필요성과 그 방안을 제시하여 이를 통해 한국회화, 서양회화 감상 교육에 대한 관심의 고양과 한국 실정에 맞는 지속적인 감상교육의 연구가 활성화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현대사회는 세계화, 정보화의 시대로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다. 세계 각국의 정보들은 시공간을 넘어 빠르게 교환되고 있으며 언제 어디서든 바로 확인해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무분별한 정보들을 올바르게 수용하고 활용할 줄 아는 비판적 사고력과 시각적 안목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미술교육에서는 창작활동뿐만 아니라 예술을 지각하고 향수하며, 이해하고 수용하는 감상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시각적 문해력 신장에 효율적 접근법인 Neo-DBAE이론에 기반한 미술 감상교육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DBAE(Discipline-Based Art Education)는 학문에 기초한 미술교육의 준말로, 미술의 독자성과 본질적 가치를 강조한다. 사회, 문화, 사상적으로 시대가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 전환되면서 DBAE 내용 전반에 관한 의문이 제기되고 현대의 시대적 특성에 맞게 보완되어 나온 것이 Neo-DBAE이다. Neo-DBAE는 미학, 미술사, 미술비평, 미술표현의 네 영역을 중심으로 비평적 사고활동을 중시하고, 필요에 따라 네 영역의 중첩과 선택적 적용, 관련 학문 영역과의 통합을 추구하여 폭 넓은 미술경험을 유도한다. 이러한 Neo-DBAE의 특성에 기초하여 효과적인 미술 감상수업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그에 따른 지도방안을 연구하여 오늘날 Neo-DBAE이론에 기초한 미술교육이 현 미술교육의 중심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미술 감상은 미술 작품이나 시각 문화 환경의 의미를 이해하고, 그 가치를 느끼고 평가하는 활동이다. 또한 표현활동의 동기를 유발하며 작품을 역사적, 시대적, 문화적 맥락에서 이해하도록 돕는다. 본 연구는 Neo-DBAE이론에 기초한 미술교육 중에서도 한국회화와 서양회화의 감상교육을 통해 조형 양식과 표현 방법, 표현적 특성을 파악하여 그 시대의 문화를 이해하고 우리 사회의 문화적 환경과의 관계를 이해함으로써 다문화를 살아가는 이 시대에 서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회화 감상은 올바른 미적가치판단을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오늘날 변화의 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훌륭한 안내자의 역할을 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 다루어질 한국회화와 서양회화 감상은 현행 고등학교 교과서를 바탕으로 지도방안을 제시한다. 이에 본 연구는 Neo-DBAE를 바탕으로 한 고등학교 감상 지도방안 연구 내용을 다음과 같이 설계하였다. 제 1장 서론에서는 Neo-DBAE이론에 기초한 미술 감상교육 연구의 목적과 내용 및 방법, 연구의 대상 및 제한점을 제시한다. 제 2장에서는 Neo-DBAE의 배경과 특성을 살펴보고 Neo-DBAE의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고자 한다. 제 3장에서는 미술 감상교육의 의의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미술 감상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에 새롭게 개정된 현행 고등학교 교과서의 한국회화와 서양회화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Neo-DBAE이론에 근거한 감상 지도방안 설계의 토대를 제시하고자 한다. 제 4장에서는 Neo-DBAE이론에 기반을 둔 미술 감상교육의 방향에 대하여 살펴보고 Neo-DBAE이론에 근거한 한국회화, 서양회화 감상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내용은 현행 고등학교 교과서의 회화 영역 분석을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2011년 8월, 미술과 교육과정이 다시 한 번 개정되었다. 따라서 변화하는 사회의 흐름 속에 새로운 교육과정에 맞는 효과적인 감상지도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논문은 Neo-DBAE이론에 기초한 미술 감상교육의 필요성과 그 방안을 제시하여 이를 통해 한국회화, 서양회화 감상 교육에 대한 관심의 고양과 한국 실정에 맞는 지속적인 감상교육의 연구가 활성화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Modern society is changing every day in this time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The worldwide information web transcends time and space and can be accessed anywhere and anytime. Therefore it is most important to nurture critical thinking and visual judgment to rightly accept and discriminate inf...
Modern society is changing every day in this time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The worldwide information web transcends time and space and can be accessed anywhere and anytime. Therefore it is most important to nurture critical thinking and visual judgment to rightly accept and discriminate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this age, art education needs an appreciation education to perceive, reminisce, understand and accept art to balance its creative activity. This paper explores art education based on Neo-DBAE, an effective approach in developing visual literacy. DBAE, an acronym for 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emphasizes the independence of art and its fundamental value. As the society, culture and philosophy of the times have shifted from modernism to postmodernism and a question of the overall content of the DBAE was raised, Neo-DBAE – which complements the periodic features of contemporary society – emerged. Neo-DBAE, focusing on the four areas of aesthetics (art history, art criticism and artistic expression), emphasizes critical thinking, pursues superposition and selective application of these four areas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and integration of a related discipline and induces a wide range of artistic experience.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xplore a teaching plan that will create an effective Neo-DBAE theory-based art appreciation class so that today’s art education might be established at the center of current art education. Art appreciation is an activity design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rtwork and the visual culture environment, to understand their value and to evaluate them. It also induces the motivation of expressive activity and helps students understand artwork in a historical, periodical and cultural context. Among various art education programs based on Neo-DBAE theory, this paper selects the appreciation education of Korean and Western paintings. Through those paintings students will study the artistic styles, expression techniques, and its expressive features and understand the culture of the period and its relations with the cultural environment of our society. From this approach, this paper focuses on developing an understanding among people who are living in this multicultural society in this age. Appreciating paintings will help students develop the correct aesthetic value judgment and will be an excellent guide to responding to today’s changing age. In this light this paper suggests a teaching plan of appreciating Korean and Western paintings based on current high school textbooks. Accordingly this paper designs a teaching plan for an art appreciation class for high school based on Neo-DBAE as following: The introduction suggests the goal, contents and method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based on Neo-DBAE, objects of the research and its limitations. Chapter 2 looks at the background and features of Neo-DBAE and its educational value. Chapter 3 looks at the meaning and issues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and tries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art appreciation education. By analyzing Korean and Western paintings in the newly revised current high school textbooks, it suggests a foundation for designing art appreciation teaching plans based on Neo-DBAE theory. Chapter 4 looks into art appreciation education based on Neo-DBAE theory. A teaching plan appreciating Korean and Western paintings based on Neo-DBAE theory is proposed. It was designed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analysis of paintings in current high school textbooks. In August, 2011, the art curriculum was revised again.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an effective art appreciation guide to suit the new curriculum in this changing flow of society is needed. According to this curriculum, the previous selective-oriented curriculum changes to a nationally common basic curriculum and selection-oriented curriculum. Therefore an effective appreciation education that reflects this new curriculum is needed. Because of this need, this paper suggests the needs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based on Neo-DBAE theory. By so doing it aims at suggesting a plan that will boost the interest in appreciation education of Korean and Western painting while activating continuous research on appreciation education suitable for the Korean situation.
Modern society is changing every day in this time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The worldwide information web transcends time and space and can be accessed anywhere and anytime. Therefore it is most important to nurture critical thinking and visual judgment to rightly accept and discriminate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this age, art education needs an appreciation education to perceive, reminisce, understand and accept art to balance its creative activity. This paper explores art education based on Neo-DBAE, an effective approach in developing visual literacy. DBAE, an acronym for 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emphasizes the independence of art and its fundamental value. As the society, culture and philosophy of the times have shifted from modernism to postmodernism and a question of the overall content of the DBAE was raised, Neo-DBAE – which complements the periodic features of contemporary society – emerged. Neo-DBAE, focusing on the four areas of aesthetics (art history, art criticism and artistic expression), emphasizes critical thinking, pursues superposition and selective application of these four areas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and integration of a related discipline and induces a wide range of artistic experience.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xplore a teaching plan that will create an effective Neo-DBAE theory-based art appreciation class so that today’s art education might be established at the center of current art education. Art appreciation is an activity design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rtwork and the visual culture environment, to understand their value and to evaluate them. It also induces the motivation of expressive activity and helps students understand artwork in a historical, periodical and cultural context. Among various art education programs based on Neo-DBAE theory, this paper selects the appreciation education of Korean and Western paintings. Through those paintings students will study the artistic styles, expression techniques, and its expressive features and understand the culture of the period and its relations with the cultural environment of our society. From this approach, this paper focuses on developing an understanding among people who are living in this multicultural society in this age. Appreciating paintings will help students develop the correct aesthetic value judgment and will be an excellent guide to responding to today’s changing age. In this light this paper suggests a teaching plan of appreciating Korean and Western paintings based on current high school textbooks. Accordingly this paper designs a teaching plan for an art appreciation class for high school based on Neo-DBAE as following: The introduction suggests the goal, contents and method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based on Neo-DBAE, objects of the research and its limitations. Chapter 2 looks at the background and features of Neo-DBAE and its educational value. Chapter 3 looks at the meaning and issues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and tries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art appreciation education. By analyzing Korean and Western paintings in the newly revised current high school textbooks, it suggests a foundation for designing art appreciation teaching plans based on Neo-DBAE theory. Chapter 4 looks into art appreciation education based on Neo-DBAE theory. A teaching plan appreciating Korean and Western paintings based on Neo-DBAE theory is proposed. It was designed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analysis of paintings in current high school textbooks. In August, 2011, the art curriculum was revised again.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an effective art appreciation guide to suit the new curriculum in this changing flow of society is needed. According to this curriculum, the previous selective-oriented curriculum changes to a nationally common basic curriculum and selection-oriented curriculum. Therefore an effective appreciation education that reflects this new curriculum is needed. Because of this need, this paper suggests the needs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based on Neo-DBAE theory. By so doing it aims at suggesting a plan that will boost the interest in appreciation education of Korean and Western painting while activating continuous research on appreciation education suitable for the Korean situ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