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악교육이 보다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통합학습에 의한 국악감상 지도방안을 구상하였다. 감상곡은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를 분석하여 수록빈도가 높은 악곡과 시대별 문화의 흐름과 연계하여 각 계층에서 향유하였던 악곡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교과간의 통합학습에 의한 국악감상 지도방안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정된 악곡은 타 교과와 통합하여 시대적 배경과 문화적 특징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감상함으로써 학습에 도움을 주었다. 초등학생이 감상한 악곡은 중 ․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에 연계해서 나오기 때문에 초등학교에서 감상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함은 물론 악곡의 심화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둘째, 종묘제례악은 악곡이 만들어진 당시의 사회적 배경, 음악을 향유하던 계층, 문화 등을 이해하기 위하여 사회교과와 통합학습을 시도하였다. 유교문화를 받아들이면서 ‘예’를 중요시 하던 조선시대의 예악사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의식음악에서 등가와 헌가의 편성은 물론 악장과 일무를 이해하면서 종묘제례악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와 가치에 대해서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셋째, 판소리는 조선 후기의 서민들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사회교과와 통합학습을 시도하였다. 학생들에게 친숙한 판소리의 사설을 살펴보고, 시대적 배경을 알아본 후의 감상활동에서 사설, 장단, ...
본 연구는 국악교육이 보다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통합학습에 의한 국악감상 지도방안을 구상하였다. 감상곡은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를 분석하여 수록빈도가 높은 악곡과 시대별 문화의 흐름과 연계하여 각 계층에서 향유하였던 악곡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교과간의 통합학습에 의한 국악감상 지도방안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정된 악곡은 타 교과와 통합하여 시대적 배경과 문화적 특징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감상함으로써 학습에 도움을 주었다. 초등학생이 감상한 악곡은 중 ․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에 연계해서 나오기 때문에 초등학교에서 감상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함은 물론 악곡의 심화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둘째, 종묘제례악은 악곡이 만들어진 당시의 사회적 배경, 음악을 향유하던 계층, 문화 등을 이해하기 위하여 사회교과와 통합학습을 시도하였다. 유교문화를 받아들이면서 ‘예’를 중요시 하던 조선시대의 예악사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의식음악에서 등가와 헌가의 편성은 물론 악장과 일무를 이해하면서 종묘제례악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와 가치에 대해서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셋째, 판소리는 조선 후기의 서민들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사회교과와 통합학습을 시도하였다. 학생들에게 친숙한 판소리의 사설을 살펴보고, 시대적 배경을 알아본 후의 감상활동에서 사설, 장단, 발성법, 추임새 등 판소리의 기본요소를 이해하면서 그 시대의 서민문화를 직접 느껴볼 수 있는 기회를 만들었다. 넷째, 시조는 조선시대 옛 선비들의 문화를 이해하고 감상하는 사회, 국어교과와 통합학습을 시도하여 선비들의 풍류생활과 시조의 역사적 배경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감상 후에는 우리 민족의 정서와 사상을 이해하면서 우리 음악의 호흡, 발성, 장단 등을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다섯째, 수제천은 국어교과와 통합을 시도하였다. 수제천의 고전시가<처용가>를 통하여 노랫말을 학습하고 단순히 수제천 음악만 듣는 수업에서 벗어나 조선 시대의 고전문학과 음악의 관계, 관련된 문화제등을 알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 수제천과 처용가, 처용무의 관계를 이해하고 끊길 듯 끊기지 않는 가락 속에서 우리 음악의 연음 형식을 이해하고 주선율인 피리의 독특한 시김새가 적절히 악무에 배합됨으로써 수제천 음악의 묘미를 한껏 느낄 수 있다. 여섯째, 고구려의 혼은 미술교과의 통합을 시도하였다. 고구려 고분벽화 ‘무용총 수렵도’를 통해 고구려인들의 힘찬 기상을 확인하고 음악을 통해 더 쉽게 이해하였다. 미술작품이 주는 느낌은 음악에서 느낄 수 있는 고구려인의 진취적인 기상을 나타내주는 장단, 가락, 악기편성 등에서 창작국악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국악 감상은 학생들에게 우리 음악과 문화에 대한 중요도와 이해를 심어줄 수 있는 활동이다. 국악 감상이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학생들에게 우리의 문화유산을 소중히 여길 수 있는 마음과 국악에 대한 올바른 인식, 그리고 음악의 주된 목적인 전인적 인간으로 성장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국악교육이 보다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통합학습에 의한 국악감상 지도방안을 구상하였다. 감상곡은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를 분석하여 수록빈도가 높은 악곡과 시대별 문화의 흐름과 연계하여 각 계층에서 향유하였던 악곡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교과간의 통합학습에 의한 국악감상 지도방안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정된 악곡은 타 교과와 통합하여 시대적 배경과 문화적 특징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감상함으로써 학습에 도움을 주었다. 초등학생이 감상한 악곡은 중 ․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에 연계해서 나오기 때문에 초등학교에서 감상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함은 물론 악곡의 심화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둘째, 종묘제례악은 악곡이 만들어진 당시의 사회적 배경, 음악을 향유하던 계층, 문화 등을 이해하기 위하여 사회교과와 통합학습을 시도하였다. 유교문화를 받아들이면서 ‘예’를 중요시 하던 조선시대의 예악사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의식음악에서 등가와 헌가의 편성은 물론 악장과 일무를 이해하면서 종묘제례악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와 가치에 대해서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셋째, 판소리는 조선 후기의 서민들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사회교과와 통합학습을 시도하였다. 학생들에게 친숙한 판소리의 사설을 살펴보고, 시대적 배경을 알아본 후의 감상활동에서 사설, 장단, 발성법, 추임새 등 판소리의 기본요소를 이해하면서 그 시대의 서민문화를 직접 느껴볼 수 있는 기회를 만들었다. 넷째, 시조는 조선시대 옛 선비들의 문화를 이해하고 감상하는 사회, 국어교과와 통합학습을 시도하여 선비들의 풍류생활과 시조의 역사적 배경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감상 후에는 우리 민족의 정서와 사상을 이해하면서 우리 음악의 호흡, 발성, 장단 등을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다섯째, 수제천은 국어교과와 통합을 시도하였다. 수제천의 고전시가<처용가>를 통하여 노랫말을 학습하고 단순히 수제천 음악만 듣는 수업에서 벗어나 조선 시대의 고전문학과 음악의 관계, 관련된 문화제등을 알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 수제천과 처용가, 처용무의 관계를 이해하고 끊길 듯 끊기지 않는 가락 속에서 우리 음악의 연음 형식을 이해하고 주선율인 피리의 독특한 시김새가 적절히 악무에 배합됨으로써 수제천 음악의 묘미를 한껏 느낄 수 있다. 여섯째, 고구려의 혼은 미술교과의 통합을 시도하였다. 고구려 고분벽화 ‘무용총 수렵도’를 통해 고구려인들의 힘찬 기상을 확인하고 음악을 통해 더 쉽게 이해하였다. 미술작품이 주는 느낌은 음악에서 느낄 수 있는 고구려인의 진취적인 기상을 나타내주는 장단, 가락, 악기편성 등에서 창작국악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국악 감상은 학생들에게 우리 음악과 문화에 대한 중요도와 이해를 심어줄 수 있는 활동이다. 국악 감상이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학생들에게 우리의 문화유산을 소중히 여길 수 있는 마음과 국악에 대한 올바른 인식, 그리고 음악의 주된 목적인 전인적 인간으로 성장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