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행정가들의 리더십에 따라 학교의 교육력은 크게 영향을 받는다. 변화하는 소통과 참여의 시대에 학교행정가에게 요구되는 새로운 리더십은 교육주체의 상호 소통과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내는 수평적 리더십인 변혁적 리더십이다. 학교는 구성원 모두 책임과 권한을 가지고 학교운영에 참여하여 상호 협력을 통해, 교육 개선을 이끌어내기 위한 노력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 내어야 한다. 학교행정가들이 학교구성원들에게 교육개선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리더십을 확립하여 발휘할 때, 학교문화가 발전하고 학교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는 학교교육의 효과를 높이는 학교행정가들의 리더십이 교사들의 역할을 이끌어내고, 교사들의 역할이 교육의 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가정 하에 학교행정가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사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행정가의 개인 배경에 따라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 직무만족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와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변혁적 리더십은 학교행정가의 개인배경(성별, 출신,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요인(비전설정 공유, ...
학교행정가들의 리더십에 따라 학교의 교육력은 크게 영향을 받는다. 변화하는 소통과 참여의 시대에 학교행정가에게 요구되는 새로운 리더십은 교육주체의 상호 소통과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내는 수평적 리더십인 변혁적 리더십이다. 학교는 구성원 모두 책임과 권한을 가지고 학교운영에 참여하여 상호 협력을 통해, 교육 개선을 이끌어내기 위한 노력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 내어야 한다. 학교행정가들이 학교구성원들에게 교육개선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리더십을 확립하여 발휘할 때, 학교문화가 발전하고 학교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는 학교교육의 효과를 높이는 학교행정가들의 리더십이 교사들의 역할을 이끌어내고, 교사들의 역할이 교육의 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가정 하에 학교행정가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사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행정가의 개인 배경에 따라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 직무만족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와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변혁적 리더십은 학교행정가의 개인배경(성별, 출신,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요인(비전설정 공유, 지적자극, 높은 성과, 목표수용, 솔선수범, 학교문화 창조, 집단 참여 허용, 인간존중)은 학교행정가의 개인배경(성별, 출신별,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교사들의 직무만족도는 학교행정가의 개인배경(성별, 출신,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넷째, 교사 직무만족도와 하위요인(교직관, 행정적 지원, 교육과정 운영, 인간관계, 인사관리, 유인체제, 사회관계)은 학교행정가의 개인배경(성별, 출신별, 경력)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학교행정가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들의 직무만족도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여섯째, 학교행정가의 변혁적 리더십 요인 중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있는가?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문헌연구 및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만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경기도 광명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23개교의 교사 7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질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총 570부를 분석하였다.
학교행정가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1996년 노종희가 개발한 ‘학교장의 변혁 지향적 리더십 행동의 진단목록’을 사용하였으며 교사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1983년 김창걸이 전성연의 KTO(Korean Teacher Opinionnaire)를 중심으로 수정하여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실증분석은 유의수준 p<.1, p<.05, p<.01, p<.001 에서 검증하였고, 통계처리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는데, 문항 간의 내적 일치성과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교장/교감의 개인 배경에 대해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교장/교감의 개인 배경에 따른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만족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t 검증을 실시하고, 유의미한 차이에 대해 사후검증(Scheffe's multiple range test)을 실시하였다. 또한, 교장/교감의 변혁적 리더십 요인 중 교사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행정가의 개인배경(성별, 출신, 경력)에 따른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서 교장의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교사들은 남교장일 경우 여교장보다 변혁적 리더십이 더 높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출신과 경력에 따라서는 교사들의 인식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교감은 성별, 출신별, 경력별 모두에서 교사들의 인식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변혁적 리더십 하위요인에 대한 학교행정가의 개인 배경에 따른 교사들의 인식의 차이를 보았을 때, 변혁적 리더십 하위요인 영역별로 각각 다르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학교행정가의 개인 배경 중에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남교장과 여교감의 경우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장과 교감의 출신과 경력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직무만족도 하위요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교행정가의 개인 배경 변인에 따라 직무만족도 하위요인 영역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행정가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사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교장과 교감 모두 변혁적 리더십이 높을수록 교사들의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만족도 하위요인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비전설정 및 공유, 인간존중, 목표수용, 집단참여 허용 등의 영역에서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 교사들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교장의 리더십 중 높은 성과기대 요인에서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는데 이 요인은 오히려 교사들의 직무만족도를 낮추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학교행정가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으며, 학교행정가의 변혁적 리더십이 높을수록 학교조직 구성원인 교사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여 학교교육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학교행정가들이 비전설정 및 공유, 인간존중, 목표수용, 집단참여 허용 요인 등의 특징을 보여 주었을 때에는 교사들의 직무만족도가 높아지지만 높은 성과만을 기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초등학교행정가들에게 적절한 변혁적 리더십을 길러줄 수 있는 방안 등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행정가들의 리더십에 따라 학교의 교육력은 크게 영향을 받는다. 변화하는 소통과 참여의 시대에 학교행정가에게 요구되는 새로운 리더십은 교육주체의 상호 소통과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내는 수평적 리더십인 변혁적 리더십이다. 학교는 구성원 모두 책임과 권한을 가지고 학교운영에 참여하여 상호 협력을 통해, 교육 개선을 이끌어내기 위한 노력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 내어야 한다. 학교행정가들이 학교구성원들에게 교육개선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리더십을 확립하여 발휘할 때, 학교문화가 발전하고 학교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는 학교교육의 효과를 높이는 학교행정가들의 리더십이 교사들의 역할을 이끌어내고, 교사들의 역할이 교육의 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가정 하에 학교행정가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사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행정가의 개인 배경에 따라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 직무만족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와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변혁적 리더십은 학교행정가의 개인배경(성별, 출신,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요인(비전설정 공유, 지적자극, 높은 성과, 목표수용, 솔선수범, 학교문화 창조, 집단 참여 허용, 인간존중)은 학교행정가의 개인배경(성별, 출신별,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교사들의 직무만족도는 학교행정가의 개인배경(성별, 출신,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넷째, 교사 직무만족도와 하위요인(교직관, 행정적 지원, 교육과정 운영, 인간관계, 인사관리, 유인체제, 사회관계)은 학교행정가의 개인배경(성별, 출신별, 경력)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학교행정가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들의 직무만족도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여섯째, 학교행정가의 변혁적 리더십 요인 중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있는가?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문헌연구 및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만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경기도 광명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23개교의 교사 7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질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총 570부를 분석하였다.
학교행정가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1996년 노종희가 개발한 ‘학교장의 변혁 지향적 리더십 행동의 진단목록’을 사용하였으며 교사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1983년 김창걸이 전성연의 KTO(Korean Teacher Opinionnaire)를 중심으로 수정하여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실증분석은 유의수준 p<.1, p<.05, p<.01, p<.001 에서 검증하였고, 통계처리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는데, 문항 간의 내적 일치성과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교장/교감의 개인 배경에 대해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교장/교감의 개인 배경에 따른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만족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t 검증을 실시하고, 유의미한 차이에 대해 사후검증(Scheffe's multiple range test)을 실시하였다. 또한, 교장/교감의 변혁적 리더십 요인 중 교사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행정가의 개인배경(성별, 출신, 경력)에 따른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서 교장의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교사들은 남교장일 경우 여교장보다 변혁적 리더십이 더 높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출신과 경력에 따라서는 교사들의 인식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교감은 성별, 출신별, 경력별 모두에서 교사들의 인식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변혁적 리더십 하위요인에 대한 학교행정가의 개인 배경에 따른 교사들의 인식의 차이를 보았을 때, 변혁적 리더십 하위요인 영역별로 각각 다르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학교행정가의 개인 배경 중에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남교장과 여교감의 경우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장과 교감의 출신과 경력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직무만족도 하위요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교행정가의 개인 배경 변인에 따라 직무만족도 하위요인 영역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행정가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사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교장과 교감 모두 변혁적 리더십이 높을수록 교사들의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만족도 하위요인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비전설정 및 공유, 인간존중, 목표수용, 집단참여 허용 등의 영역에서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 교사들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교장의 리더십 중 높은 성과기대 요인에서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는데 이 요인은 오히려 교사들의 직무만족도를 낮추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학교행정가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으며, 학교행정가의 변혁적 리더십이 높을수록 학교조직 구성원인 교사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여 학교교육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학교행정가들이 비전설정 및 공유, 인간존중, 목표수용, 집단참여 허용 요인 등의 특징을 보여 주었을 때에는 교사들의 직무만족도가 높아지지만 높은 성과만을 기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초등학교행정가들에게 적절한 변혁적 리더십을 길러줄 수 있는 방안 등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e educational power of a school is heavily influenced by the leadership of school administrators. In this ever-changing era of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school administrators are expected to show new, horizontal,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at can make all educational agents mutually comm...
The educational power of a school is heavily influenced by the leadership of school administrators. In this ever-changing era of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school administrators are expected to show new, horizontal,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at can make all educational agents mutually communicate and participate voluntarily. A School should make its members participate to school management based on their duties and rights and put their efforts to improve school education through mutual cooperation. As school administrators establish and show this kind of leadership, the school culture will flourish and educational agents will enhance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relation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school administrators and job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leadership of school administrators can make teachers do their roles better, and subsequently more positive educational results will be obtained. In detail, correlational analyses have been conducted among three variables of (1) personal background of the school administrator, (2)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3)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The author made three hypotheses.
Firstly, i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the teachers differ following personal background of school administrators? Secondly, are sub-factor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the teachers(vision sharing, intellectual stimulation, high level of achievement, goal accommodation, leading by example, creation of school culture, allowing of group participation, humanism) differ following personal background of school administrators(sex, origin, work experience)? Thirdly, is job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differ following personal background of school administrators(sex, origin, work experience)? Fourthly, ar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of the teachers(perspective to educational jobs, administrative support, management of educational process, human relationship,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centive system, social relationship) differ following personal background of school administrators(sex, origin, work experience)? Fifthly, how about correlation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job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Sixthly, is there any variable which significantly affect job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among factor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school administrators?
The questionnaires research was conducted abou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relevant documents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written above. The questionnairs given to 730 teachers of 23 elementary schools in Gwang-Myeong, Gyeong-Gi. Total 570 copies were re-collected and analyzed.
To measure level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school administrators, ‘The Diagnostic List of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cts’ developed by Noh Jong Hee in year 1996 was used and Kim Chang Geol(1983)’s revised version of Jeon Sung Hyun’s KTO(Korean Teacher Opinionnaire) was used to measure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at alpha level .05, .01, or .001, and through SPSSWIN 12.0 program. Reli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ure inter-item consistency and reliability of the metho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personal background of the respondents and the principals, the vice-principals.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valu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following personal background of the principal/vice-principal, and additional post-hoc tests(Scheffe’s multiple range test) were conducted to all significant results. Correla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vice-principal and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and als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llowing is a summary of results.
Firstly, among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of school administrators(origin, work experience), sex of the principal variable significantly influenced perception abou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teachers. Teachers perceived higher level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f sex of the principal is male than female, but origin or work experience did not affect. Sex, origin, work experience of the vice-principal did not affect perception of the teachers. Secondly, personal background of the school administrators differently affected sub-factor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school administrators perceived by the teachers. Thirdly, job satisfaction perceived by teachers differed by sex among personal background of school administrators, job satisfaction level was higher if sex of the principal is male or sex of the vice-principal is female than other cases. The origin or work experience of the principal/vice-principal did not affect job satisfaction. Fourthly,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perceived by the teachers differed by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of school administrators. Fifthly, about correlation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school administrators perceived by the teachers and job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higher level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or the vice-principal made higher job satisfaction level of the teachers. Sixthly,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in the area of vision set sharing, humanism, goal accomodation, allowing to group participation. However,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ub-factor of expecting high level of achivements. This factor rather made job satisfaction level of the teachers lower.
The results show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school administrators perceived by the teachers has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and by enhancing their job satisfaction level, it will improve the effects of school education. If the school administrators show characteristics like vision set and sharing, humanism, goal accomodation, allowing to group participation, then job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increase, but only expecting high level of achievements yields no positive effect. Therefore,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ideas to facilitat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elementary school administrators.
The educational power of a school is heavily influenced by the leadership of school administrators. In this ever-changing era of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school administrators are expected to show new, horizontal,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at can make all educational agents mutually communicate and participate voluntarily. A School should make its members participate to school management based on their duties and rights and put their efforts to improve school education through mutual cooperation. As school administrators establish and show this kind of leadership, the school culture will flourish and educational agents will enhance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relation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school administrators and job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leadership of school administrators can make teachers do their roles better, and subsequently more positive educational results will be obtained. In detail, correlational analyses have been conducted among three variables of (1) personal background of the school administrator, (2)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3)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The author made three hypotheses.
Firstly, i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the teachers differ following personal background of school administrators? Secondly, are sub-factor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the teachers(vision sharing, intellectual stimulation, high level of achievement, goal accommodation, leading by example, creation of school culture, allowing of group participation, humanism) differ following personal background of school administrators(sex, origin, work experience)? Thirdly, is job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differ following personal background of school administrators(sex, origin, work experience)? Fourthly, ar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of the teachers(perspective to educational jobs, administrative support, management of educational process, human relationship,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centive system, social relationship) differ following personal background of school administrators(sex, origin, work experience)? Fifthly, how about correlation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job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Sixthly, is there any variable which significantly affect job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among factor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school administrators?
The questionnaires research was conducted abou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relevant documents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written above. The questionnairs given to 730 teachers of 23 elementary schools in Gwang-Myeong, Gyeong-Gi. Total 570 copies were re-collected and analyzed.
To measure level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school administrators, ‘The Diagnostic List of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cts’ developed by Noh Jong Hee in year 1996 was used and Kim Chang Geol(1983)’s revised version of Jeon Sung Hyun’s KTO(Korean Teacher Opinionnaire) was used to measure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at alpha level .05, .01, or .001, and through SPSSWIN 12.0 program. Reli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ure inter-item consistency and reliability of the metho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personal background of the respondents and the principals, the vice-principals.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valu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following personal background of the principal/vice-principal, and additional post-hoc tests(Scheffe’s multiple range test) were conducted to all significant results. Correla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vice-principal and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and als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llowing is a summary of results.
Firstly, among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of school administrators(origin, work experience), sex of the principal variable significantly influenced perception abou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teachers. Teachers perceived higher level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f sex of the principal is male than female, but origin or work experience did not affect. Sex, origin, work experience of the vice-principal did not affect perception of the teachers. Secondly, personal background of the school administrators differently affected sub-factor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school administrators perceived by the teachers. Thirdly, job satisfaction perceived by teachers differed by sex among personal background of school administrators, job satisfaction level was higher if sex of the principal is male or sex of the vice-principal is female than other cases. The origin or work experience of the principal/vice-principal did not affect job satisfaction. Fourthly,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perceived by the teachers differed by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of school administrators. Fifthly, about correlation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school administrators perceived by the teachers and job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higher level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or the vice-principal made higher job satisfaction level of the teachers. Sixthly,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in the area of vision set sharing, humanism, goal accomodation, allowing to group participation. However,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ub-factor of expecting high level of achivements. This factor rather made job satisfaction level of the teachers lower.
The results show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school administrators perceived by the teachers has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and by enhancing their job satisfaction level, it will improve the effects of school education. If the school administrators show characteristics like vision set and sharing, humanism, goal accomodation, allowing to group participation, then job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increase, but only expecting high level of achievements yields no positive effect. Therefore,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ideas to facilitat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elementary school administrator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