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자연형 하천공법중 식생, 식생매트 호안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하천사면부의 식생도입 시기 및 부적절한 수종선정으로 인해 강우시 또는 홍수에 의한 수위상승시 식생의 이탈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로 인해 사면의 토사유출 및 붕괴로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도로 및 임도, 산지사면에서의 식생뿌리에 의한 사면보강효과와 관련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하천 내에서의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표토층의 붕괴방지를 통한 적절한 호안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초본류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식생의 저항특성에 대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생의 인발저항력을 평가하였다. 실제 하천의 호안에 서식하는 식생을 대상으로 3종(달뿌리풀, 갈대, 물억새) 180개체에 대해 Pushpull-Gauge를 이용하여 현장인발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식생은 수거 후 초장(草長), 뿌리직경, 뿌리체적, 뿌리무게로 나누어 각각 측정하였다. 최대인발력에서 토양시료의 무게를 제외한 순수인발력을 ...
최근 자연형 하천공법중 식생, 식생매트 호안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하천사면부의 식생도입 시기 및 부적절한 수종선정으로 인해 강우시 또는 홍수에 의한 수위상승시 식생의 이탈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로 인해 사면의 토사유출 및 붕괴로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도로 및 임도, 산지사면에서의 식생뿌리에 의한 사면보강효과와 관련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하천 내에서의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표토층의 붕괴방지를 통한 적절한 호안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초본류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식생의 저항특성에 대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생의 인발저항력을 평가하였다. 실제 하천의 호안에 서식하는 식생을 대상으로 3종(달뿌리풀, 갈대, 물억새) 180개체에 대해 Pushpull-Gauge를 이용하여 현장인발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식생은 수거 후 초장(草長), 뿌리직경, 뿌리체적, 뿌리무게로 나누어 각각 측정하였다. 최대인발력에서 토양시료의 무게를 제외한 순수인발력을 샘플러의 단면적(30㎝×30㎝)으로 나누어 인발강도를 산출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단순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인발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인발저항력은 뿌리무게보다는 뿌리체적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인발저항력을 크게 얻기 위해서는 지표면포복형 뿌리의 사용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달뿌리풀, 갈대, 물억새에 대한 인발력을 초장, 뿌리직경, 체적, 무게의 함수로 나타내는 식을 유도하였다.
최근 자연형 하천공법중 식생, 식생매트 호안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하천사면부의 식생도입 시기 및 부적절한 수종선정으로 인해 강우시 또는 홍수에 의한 수위상승시 식생의 이탈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로 인해 사면의 토사유출 및 붕괴로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도로 및 임도, 산지사면에서의 식생뿌리에 의한 사면보강효과와 관련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하천 내에서의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표토층의 붕괴방지를 통한 적절한 호안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초본류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식생의 저항특성에 대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생의 인발저항력을 평가하였다. 실제 하천의 호안에 서식하는 식생을 대상으로 3종(달뿌리풀, 갈대, 물억새) 180개체에 대해 Pushpull-Gauge를 이용하여 현장인발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식생은 수거 후 초장(草長), 뿌리직경, 뿌리체적, 뿌리무게로 나누어 각각 측정하였다. 최대인발력에서 토양시료의 무게를 제외한 순수인발력을 샘플러의 단면적(30㎝×30㎝)으로 나누어 인발강도를 산출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단순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인발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인발저항력은 뿌리무게보다는 뿌리체적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인발저항력을 크게 얻기 위해서는 지표면포복형 뿌리의 사용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달뿌리풀, 갈대, 물억새에 대한 인발력을 초장, 뿌리직경, 체적, 무게의 함수로 나타내는 식을 유도하였다.
Recently, Recently, among the close-to-nature river improvement techniques, the use of vegetation and vegetation-mat revetment methods are gradually increased. Because of the period of vegetation introduction of river's slope and selection of improper plant, the revetments are often broken and the s...
Recently, Recently, among the close-to-nature river improvement techniques, the use of vegetation and vegetation-mat revetment methods are gradually increased. Because of the period of vegetation introduction of river's slope and selection of improper plant, the revetments are often broken and the slope is collapsed. The studies on slope reinforcement by vegetation root in forest road, road and mountain slope are actively conducted, but studies on rivers are not actively conducted. Therefore, it's necessary to study on resistant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root in order to protect the revetments in flooding times. This study evaluated pullout resistance of vegetation. The in-situ pullout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Pushpull-Gauge for 3 herbacious plants (Phragmites japonica Steud, Phragmites communis Trin, Miscanthus sacchariflorus Benth) and 180 populations of the vegetation was sampled. Plant length, root diameter, root volume and root weight were measured. Power, pure pullout power except for the weight of soil by cross-sectional area(30㎝×30㎝) of sampler. The pullout strength was calculated by pure pullout power divide by cross-sectional area. The pure pull out power is the maximum pullout power minas the of the soil sample. The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was calculated using the statistic program. The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As the result of analysis, pullout resistance is more influenced by root volume than root weight and it was judged to be proper to use root whose type is surface crawling so as to obtain great power of pullout. The expression for the pullout power for Phragmites japonica Steud, Phragmites communis Trin, Miscanthus sacchariflorus Benth were derived.
Recently, Recently, among the close-to-nature river improvement techniques, the use of vegetation and vegetation-mat revetment methods are gradually increased. Because of the period of vegetation introduction of river's slope and selection of improper plant, the revetments are often broken and the slope is collapsed. The studies on slope reinforcement by vegetation root in forest road, road and mountain slope are actively conducted, but studies on rivers are not actively conducted. Therefore, it's necessary to study on resistant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root in order to protect the revetments in flooding times. This study evaluated pullout resistance of vegetation. The in-situ pullout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Pushpull-Gauge for 3 herbacious plants (Phragmites japonica Steud, Phragmites communis Trin, Miscanthus sacchariflorus Benth) and 180 populations of the vegetation was sampled. Plant length, root diameter, root volume and root weight were measured. Power, pure pullout power except for the weight of soil by cross-sectional area(30㎝×30㎝) of sampler. The pullout strength was calculated by pure pullout power divide by cross-sectional area. The pure pull out power is the maximum pullout power minas the of the soil sample. The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was calculated using the statistic program. The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As the result of analysis, pullout resistance is more influenced by root volume than root weight and it was judged to be proper to use root whose type is surface crawling so as to obtain great power of pullout. The expression for the pullout power for Phragmites japonica Steud, Phragmites communis Trin, Miscanthus sacchariflorus Benth were deriv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