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실제 경험한 상담과 그들이 요구하는 상담과의 차이점을 확인하고, 이를 계열별, 학년별, 성별로 분석하여 각 특성에 맞는 상담 요구를 찾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지를 활용하여 고등학생의 상담 실태와 요구 분석을 조사하였고, 이를 통해 그들의 상담 경험과 상담 요구 사이의 차이와 계열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들이 경험한...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실제 경험한 상담과 그들이 요구하는 상담과의 차이점을 확인하고, 이를 계열별, 학년별, 성별로 분석하여 각 특성에 맞는 상담 요구를 찾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지를 활용하여 고등학생의 상담 실태와 요구 분석을 조사하였고, 이를 통해 그들의 상담 경험과 상담 요구 사이의 차이와 계열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들이 경험한 상담은 대부분 진로상담 혹은 학업 상담이었고 전화나 사이버상담보다는 면 대 면 상담이 이루어졌으며, 하루 중 상담이 이루어지는 시간은 정규수업 직후가 많았다. 또한 상담시간은 주로 40분 이내였으며, 주로 장소는 교무실이었고, 상담 후 대부분의 학생이 도움을 받았다고 생각했다. 둘째, 학생들의 요구를 분석했을 때 학생들은 상담의 시기 측면에서 본인이 원하는 시기나 정기고사 직후를 선호했으며, 스스로 원해서 하는 상담을 좋아했다. 또한 대부분의 상담이 면 대 면으로 이루어졌으며, 정규수업 시간이 끝나고 상담 받는 것을 선호했다. 또한 시간은 40분에서 1시간 정도를 원했으며 장소는 교무실보다 상담실을 선호했다. 셋째, 고등학생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물리적 요소는 상담 시기와 장소이며, 모든 계열의 고등학생들이 상담 시기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넷째, 이상을 통해서 고등학생들이 경험한 상담과 고등학생들이 요구하는 상담의 일치여부를 확인하면 다음과 같다. ① 상담의 내용부분은 학업과 진로라는 측면에서 일치하고 있다. ② 상담의 동기 측면에서는 교사는 요구를 통해 상담을 해야한다고 생각하지만 학생은 자발적 상담 분위기를 희망하고 있다. ③ 상담 방식의 측면은 교사와 학생 모두 면 대 면을 선호했다. ④ 하루 중 상담 시간은 교사와 학생 모두 정규수업 시간 이후를 선호했다. ⑤ 상담의 시간은 교사는 40분 이하, 학생은 40분 이상을 원했다. ⑥ 상담의 장소는 주로 교무실이나 복도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학생은 상담실에서의 상담을 원하고 있다. 다섯째, 상담 인식에 대한 계열별 차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특목고 학생은 고민을 교사와 상담하지만, 일반고와 특성화고 학생들은 그런 경향이 작다. 결국 담임과의 상담 횟수도 특목고 학생들이 더 많다. ② 고민의 내용면에서는 특목고 학생들이 진로․진학 문제로 집중되고 있고, 일반고에 비해 특성화고 학생들이 진로문제를 더 많이 고민하고 있다. ③ 상담의 시간분량 측면에서 특성화고의 경우 40분 이상 상담을 받아봤다는 비율이 매우 적었고, 주로 쉬는시간에 상담 받은 비율이 높았다. ⑤ 일반고 학생들의 22%가 내밀한 상담이 이루어지기 힘든 복도에서 이루어졌다. ⑥ 일반고와 특성화고의 경우는 정보제공을 더 원했고, 특목고의 경우는 문제를 들어주고 이해해주는 것을 더 원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담임교사는 학업과 진로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담임교사는 상담을 진행할 때 학생들의 요구를 충분히 인식해야 한다. 셋째, 학교는 학생들이 편안하게 상담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넷째, 담임교사는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상담을 요구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 다섯째, 고등학교 계열에 따라 학생들의 상담에 대한 인식과 요구가 다르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학교에서는 학생이 편안하게 상담 받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교사는 학생들의 요구에 맞는 상담 지식과 기술을 익혀 학생들이 편안하게 고민을 이야기할 수 있는 좋은 상담자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실제 경험한 상담과 그들이 요구하는 상담과의 차이점을 확인하고, 이를 계열별, 학년별, 성별로 분석하여 각 특성에 맞는 상담 요구를 찾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지를 활용하여 고등학생의 상담 실태와 요구 분석을 조사하였고, 이를 통해 그들의 상담 경험과 상담 요구 사이의 차이와 계열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들이 경험한 상담은 대부분 진로상담 혹은 학업 상담이었고 전화나 사이버상담보다는 면 대 면 상담이 이루어졌으며, 하루 중 상담이 이루어지는 시간은 정규수업 직후가 많았다. 또한 상담시간은 주로 40분 이내였으며, 주로 장소는 교무실이었고, 상담 후 대부분의 학생이 도움을 받았다고 생각했다. 둘째, 학생들의 요구를 분석했을 때 학생들은 상담의 시기 측면에서 본인이 원하는 시기나 정기고사 직후를 선호했으며, 스스로 원해서 하는 상담을 좋아했다. 또한 대부분의 상담이 면 대 면으로 이루어졌으며, 정규수업 시간이 끝나고 상담 받는 것을 선호했다. 또한 시간은 40분에서 1시간 정도를 원했으며 장소는 교무실보다 상담실을 선호했다. 셋째, 고등학생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물리적 요소는 상담 시기와 장소이며, 모든 계열의 고등학생들이 상담 시기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넷째, 이상을 통해서 고등학생들이 경험한 상담과 고등학생들이 요구하는 상담의 일치여부를 확인하면 다음과 같다. ① 상담의 내용부분은 학업과 진로라는 측면에서 일치하고 있다. ② 상담의 동기 측면에서는 교사는 요구를 통해 상담을 해야한다고 생각하지만 학생은 자발적 상담 분위기를 희망하고 있다. ③ 상담 방식의 측면은 교사와 학생 모두 면 대 면을 선호했다. ④ 하루 중 상담 시간은 교사와 학생 모두 정규수업 시간 이후를 선호했다. ⑤ 상담의 시간은 교사는 40분 이하, 학생은 40분 이상을 원했다. ⑥ 상담의 장소는 주로 교무실이나 복도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학생은 상담실에서의 상담을 원하고 있다. 다섯째, 상담 인식에 대한 계열별 차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특목고 학생은 고민을 교사와 상담하지만, 일반고와 특성화고 학생들은 그런 경향이 작다. 결국 담임과의 상담 횟수도 특목고 학생들이 더 많다. ② 고민의 내용면에서는 특목고 학생들이 진로․진학 문제로 집중되고 있고, 일반고에 비해 특성화고 학생들이 진로문제를 더 많이 고민하고 있다. ③ 상담의 시간분량 측면에서 특성화고의 경우 40분 이상 상담을 받아봤다는 비율이 매우 적었고, 주로 쉬는시간에 상담 받은 비율이 높았다. ⑤ 일반고 학생들의 22%가 내밀한 상담이 이루어지기 힘든 복도에서 이루어졌다. ⑥ 일반고와 특성화고의 경우는 정보제공을 더 원했고, 특목고의 경우는 문제를 들어주고 이해해주는 것을 더 원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담임교사는 학업과 진로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담임교사는 상담을 진행할 때 학생들의 요구를 충분히 인식해야 한다. 셋째, 학교는 학생들이 편안하게 상담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넷째, 담임교사는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상담을 요구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 다섯째, 고등학교 계열에 따라 학생들의 상담에 대한 인식과 요구가 다르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학교에서는 학생이 편안하게 상담 받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교사는 학생들의 요구에 맞는 상담 지식과 기술을 익혀 학생들이 편안하게 고민을 이야기할 수 있는 좋은 상담자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This research aims to confirm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nsultation that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 and the one that they are requesting, and to analyze them by high school system(high school courses such as regular high school, special-purpose high school, and characterization high school),...
This research aims to confirm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nsultation that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 and the one that they are requesting, and to analyze them by high school system(high school courses such as regular high school, special-purpose high school, and characterization high school), grades, and genders, from which this research is trying to find the consultation demands that best fit for each characteristic. In order to attain these purposes, the actual condi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consultation and their demand have been surveyed by questionnaire method, through which the differences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consultation experiences and their consultation demand and the differences by high school courses have been analyzed. The followings are consequential findings that have been drawn from this research. First, most consultations that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d were career consultation or scholastic achievement consultation, were usually done person to person, and the most frequent period for these consultations were right after regular classes. They usually took within 40 minutes, were conducted in teachers' office, and most students thought they got help from these consultations.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tudents' demand, as for the time for consultation students preferred the period that they wanted or right after regular exams, and they liked consultations that they engaged in for they wanted. Also, most consultations occurred person to person and students preferred that they would consult after regular classes. They also wanted to have consultation for 40 minutes to one hour, and they preferred a consultation room to teachers' office. Third, physical factors that were viewed as the most important were the consultation period and place, and students of all high school courses thought the consultation period were the most important. Fourth, the followings are findings about whether the consult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d correspond to the one that they demand. ① The contents of the consultations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he point of scholastic achievement(school performance) and career orientation. ② As for the motivation for consultation, teachers think they engage in consultation through demand whereas students hope that they get involved in consultation from their initiative willingness. ③ As for the way of consultation, both teachers and students wanted person-to-person interaction. ④ As for the consultation period among a day, both teachers and students preferred the ones after regular classes. ⑤ As for the duration of consultation, teachers wanted less than 40 minutes while students more than 40 minutes. ⑥ As for the place of consultation, consultations are undertaken mainly in teachers' office or corridors, but students wanted to get them in a consultation room. Fifth, the followings are differences about consultation recognition among school courses. ① Special-purpose high school students consult with teachers about their difficulties, but regular high school students and characterization high school students show less tendencies towards it. Consequently, special-purpose high school students have a higher number of consultation. ② As for the contents of students' problems, special-purpose high school students focus on career and admission problems, and characterization high school students worry about career problems more than regular high school students. ③ As for the duration of consultation, characterization high school students showed a small rate of having more than 40 minutes of consultation and they usually got a consultation during a break time at a high rate. ⑤ 22% of regular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d a consultation in a corridor where it was hard to manage a confidential consultation. ⑥ Regular high school students and characterization high school students more often wanted information, and Special-purpose high school students rather wanted to be listened to and get understood. The followings are recommendation that can be suggested from above findings. First, homeroom teachers should be able to find solutions on scholastic achievement and career problems. Second, homeroom teachers have to get a full recognition on students' demand when processing a consultation. Third, school government should provide a place where students get a comfort consultation. Fourth, homeroom teacher establish circumstances where students feel free to ask for a consultation voluntarily. Fifth, the facts that students' demand on consultations vary among high school systems(high school courses) should be recognized. In a consequence, school should provide a place where students can feel comfortable while getting a consultation, and teachers should try to be a good consultant with whom students feel comfortable communicating their difficulties by acquiring consulting knowledge and skills that satisfy students' demand.
This research aims to confirm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nsultation that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 and the one that they are requesting, and to analyze them by high school system(high school courses such as regular high school, special-purpose high school, and characterization high school), grades, and genders, from which this research is trying to find the consultation demands that best fit for each characteristic. In order to attain these purposes, the actual condi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consultation and their demand have been surveyed by questionnaire method, through which the differences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consultation experiences and their consultation demand and the differences by high school courses have been analyzed. The followings are consequential findings that have been drawn from this research. First, most consultations that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d were career consultation or scholastic achievement consultation, were usually done person to person, and the most frequent period for these consultations were right after regular classes. They usually took within 40 minutes, were conducted in teachers' office, and most students thought they got help from these consultations.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tudents' demand, as for the time for consultation students preferred the period that they wanted or right after regular exams, and they liked consultations that they engaged in for they wanted. Also, most consultations occurred person to person and students preferred that they would consult after regular classes. They also wanted to have consultation for 40 minutes to one hour, and they preferred a consultation room to teachers' office. Third, physical factors that were viewed as the most important were the consultation period and place, and students of all high school courses thought the consultation period were the most important. Fourth, the followings are findings about whether the consult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d correspond to the one that they demand. ① The contents of the consultations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he point of scholastic achievement(school performance) and career orientation. ② As for the motivation for consultation, teachers think they engage in consultation through demand whereas students hope that they get involved in consultation from their initiative willingness. ③ As for the way of consultation, both teachers and students wanted person-to-person interaction. ④ As for the consultation period among a day, both teachers and students preferred the ones after regular classes. ⑤ As for the duration of consultation, teachers wanted less than 40 minutes while students more than 40 minutes. ⑥ As for the place of consultation, consultations are undertaken mainly in teachers' office or corridors, but students wanted to get them in a consultation room. Fifth, the followings are differences about consultation recognition among school courses. ① Special-purpose high school students consult with teachers about their difficulties, but regular high school students and characterization high school students show less tendencies towards it. Consequently, special-purpose high school students have a higher number of consultation. ② As for the contents of students' problems, special-purpose high school students focus on career and admission problems, and characterization high school students worry about career problems more than regular high school students. ③ As for the duration of consultation, characterization high school students showed a small rate of having more than 40 minutes of consultation and they usually got a consultation during a break time at a high rate. ⑤ 22% of regular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d a consultation in a corridor where it was hard to manage a confidential consultation. ⑥ Regular high school students and characterization high school students more often wanted information, and Special-purpose high school students rather wanted to be listened to and get understood. The followings are recommendation that can be suggested from above findings. First, homeroom teachers should be able to find solutions on scholastic achievement and career problems. Second, homeroom teachers have to get a full recognition on students' demand when processing a consultation. Third, school government should provide a place where students get a comfort consultation. Fourth, homeroom teacher establish circumstances where students feel free to ask for a consultation voluntarily. Fifth, the facts that students' demand on consultations vary among high school systems(high school courses) should be recognized. In a consequence, school should provide a place where students can feel comfortable while getting a consultation, and teachers should try to be a good consultant with whom students feel comfortable communicating their difficulties by acquiring consulting knowledge and skills that satisfy students' deman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