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섬진강 하구역 잘피서식지의 복원 및 관리를 위하여 잘피서식지를 중심으로 해양조사 및 수치실험을 통해 해양환경 특성을 파악하였다. 해양조사는 2011년 하계와 동계에 수온, 염분, 부유사, 퇴적물 및 해수유동 관측을 실시하였고, 수치실험은 EFDC를 이용하여 연구해역의 해수유동 및 지형변화를 예측하였다. 해양조사 결과, 수온은 6.5 ~ 25.6℃의 범위를 보이며 광온성의 특성을 나타냈고, 염분은 8.1 ~ 33.8psu의 범위를 보이며 광염성의 특성을 나타냈다. 부유사는 9.2 ~ 93.4mg/L의 범위를 보이며 변동폭이 크게 나타났고, 퇴적상은 니질사(...
본 연구는 섬진강 하구역 잘피서식지의 복원 및 관리를 위하여 잘피서식지를 중심으로 해양조사 및 수치실험을 통해 해양환경 특성을 파악하였다. 해양조사는 2011년 하계와 동계에 수온, 염분, 부유사, 퇴적물 및 해수유동 관측을 실시하였고, 수치실험은 EFDC를 이용하여 연구해역의 해수유동 및 지형변화를 예측하였다. 해양조사 결과, 수온은 6.5 ~ 25.6℃의 범위를 보이며 광온성의 특성을 나타냈고, 염분은 8.1 ~ 33.8psu의 범위를 보이며 광염성의 특성을 나타냈다. 부유사는 9.2 ~ 93.4mg/L의 범위를 보이며 변동폭이 크게 나타났고, 퇴적상은 니질사(sM)가 우세하게 나타났다. 수치실험결과, 해수유동은 표층 22 ~ 63cm/s, 저층 16 ~ 48cm/s의 범위로 주변해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유속을 나타내어 유속이 약한 잘피서식지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침퇴적 양상은 ±0.1 cm/s 로 예측되어 자연적인 침퇴적이 잘피서식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섬진강 하구역의 잘피서식지 관리 및 복원을 위하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고, 본 연구가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는 섬진강 하구역 잘피서식지의 복원 및 관리를 위하여 잘피서식지를 중심으로 해양조사 및 수치실험을 통해 해양환경 특성을 파악하였다. 해양조사는 2011년 하계와 동계에 수온, 염분, 부유사, 퇴적물 및 해수유동 관측을 실시하였고, 수치실험은 EFDC를 이용하여 연구해역의 해수유동 및 지형변화를 예측하였다. 해양조사 결과, 수온은 6.5 ~ 25.6℃의 범위를 보이며 광온성의 특성을 나타냈고, 염분은 8.1 ~ 33.8psu의 범위를 보이며 광염성의 특성을 나타냈다. 부유사는 9.2 ~ 93.4mg/L의 범위를 보이며 변동폭이 크게 나타났고, 퇴적상은 니질사(sM)가 우세하게 나타났다. 수치실험결과, 해수유동은 표층 22 ~ 63cm/s, 저층 16 ~ 48cm/s의 범위로 주변해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유속을 나타내어 유속이 약한 잘피서식지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침퇴적 양상은 ±0.1 cm/s 로 예측되어 자연적인 침퇴적이 잘피서식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섬진강 하구역의 잘피서식지 관리 및 복원을 위하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고, 본 연구가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것으로 보여진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 of ocean environment through ocean research and numerical experiment for management and restoration of seagrass habitat of Seomjin River Estuary. Ocean research was implemented in the summer and winter of 2011 and observe the water temperature, salinity, suspended s...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 of ocean environment through ocean research and numerical experiment for management and restoration of seagrass habitat of Seomjin River Estuary. Ocean research was implemented in the summer and winter of 2011 and observe the water temperature, salinity, suspended solids(SS), sediment, tidal current. In addition, this study predicted tidal current and topographic change of study area through the numerical experiment using the EFDC. Result of ocean observation, water temperature showed eurythermal characteristic with range of 6.5 ~ 25.6℃ and salinity showed euryhaline characteristics with range of 8.1 ~ 33.8psu. SS showed range of 9.5 ~ 93.4mg/L and the range of fluctuation showed highly and sedimentary facies showed up muddy sand(mS) predominately. In the result of numerical experiment, tidal current showed relatively low velocity in the range of 22 to 63cm/s in surface layer and 16 to 48cm/s in low layer. This result showed that velocity of seagrass habitat is low. Because the pattern of sedimentation was predicted to ±0.1 cm/s, natural sedimentation will not cause a significant impact of seagrass habitat To manage and restore seagrass habitat of Seomjin River Estuary, it need scientific and steady monitoring. This result of study is considered to be utilized as a basis for management and restoration of seagrass habitat of Seomjin River Estuary.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 of ocean environment through ocean research and numerical experiment for management and restoration of seagrass habitat of Seomjin River Estuary. Ocean research was implemented in the summer and winter of 2011 and observe the water temperature, salinity, suspended solids(SS), sediment, tidal current. In addition, this study predicted tidal current and topographic change of study area through the numerical experiment using the EFDC. Result of ocean observation, water temperature showed eurythermal characteristic with range of 6.5 ~ 25.6℃ and salinity showed euryhaline characteristics with range of 8.1 ~ 33.8psu. SS showed range of 9.5 ~ 93.4mg/L and the range of fluctuation showed highly and sedimentary facies showed up muddy sand(mS) predominately. In the result of numerical experiment, tidal current showed relatively low velocity in the range of 22 to 63cm/s in surface layer and 16 to 48cm/s in low layer. This result showed that velocity of seagrass habitat is low. Because the pattern of sedimentation was predicted to ±0.1 cm/s, natural sedimentation will not cause a significant impact of seagrass habitat To manage and restore seagrass habitat of Seomjin River Estuary, it need scientific and steady monitoring. This result of study is considered to be utilized as a basis for management and restoration of seagrass habitat of Seomjin River Estuar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