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Walsh(1998)의 가족 레질리언스 이론을 근거로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 레질리언스는 어떠한지를 규명하여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에 대한 강점(strength)중심 접근의 필요성을 널리 인식시키는 계기를 만드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에 대한 선행 연구는 결점 관점에 근거하여 이혼여성 한부모가족의 문제 중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래서 이혼 여성 한부모의 심리적 특성, 가족관계, 의지 등 상호작용적 특성과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의 잠재적 능력과 같은 긍정적인 측면의 중요성에 대한 설명이 미흡하였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강점 관점으로 재조명되고 있으며 그 흐름 중 하나가 가족 레질리언스에 관한 연구이다. 그러나 선행 연구결과의 대부분은 특정 대상자에 대한 ...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Walsh(1998)의 가족 레질리언스 이론을 근거로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 레질리언스는 어떠한지를 규명하여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에 대한 강점(strength)중심 접근의 필요성을 널리 인식시키는 계기를 만드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에 대한 선행 연구는 결점 관점에 근거하여 이혼여성 한부모가족의 문제 중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래서 이혼 여성 한부모의 심리적 특성, 가족관계, 의지 등 상호작용적 특성과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의 잠재적 능력과 같은 긍정적인 측면의 중요성에 대한 설명이 미흡하였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강점 관점으로 재조명되고 있으며 그 흐름 중 하나가 가족 레질리언스에 관한 연구이다. 그러나 선행 연구결과의 대부분은 특정 대상자에 대한 양적분석 연구이며 질적분석된 연구결과는 미미한 상태이다. 특히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 레질리언스에 대한 질적 분석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강점 관점에 기초한 건강 개념으로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을 조망하여 가족 레질리언스의 중요성을 규명하고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이 지속적으로 가족 레질리언스를 강화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가족 레질리언스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연구에서 가계도는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 레질리언스를 살펴보기 위해 가족의 독특한 구성 형태 및 가족의 생활 주기상 시간의 변화와 다양한 경험에 따라 나타나는 관계 변화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방법은 연구 참여자와 심층 면접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질적 연구 방법을 선택하였으며 선행 연구 및 문헌 고찰을 통한 자료 수집을 병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법적으로 이혼이 되어 자녀를 양육하고 있으며, 이혼 이후의 삶이 더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 19명이었다. 참여자를 선정하는 초기 과정에서는 Rothwell과 Cohen의 행복 공식을 이용한 객관적 행복 지수가 한국인의 평균치 64점보다 높은 여성으로 선정하였으며, 심층 면접을 통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심층 면접은 인구·사회학적인 배경과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의 원 가족과 현재가족에 대한 가계도, 가족 레질리언스의 구성 요소인 가족신념체계, 조직과정, 의사소통과정 및 가족의 위기경험 등으로 구성되었다. 심층면접 내용은 참여자의 동의를 거쳐 녹음하였으며 녹음 자료는 반복적으로 청취하며 전사하였다. 기록된 내용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가계도, 가족 레질리언스의 영역인 가족신념체계, 조직과정, 의사소통 과정으로 범주화하였으며 이혼과정에서 나타나는 이혼 여성 한부모의 특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가계도를 중심으로 가족 구성원의 특성, 이혼 여성의 원가족의 위기경험과 가족 레질리언스, 현재가족의 위기경험과 가족 레질리언스, 이혼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의 과정과 결과를 종합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하여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에게는 가족 레질리언스가 존재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가계도를 중심으로 나타난 가족의 특성이나 원가족에서의 위기경험을 바탕으로 현재의 위기 상황에서도 희망을 갖고 긍정적인 시각과 낙관적인 태도로 삶을 살아내고 있는 구체적인 모습은, Walsh(1998)가 제시한 가족 기능의 3개의 핵심 요인인 신념체계, 조직패턴, 의사소통 과정 안에서 가족 레질리언스가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며, 가족 레질리언스의 본질과 정신 가운데 특히 신념체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부부 관계 보다 부모-자녀 관계가 가족 관계의 상호작용이나 관계 형성에 더 의미 있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의 구조적 특성보다는 가족의 유대, 모-자녀관계, 지지 등의 상호 작용적 특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즉 여성 한부모가 되고 난 이후 오히려 자녀와 더욱 가깝게 대화할 수 있는 분위기가 형성되어 유대가 강화되고 친밀감이 더 많이 생겼으며(김오남, 2005; 최명선, 류진아, 박희정, 2007), 가족 응집성과 가족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었다(,Greeff & Merwe, 2004; Hansonm 1986)는 연구를 지지하였다. 셋째, 이혼한 부모(양육자-비양육자포함)와 자녀관계를 회복하고 연결시켜주는 부모-자녀관계 증진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 母(모)의 가장 큰 관심사는 자녀의 양육방법과 함께 자녀의 미래에 대한 걱정이었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자녀 또한 부모님 이혼이후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고 한다. 따라서 가족의 연결성을 경험하고 확장시킬 수 있는 구조화된 프로그램인 가족상담, 가족활동과 같은 프로그램의 개발과 이를 위한 사회적지원이 뒤따라야 될 것이다. 넷째,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이라는 가족 구조적 위험에 노출되어 있을지라도 가족 레질리언스의 조직유형인 연결성과 가족자원은 가족이 경험하는 위기성 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을 위한 멘토 및 지지집단의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개입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유사한 집단 혹은 사회적 지지를 통한 계속적인 지원과 관심이 제공된다면 가족 레질리언스는 높아지게 되어 가족의 건강성을 회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다섯째, 가정폭력에 대처하는 적극적인 사회적 대처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이 확인 되었다. 본 연구결과 이혼 원인으로 가정폭력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는 우리사회가 아직도 가정폭력을 사적영역으로 이해하여 가정폭력에 대한 적극적 개입을 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 폭력은 세습되고 그 결과는 사망인 심각한 범죄행위이다. 특히 가정폭력의 결과는 가족의 해체와 연결되고 있고 그 피해의 후유증으로 경제적, 심리적, 정서적 손실이 크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가정폭력의 심각성을 사회적으로 인식시키는 교육프로그램이나 폭력 가해자를 처벌하는 법적, 제도적 장치가 뒤따라야 할 것이며 피해가족들을 위한 사회적 지지망이 더욱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위기경험을 분석한 결과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이 경험하고 있는 위험요인으로 경제적 취약성이었다. 특히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사례 대상자 대부분이 비정규직의 불안정하고 열악한 환경 속에서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것은 자녀 문제에 소홀 해 질 수 있는 구조적인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었으며, 이것은 이혼 후 여성 한부모가족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빈곤화 문제는 기본적으로 노동 시장 내 여성 불평등과 저임금체계, 사회 복지 정책 및 사회 안전망 체계의 부재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Gauthier(1996)의 연구를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경제적 자립을 지원할 수 있는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취업으로 연결되는 직업훈련기관과 기업을 연계한 조직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정책적 지원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일곱째, 본 연구 결과 30~ 40대 중년기 이혼이 높게 나타나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황혼기 이혼율 증가를 지지하였고, 이혼율 증가 요인으로는 가족 가치관에 대한 성별차이와 가부장제도의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안정적인 생활을 해야 될 중‧장년기 이혼은 개인적으로 극복해야 될 어려움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책임지고 해결해야 될 과제이기도 하다. 따라서 예비부부 및 신혼기부부를 위한 가족생활교육을 실시하여 건강한 가족가치관을 확립하고 양성평등을 실천할 수 있는 사회적, 정책적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Walsh(1998)의 가족 레질리언스 이론을 근거로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 레질리언스는 어떠한지를 규명하여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에 대한 강점(strength)중심 접근의 필요성을 널리 인식시키는 계기를 만드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에 대한 선행 연구는 결점 관점에 근거하여 이혼여성 한부모가족의 문제 중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래서 이혼 여성 한부모의 심리적 특성, 가족관계, 의지 등 상호작용적 특성과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의 잠재적 능력과 같은 긍정적인 측면의 중요성에 대한 설명이 미흡하였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강점 관점으로 재조명되고 있으며 그 흐름 중 하나가 가족 레질리언스에 관한 연구이다. 그러나 선행 연구결과의 대부분은 특정 대상자에 대한 양적분석 연구이며 질적분석된 연구결과는 미미한 상태이다. 특히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 레질리언스에 대한 질적 분석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강점 관점에 기초한 건강 개념으로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을 조망하여 가족 레질리언스의 중요성을 규명하고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이 지속적으로 가족 레질리언스를 강화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가족 레질리언스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연구에서 가계도는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 레질리언스를 살펴보기 위해 가족의 독특한 구성 형태 및 가족의 생활 주기상 시간의 변화와 다양한 경험에 따라 나타나는 관계 변화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방법은 연구 참여자와 심층 면접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질적 연구 방법을 선택하였으며 선행 연구 및 문헌 고찰을 통한 자료 수집을 병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법적으로 이혼이 되어 자녀를 양육하고 있으며, 이혼 이후의 삶이 더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 19명이었다. 참여자를 선정하는 초기 과정에서는 Rothwell과 Cohen의 행복 공식을 이용한 객관적 행복 지수가 한국인의 평균치 64점보다 높은 여성으로 선정하였으며, 심층 면접을 통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심층 면접은 인구·사회학적인 배경과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의 원 가족과 현재가족에 대한 가계도, 가족 레질리언스의 구성 요소인 가족신념체계, 조직과정, 의사소통과정 및 가족의 위기경험 등으로 구성되었다. 심층면접 내용은 참여자의 동의를 거쳐 녹음하였으며 녹음 자료는 반복적으로 청취하며 전사하였다. 기록된 내용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가계도, 가족 레질리언스의 영역인 가족신념체계, 조직과정, 의사소통 과정으로 범주화하였으며 이혼과정에서 나타나는 이혼 여성 한부모의 특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가계도를 중심으로 가족 구성원의 특성, 이혼 여성의 원가족의 위기경험과 가족 레질리언스, 현재가족의 위기경험과 가족 레질리언스, 이혼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의 과정과 결과를 종합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하여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에게는 가족 레질리언스가 존재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가계도를 중심으로 나타난 가족의 특성이나 원가족에서의 위기경험을 바탕으로 현재의 위기 상황에서도 희망을 갖고 긍정적인 시각과 낙관적인 태도로 삶을 살아내고 있는 구체적인 모습은, Walsh(1998)가 제시한 가족 기능의 3개의 핵심 요인인 신념체계, 조직패턴, 의사소통 과정 안에서 가족 레질리언스가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며, 가족 레질리언스의 본질과 정신 가운데 특히 신념체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부부 관계 보다 부모-자녀 관계가 가족 관계의 상호작용이나 관계 형성에 더 의미 있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의 구조적 특성보다는 가족의 유대, 모-자녀관계, 지지 등의 상호 작용적 특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즉 여성 한부모가 되고 난 이후 오히려 자녀와 더욱 가깝게 대화할 수 있는 분위기가 형성되어 유대가 강화되고 친밀감이 더 많이 생겼으며(김오남, 2005; 최명선, 류진아, 박희정, 2007), 가족 응집성과 가족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었다(,Greeff & Merwe, 2004; Hansonm 1986)는 연구를 지지하였다. 셋째, 이혼한 부모(양육자-비양육자포함)와 자녀관계를 회복하고 연결시켜주는 부모-자녀관계 증진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 母(모)의 가장 큰 관심사는 자녀의 양육방법과 함께 자녀의 미래에 대한 걱정이었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자녀 또한 부모님 이혼이후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고 한다. 따라서 가족의 연결성을 경험하고 확장시킬 수 있는 구조화된 프로그램인 가족상담, 가족활동과 같은 프로그램의 개발과 이를 위한 사회적지원이 뒤따라야 될 것이다. 넷째,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이라는 가족 구조적 위험에 노출되어 있을지라도 가족 레질리언스의 조직유형인 연결성과 가족자원은 가족이 경험하는 위기성 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을 위한 멘토 및 지지집단의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개입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유사한 집단 혹은 사회적 지지를 통한 계속적인 지원과 관심이 제공된다면 가족 레질리언스는 높아지게 되어 가족의 건강성을 회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다섯째, 가정폭력에 대처하는 적극적인 사회적 대처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이 확인 되었다. 본 연구결과 이혼 원인으로 가정폭력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는 우리사회가 아직도 가정폭력을 사적영역으로 이해하여 가정폭력에 대한 적극적 개입을 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 폭력은 세습되고 그 결과는 사망인 심각한 범죄행위이다. 특히 가정폭력의 결과는 가족의 해체와 연결되고 있고 그 피해의 후유증으로 경제적, 심리적, 정서적 손실이 크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가정폭력의 심각성을 사회적으로 인식시키는 교육프로그램이나 폭력 가해자를 처벌하는 법적, 제도적 장치가 뒤따라야 할 것이며 피해가족들을 위한 사회적 지지망이 더욱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위기경험을 분석한 결과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이 경험하고 있는 위험요인으로 경제적 취약성이었다. 특히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사례 대상자 대부분이 비정규직의 불안정하고 열악한 환경 속에서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것은 자녀 문제에 소홀 해 질 수 있는 구조적인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었으며, 이것은 이혼 후 여성 한부모가족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빈곤화 문제는 기본적으로 노동 시장 내 여성 불평등과 저임금체계, 사회 복지 정책 및 사회 안전망 체계의 부재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Gauthier(1996)의 연구를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경제적 자립을 지원할 수 있는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취업으로 연결되는 직업훈련기관과 기업을 연계한 조직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정책적 지원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일곱째, 본 연구 결과 30~ 40대 중년기 이혼이 높게 나타나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황혼기 이혼율 증가를 지지하였고, 이혼율 증가 요인으로는 가족 가치관에 대한 성별차이와 가부장제도의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안정적인 생활을 해야 될 중‧장년기 이혼은 개인적으로 극복해야 될 어려움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책임지고 해결해야 될 과제이기도 하다. 따라서 예비부부 및 신혼기부부를 위한 가족생활교육을 실시하여 건강한 가족가치관을 확립하고 양성평등을 실천할 수 있는 사회적, 정책적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Qualitative Analysis the Family Resilience of Divorced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This research is based on family Resilience theory of Walsh. Its purpose is how the family Resilience appears from a divorced female single parent family and make them recognize about strength approach in d...
ABSTRACT Qualitative Analysis the Family Resilience of Divorced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This research is based on family Resilience theory of Walsh. Its purpose is how the family Resilience appears from a divorced female single parent family and make them recognize about strength approach in divorced woman single family. Existing research about a divorced woman and a single family was based on shortcomings and focused on problems of divorced women and a single family. So it was insufficient in explaining the importance of positive aspects like potential as well as the interaction traits in psychological features, family relation and wills etc. of a divorced woman and a single family. However most research results are the quantity based analysis for special subjects and it is slight about quantity based analysis. Especially there are few quality based research about a divorced woman and a single family. Therefore this research is a concept based on an aspect of strongpoint and prospecting and revealing how important divorced women and a single family's family resilience. It is for divorced female single family to maintain and strengthen their family resilience. This research provides the basic data about improvement programs as well as policies and practical agreements of family resilience. In this reaseach, the family tree is a very important factor because it could help to understand the variations of relations according to the families' unique formations to check out divorced female single parent families and the families time differences of their life-cycle and various experiences. I chose the qualification research method getting and analyzing the information through in depth interview with the people who gave information as well as data gathering through a precedent study and contemplation of reference books. 19 divorced women single parent was the research women subjects who are divorced legally, nurturing children and who believe they are happier after divorce. To choose participants in the first process, I chose the women whose happiness index score is more 64 points, the average points using happiness formula by Rothwell and Cohen and analyze the data through in depth interview. In depth interview is composed by the background of demography and sociology, family trees of original family and present family in divorced women single parent, and components of family resilience like family belief system, organizational process,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and crisis experience of the family and so on. The contents of in depth interview was recorded through participants agreements, and transferred by listening to the record material repeatedly. The recorded content was categorized by demography and sociology and family trees, family belief system, organizational process, communication process in family resilience field analyzing the features of divorced women single parent through the process of getting divorc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made up of demography and sociology features of divorced women single parent,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members according to family trees, the crisis experience of original family and family resilience, the crisis experience of present crisis experience, and the feature during the process of getting divorce.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and results are like these; First,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revealed that in a divorced female single parent family, there exists a family resilience. The specific feature of the women who are living with hope, positive view and optimistic attitude even though they are having crises through their crisis experiences of original family and family feature in the family trees. It means the family resilience is working in three main factors which are belief system, organization pattern and communication by Walsh(1998)'s suggestion. Especially the belief system is the most important effect from three factors. Secondly, parents-children relation has more meaningful role than husband and wife relation in family relation interaction or building relationships. It is more important in interactive relation features such as family bonding, mother-children relation, support than structural features of divorced female single parent families. That is after being a single female parent, the good communication environment was formed so their family bonds were strengthened. Also their family intimacy, family coherence and family communication skills were developed. Thirdly, it was verified that there needs some programs for developing parents-children relationships. In this thesis, the most important concerns of mothers were the ways of nurturing for their children and the worries of their children's future. According to the advanced research, the children also get a lot of stress to get adjusted to their new environment. So it is essential that they should develop the structural family counseling programs to expand and experience their family relations, familly activity programs and there should be social support for these programs. Fourthly, even though they are exposed to outside as divorced female single parent families, the connectivity of oranization type in famliy resilience and family resources affect for declining of crisis the family experiences, so it was revealed that there should be social interventions such as mentos, support groups for divorced female single parent families. Therefore, if they supply continuos supports and interests, the family resilience will be getting higher and be helpful to regain their family health. Fifth, it is identified that there should be active social plans to cope with domestic violences. Domestic violences are the most factors of cause of divorces. It means our society doesn't intervene actively because they regard that as a private realm. Violences pass on their descendants and the results are death. Violence is a very severe form of crime. We could verify that the result of family violences are resulted to break up of their family. And there aftereffects such as economic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losses. Therefore there should be some educational programs to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domestic violences to people socially, and they should provide leaga and institutional strategies and expand socal support networks for the victim families. Sixth, the weakness of economics is a risk factor that the divorced femal single parent experience. Especially, the most subjects were working as temporary employees and their environment was not stable. This is the structural problem that they might not pay attention to their children. It is because there are female inequality, a low-wage policy, lack of social welfare policy and social security networking by Gauthier's research. Therfore there should be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which they support the female's economical independence and also there should follow the support policies to build the connections of vocational training center and the companies to work at the places in reality. Seventh, in this thesis the middle years divorces are getting increased and the old aged divorces are the issues these days. The reason of increasing divorce rate is the gender differences in family values and the problems of patriarchism. The divorces of middle and old aged are the difficulties to overcome in their individuals as well as social issues to solve. So the family life educations for the people who try to get married and newborn couples are neccesory to build healthy family relationship and there should be some social and alternative policies to realize gender equality.
ABSTRACT Qualitative Analysis the Family Resilience of Divorced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This research is based on family Resilience theory of Walsh. Its purpose is how the family Resilience appears from a divorced female single parent family and make them recognize about strength approach in divorced woman single family. Existing research about a divorced woman and a single family was based on shortcomings and focused on problems of divorced women and a single family. So it was insufficient in explaining the importance of positive aspects like potential as well as the interaction traits in psychological features, family relation and wills etc. of a divorced woman and a single family. However most research results are the quantity based analysis for special subjects and it is slight about quantity based analysis. Especially there are few quality based research about a divorced woman and a single family. Therefore this research is a concept based on an aspect of strongpoint and prospecting and revealing how important divorced women and a single family's family resilience. It is for divorced female single family to maintain and strengthen their family resilience. This research provides the basic data about improvement programs as well as policies and practical agreements of family resilience. In this reaseach, the family tree is a very important factor because it could help to understand the variations of relations according to the families' unique formations to check out divorced female single parent families and the families time differences of their life-cycle and various experiences. I chose the qualification research method getting and analyzing the information through in depth interview with the people who gave information as well as data gathering through a precedent study and contemplation of reference books. 19 divorced women single parent was the research women subjects who are divorced legally, nurturing children and who believe they are happier after divorce. To choose participants in the first process, I chose the women whose happiness index score is more 64 points, the average points using happiness formula by Rothwell and Cohen and analyze the data through in depth interview. In depth interview is composed by the background of demography and sociology, family trees of original family and present family in divorced women single parent, and components of family resilience like family belief system, organizational process,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and crisis experience of the family and so on. The contents of in depth interview was recorded through participants agreements, and transferred by listening to the record material repeatedly. The recorded content was categorized by demography and sociology and family trees, family belief system, organizational process, communication process in family resilience field analyzing the features of divorced women single parent through the process of getting divorc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made up of demography and sociology features of divorced women single parent,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members according to family trees, the crisis experience of original family and family resilience, the crisis experience of present crisis experience, and the feature during the process of getting divorce.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and results are like these; First,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revealed that in a divorced female single parent family, there exists a family resilience. The specific feature of the women who are living with hope, positive view and optimistic attitude even though they are having crises through their crisis experiences of original family and family feature in the family trees. It means the family resilience is working in three main factors which are belief system, organization pattern and communication by Walsh(1998)'s suggestion. Especially the belief system is the most important effect from three factors. Secondly, parents-children relation has more meaningful role than husband and wife relation in family relation interaction or building relationships. It is more important in interactive relation features such as family bonding, mother-children relation, support than structural features of divorced female single parent families. That is after being a single female parent, the good communication environment was formed so their family bonds were strengthened. Also their family intimacy, family coherence and family communication skills were developed. Thirdly, it was verified that there needs some programs for developing parents-children relationships. In this thesis, the most important concerns of mothers were the ways of nurturing for their children and the worries of their children's future. According to the advanced research, the children also get a lot of stress to get adjusted to their new environment. So it is essential that they should develop the structural family counseling programs to expand and experience their family relations, familly activity programs and there should be social support for these programs. Fourthly, even though they are exposed to outside as divorced female single parent families, the connectivity of oranization type in famliy resilience and family resources affect for declining of crisis the family experiences, so it was revealed that there should be social interventions such as mentos, support groups for divorced female single parent families. Therefore, if they supply continuos supports and interests, the family resilience will be getting higher and be helpful to regain their family health. Fifth, it is identified that there should be active social plans to cope with domestic violences. Domestic violences are the most factors of cause of divorces. It means our society doesn't intervene actively because they regard that as a private realm. Violences pass on their descendants and the results are death. Violence is a very severe form of crime. We could verify that the result of family violences are resulted to break up of their family. And there aftereffects such as economic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losses. Therefore there should be some educational programs to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domestic violences to people socially, and they should provide leaga and institutional strategies and expand socal support networks for the victim families. Sixth, the weakness of economics is a risk factor that the divorced femal single parent experience. Especially, the most subjects were working as temporary employees and their environment was not stable. This is the structural problem that they might not pay attention to their children. It is because there are female inequality, a low-wage policy, lack of social welfare policy and social security networking by Gauthier's research. Therfore there should be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which they support the female's economical independence and also there should follow the support policies to build the connections of vocational training center and the companies to work at the places in reality. Seventh, in this thesis the middle years divorces are getting increased and the old aged divorces are the issues these days. The reason of increasing divorce rate is the gender differences in family values and the problems of patriarchism. The divorces of middle and old aged are the difficulties to overcome in their individuals as well as social issues to solve. So the family life educations for the people who try to get married and newborn couples are neccesory to build healthy family relationship and there should be some social and alternative policies to realize gender equalit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