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산지형 근린공원 시설지 생태경관적 식재 개선방안 연구 : 서울시 초안산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cological Planting of Mountainous Neighborhood Park Facility Area:In Case of Choansan Neighborhood Park, Seou원문보기
본 연구는 서울시 초안산근린공원에 기조성된 시설지 3개소에 대하여 시설지와 유역권의 지형, 수계, 현존식생 등 입지조건, 공간기능과 식재개념, 배식구조를 조사분석하여 공간별로 불일치하는 지역과 수목 생육상태가 불량한 지역을 파악하였다. 부적합한 공간을 대상으로 개선방향, 식재개념, 입지유형별 식재구조 모델을 설정하여 주변 산림과 조화로운 경관향상과 생태적으로 안정된 생태경관적 식재방안을 제안하였다.
도봉문화정보센터 동측 시설지(대상지 Ⅰ)는 능선부에 조성된 13,060㎡의 시설지로 0°~20°의 평지 및 완경사지가 86.7%이었으며 음지에 해당하는 북, 서향이 62.0%로 일조량이 부족하였다. 유역권 내 현존식생은 아까시나무가 46.7%이었으며 우점식재종은 산딸나무, 상수리나무, 벚나무, 은행나무, 소나무로 유역권 내 현존식생과 우점식재종이 대부분 불일치하였다. 수계 영향, 일조량, 지형 등의 영향으로 생육이 불량한 식재지역은 39.5%이었다. 정밀조사구는 9개소를 설정하였으며, 조사결과 평균녹피율은 50.60%, 평균녹지용적계수는 1.21m³/m²이었다. 대상지 Ⅰ은 대부분 경관공간(47.9%)임에도 특별한 주제 없이 교목층 단층구조(74.7%)로 식재되어 있었고, 공간기능과 식재개념, 배식구조가 불일치하는 지역은 3,595㎡(식재면적의 35.9%)이었다.
창동 주공4단지 동측 시설지(대상지 Ⅱ)는 계곡부와 사면부에 조성된 8,468㎡ 면적의 시설지로 0°~20°의 평지 및 완경사지가 97.3%이었으며, 음지에 해당하는 북, 서향이 54.2%로 일조량이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유역권 내 현존식생은 아까시나무림은 40%, 상수리나무림은 11.3%, 신갈나무림은 1.0%이었으며, 우점식재종은 스트로브잣나무, 살구나무, 단풍나무, 벚나무로 유역권 내 현존식생과 대상지 내 우점식재종이 불일치하였다. 수계, 지형 등의 영향으로 수목생육이 불량한 지역이 64.7%이었으며 정밀조사구 7개소 조사결과, 평균녹피율은 38.90%, 평균녹지용적계수는 0.7m³/m²이었다. 대상지 Ⅱ는 녹음공간(10.0%)보다는 경관공간(51.2%)과 완충공간(21.8%)이 필요한 지역이었으나 특별한 주제 없이 교목층 위주의 단층구조(80.6%)로 식재되어 있었고, 공간기능과 식재개념, 배식구조가 불일치하는 지역은 3,876m²(식재면적의 55.1%)이었다.
창골어린이공원 시설지(대상지 Ⅲ)는 계곡부와 사면부에 조성된 5,917㎡ 면적의 시설지로 0°~20°의 평지 및 완경사지가 83.7%이었으며, 음지에 해당하는 북, 서향이 85%, 평지 14.2%로 일조량이 매우 부족한 지역이었다. 유역권 내 현존식생은 아까시나무림이 53%이었으며, 우점식재종은 잣나무, 아까시나무, 느티나무, 은행나무로 현존식생과 대상지 내 우점식재종이 불일치 하였다. 수계, 일조량 부족 등으로 인하여 생육이 불량한 지역이 25.1%이었다. 정밀조사구는 9개소를 설정하였으며, 조사결과 평균녹피율은 123.88%, 평균녹지용적계수는 3.53m³/m²이었다. 대상지 Ⅲ은 산림주연부와 인접하여 완충기능(38.1%)과 경관기능(29.0%)이 중요한 지역이었으나 대부분 교목층 위주의 단층구조(99.8%)로 식재되어 있었고, 공간기능과 식재개념, 배식구조가 불일치하는 지역은 2,973m²(식재면적의 64.2%)이었다.
시설지 식재계획은 개선방향과 공간기능에 따라 적정 식재개념을 설정하였고, 대상지와 유사한 입지조건을 가진 능선부, 계곡부, 사면부 등 입지 유형별 식재구조 모델을 도입하였다. 경관공간은 각 수목의 경관적 특성을 고려하여 ...
본 연구는 서울시 초안산근린공원에 기조성된 시설지 3개소에 대하여 시설지와 유역권의 지형, 수계, 현존식생 등 입지조건, 공간기능과 식재개념, 배식구조를 조사분석하여 공간별로 불일치하는 지역과 수목 생육상태가 불량한 지역을 파악하였다. 부적합한 공간을 대상으로 개선방향, 식재개념, 입지유형별 식재구조 모델을 설정하여 주변 산림과 조화로운 경관향상과 생태적으로 안정된 생태경관적 식재방안을 제안하였다.
도봉문화정보센터 동측 시설지(대상지 Ⅰ)는 능선부에 조성된 13,060㎡의 시설지로 0°~20°의 평지 및 완경사지가 86.7%이었으며 음지에 해당하는 북, 서향이 62.0%로 일조량이 부족하였다. 유역권 내 현존식생은 아까시나무가 46.7%이었으며 우점식재종은 산딸나무, 상수리나무, 벚나무, 은행나무, 소나무로 유역권 내 현존식생과 우점식재종이 대부분 불일치하였다. 수계 영향, 일조량, 지형 등의 영향으로 생육이 불량한 식재지역은 39.5%이었다. 정밀조사구는 9개소를 설정하였으며, 조사결과 평균녹피율은 50.60%, 평균녹지용적계수는 1.21m³/m²이었다. 대상지 Ⅰ은 대부분 경관공간(47.9%)임에도 특별한 주제 없이 교목층 단층구조(74.7%)로 식재되어 있었고, 공간기능과 식재개념, 배식구조가 불일치하는 지역은 3,595㎡(식재면적의 35.9%)이었다.
창동 주공4단지 동측 시설지(대상지 Ⅱ)는 계곡부와 사면부에 조성된 8,468㎡ 면적의 시설지로 0°~20°의 평지 및 완경사지가 97.3%이었으며, 음지에 해당하는 북, 서향이 54.2%로 일조량이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유역권 내 현존식생은 아까시나무림은 40%, 상수리나무림은 11.3%, 신갈나무림은 1.0%이었으며, 우점식재종은 스트로브잣나무, 살구나무, 단풍나무, 벚나무로 유역권 내 현존식생과 대상지 내 우점식재종이 불일치하였다. 수계, 지형 등의 영향으로 수목생육이 불량한 지역이 64.7%이었으며 정밀조사구 7개소 조사결과, 평균녹피율은 38.90%, 평균녹지용적계수는 0.7m³/m²이었다. 대상지 Ⅱ는 녹음공간(10.0%)보다는 경관공간(51.2%)과 완충공간(21.8%)이 필요한 지역이었으나 특별한 주제 없이 교목층 위주의 단층구조(80.6%)로 식재되어 있었고, 공간기능과 식재개념, 배식구조가 불일치하는 지역은 3,876m²(식재면적의 55.1%)이었다.
창골어린이공원 시설지(대상지 Ⅲ)는 계곡부와 사면부에 조성된 5,917㎡ 면적의 시설지로 0°~20°의 평지 및 완경사지가 83.7%이었으며, 음지에 해당하는 북, 서향이 85%, 평지 14.2%로 일조량이 매우 부족한 지역이었다. 유역권 내 현존식생은 아까시나무림이 53%이었으며, 우점식재종은 잣나무, 아까시나무, 느티나무, 은행나무로 현존식생과 대상지 내 우점식재종이 불일치 하였다. 수계, 일조량 부족 등으로 인하여 생육이 불량한 지역이 25.1%이었다. 정밀조사구는 9개소를 설정하였으며, 조사결과 평균녹피율은 123.88%, 평균녹지용적계수는 3.53m³/m²이었다. 대상지 Ⅲ은 산림주연부와 인접하여 완충기능(38.1%)과 경관기능(29.0%)이 중요한 지역이었으나 대부분 교목층 위주의 단층구조(99.8%)로 식재되어 있었고, 공간기능과 식재개념, 배식구조가 불일치하는 지역은 2,973m²(식재면적의 64.2%)이었다.
시설지 식재계획은 개선방향과 공간기능에 따라 적정 식재개념을 설정하였고, 대상지와 유사한 입지조건을 가진 능선부, 계곡부, 사면부 등 입지 유형별 식재구조 모델을 도입하였다. 경관공간은 각 수목의 경관적 특성을 고려하여 다층구조 식재로 다양한 경관을 연출하도록 하였고, 완충공간을 공간 내부측 경관을 고려하여 지하고가 낮고 지엽이 치밀한 낙엽활엽수의 다층구조 식재를 제안하였다. 산림주연부 인접 완충지역은 자생종을 선정하여 공원 내부에서부터 초본층-관목층-아교목층-교목층 순으로 배식하여 산림주연부가 단절되지 않도록 계획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도봉구에 위치한 산지형 공원인 초안산 근린공원 시설지를 대상으로 유역권과 대상지의 입지조건을 분석하였고, 공간기능과 식재개념, 배식구조를 조사하여 공간별 불일치하는 지역과 수목 생육상태가 불량한 지역을 입지유형별 식재구조 모델을 설정하여 주변 산림과 조화롭고 생태적으로 안정된 식재방안을 제안하였다.
주요어 : 유역권, 현존식생, 공간기능, 식재개념, 우점식재종
본 연구는 서울시 초안산근린공원에 기조성된 시설지 3개소에 대하여 시설지와 유역권의 지형, 수계, 현존식생 등 입지조건, 공간기능과 식재개념, 배식구조를 조사분석하여 공간별로 불일치하는 지역과 수목 생육상태가 불량한 지역을 파악하였다. 부적합한 공간을 대상으로 개선방향, 식재개념, 입지유형별 식재구조 모델을 설정하여 주변 산림과 조화로운 경관향상과 생태적으로 안정된 생태경관적 식재방안을 제안하였다.
도봉문화정보센터 동측 시설지(대상지 Ⅰ)는 능선부에 조성된 13,060㎡의 시설지로 0°~20°의 평지 및 완경사지가 86.7%이었으며 음지에 해당하는 북, 서향이 62.0%로 일조량이 부족하였다. 유역권 내 현존식생은 아까시나무가 46.7%이었으며 우점식재종은 산딸나무, 상수리나무, 벚나무, 은행나무, 소나무로 유역권 내 현존식생과 우점식재종이 대부분 불일치하였다. 수계 영향, 일조량, 지형 등의 영향으로 생육이 불량한 식재지역은 39.5%이었다. 정밀조사구는 9개소를 설정하였으며, 조사결과 평균녹피율은 50.60%, 평균녹지용적계수는 1.21m³/m²이었다. 대상지 Ⅰ은 대부분 경관공간(47.9%)임에도 특별한 주제 없이 교목층 단층구조(74.7%)로 식재되어 있었고, 공간기능과 식재개념, 배식구조가 불일치하는 지역은 3,595㎡(식재면적의 35.9%)이었다.
창동 주공4단지 동측 시설지(대상지 Ⅱ)는 계곡부와 사면부에 조성된 8,468㎡ 면적의 시설지로 0°~20°의 평지 및 완경사지가 97.3%이었으며, 음지에 해당하는 북, 서향이 54.2%로 일조량이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유역권 내 현존식생은 아까시나무림은 40%, 상수리나무림은 11.3%, 신갈나무림은 1.0%이었으며, 우점식재종은 스트로브잣나무, 살구나무, 단풍나무, 벚나무로 유역권 내 현존식생과 대상지 내 우점식재종이 불일치하였다. 수계, 지형 등의 영향으로 수목생육이 불량한 지역이 64.7%이었으며 정밀조사구 7개소 조사결과, 평균녹피율은 38.90%, 평균녹지용적계수는 0.7m³/m²이었다. 대상지 Ⅱ는 녹음공간(10.0%)보다는 경관공간(51.2%)과 완충공간(21.8%)이 필요한 지역이었으나 특별한 주제 없이 교목층 위주의 단층구조(80.6%)로 식재되어 있었고, 공간기능과 식재개념, 배식구조가 불일치하는 지역은 3,876m²(식재면적의 55.1%)이었다.
창골어린이공원 시설지(대상지 Ⅲ)는 계곡부와 사면부에 조성된 5,917㎡ 면적의 시설지로 0°~20°의 평지 및 완경사지가 83.7%이었으며, 음지에 해당하는 북, 서향이 85%, 평지 14.2%로 일조량이 매우 부족한 지역이었다. 유역권 내 현존식생은 아까시나무림이 53%이었으며, 우점식재종은 잣나무, 아까시나무, 느티나무, 은행나무로 현존식생과 대상지 내 우점식재종이 불일치 하였다. 수계, 일조량 부족 등으로 인하여 생육이 불량한 지역이 25.1%이었다. 정밀조사구는 9개소를 설정하였으며, 조사결과 평균녹피율은 123.88%, 평균녹지용적계수는 3.53m³/m²이었다. 대상지 Ⅲ은 산림주연부와 인접하여 완충기능(38.1%)과 경관기능(29.0%)이 중요한 지역이었으나 대부분 교목층 위주의 단층구조(99.8%)로 식재되어 있었고, 공간기능과 식재개념, 배식구조가 불일치하는 지역은 2,973m²(식재면적의 64.2%)이었다.
시설지 식재계획은 개선방향과 공간기능에 따라 적정 식재개념을 설정하였고, 대상지와 유사한 입지조건을 가진 능선부, 계곡부, 사면부 등 입지 유형별 식재구조 모델을 도입하였다. 경관공간은 각 수목의 경관적 특성을 고려하여 다층구조 식재로 다양한 경관을 연출하도록 하였고, 완충공간을 공간 내부측 경관을 고려하여 지하고가 낮고 지엽이 치밀한 낙엽활엽수의 다층구조 식재를 제안하였다. 산림주연부 인접 완충지역은 자생종을 선정하여 공원 내부에서부터 초본층-관목층-아교목층-교목층 순으로 배식하여 산림주연부가 단절되지 않도록 계획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도봉구에 위치한 산지형 공원인 초안산 근린공원 시설지를 대상으로 유역권과 대상지의 입지조건을 분석하였고, 공간기능과 식재개념, 배식구조를 조사하여 공간별 불일치하는 지역과 수목 생육상태가 불량한 지역을 입지유형별 식재구조 모델을 설정하여 주변 산림과 조화롭고 생태적으로 안정된 식재방안을 제안하였다.
주요어 : 유역권, 현존식생, 공간기능, 식재개념, 우점식재종
For three facility areas early built in Choansan Neighborhood Park in Seoul, this study aimed to survey and analyze topography of facility areas and basin zone, geographical conditions such as water system and existing vegetation, spacial function and concept of planting, and planting design with a ...
For three facility areas early built in Choansan Neighborhood Park in Seoul, this study aimed to survey and analyze topography of facility areas and basin zone, geographical conditions such as water system and existing vegetation, spacial function and concept of planting, and planting design with a view to finding spacially discordant locations and places where trees poorly grow. For inappropriate spaces, this study set planting structure models by solution, concept of planting, and geographical type, and suggested improvement of landscape to be in harmony with neighboring forests and ecological planting solutions which are ecologically status.
The east facility area of Dobong Culture & Information Center (subject I) is made in 13,060㎡ on the ridge zone. It had 0-20 degrees flatland, its gentle slope land accounted for 86.7% and facing north and facing west subject to shade accounted for 62.0%, which resulted in lack of sunshine. Existing vegetation in the basin zone included 46.7% of Robinia pseudoacacia while dominant species included Cornus kousa, Quercus acutissima
Carruth,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Ginkgo biloba and Pinus densiflora.
Accordingly, existing vegetation and dominant species in the basin zone were mostly not equal. A place where trees poorly grew due to affection of water system, sunshine and topography accounted for 39.5%. Nine places went through a scrutiny and the results showed mean green coverage accounted for 50.60% and mean index of plant crown volume was 1.21m³/m². Subject I was mostly composed of landscape space (47.9%), but planting of trees consisted of a single storey based on tree layer (74.7%) without a theme. In addition, the areas of spacial function, concept of planting and structure of plant design in discordance was 3,595㎡: accounts for 35.9% in planting area.
The east facility area of Chang-dong Jugong apartment building 4 (subject II) is made in the area of 8,468㎡ in valley zone and slope zone. It had 0-20 degrees flatland, its gentle slope land accounted for 97.3%, and facing north and facing west subject to shade accounted for 54.2%, which resulted in lack of sunshine. Existing vegetation in the basin zone included 46.7% of Robinia pseudoacacia, 11.3% of Quercus acutissima Carruth and 1.0% of Quercus mongolica while dominant species included Pinus strobus, Prunus armeniaca, Acer palmatum and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Accordingly, existing vegetation and dominant species in the basin zone were not equal. A place where trees poorly grew due to affection of water system and topography accounted for 64.7%. Seven places went through a scrutiny and the results revealed mean green coverage accounted for 38.90% and mean index of plant crown volume was 0.7m³/m².
Subject II needed landscaped space (51.2%) and buffer space (21.8%) more than forest space (10.0%). However, planting of trees consisted of a single storey based on tree layer (80.6%) without a theme. In addition, the areas of spacial function, concept of planting and structure of plant design in discordance was 3,876㎡: accounts for 55.1% in planting area.
The facility area of Changgol Children's Park (subject III) is made in the area of 5,917㎡ in valley zone and slope zone. It had 0-20 degrees flatland, its gentle slope land accounted for 83.7%, and facing north and facing west subject to shade accounted for 85% and the flatland accounted for 14.2%, which resulted in lack of sunshine. Existing vegetation in the basin zone included 53% of Robinia pseudoacacia while dominant species included Pinus koraiensis, Robinia pseudoacacia, Zelkova serrata and Ginkgo biloba. Accordingly, existing vegetation and dominant species in the subject zone were not equal. A place where trees poorly grew due to lack of water system and sunshine accounted for 25.1%. Nine places went through a scrutiny. According to the result, green coverage accounted for 123.88% and mean index of plant crown volume was 3.53m³/m². Subject III's adjacent feature to forest surroundings allowed for highlighting of buffer function (38.1%) and landscape function (29.0%), but most of planting of trees consisted of a single storey based on tree layer (99.8%). In addition, the areas of spacial function, concept of planting and structure of plant design in discordance was 2,973㎡: accounts for 64.2% in planting area.
For planting plans, a reasonable concept of planting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improvement and spacial functions. Also planting structure models by geographical types-ridge zone, valley zone, and slope zone- similar to subjects were applied. For landscape spac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each tree were considered to create a variety of landscapes by composing a multi-storey structure planting. What was suggested for buffer space in consideration of interior landscape of the space was a multi-storey structure planting of deciduous broadleaf trees with clear length and fine leaves. For buffer zone adjacent to the main forest zone, indigenes were selected to be planted in four layers of herbaceous layer, shrub layer, Subtree layer and tree layer in order. This order of planting design is to prevent the area from disconnecting the main forest zone.
For facility areas in a mountainous park, Choansan Neighborhood Park located in Dobong-gu, Seoul, this study analyzed geographical conditions of the basin zone and the subjects and surveyed spacial function, concept of planting, and planting design with a view to finding spacially discordant locations and places where trees poorly grew. For those inappropriate spaces, this study set planting structure models by geographical type and suggested improvement of landscape to be in harmony with neighboring forests and ecological planting solutions which are ecologically status.
Key word: basin zone, existing vegetation, spacial function, concept of planting, dominant species
For three facility areas early built in Choansan Neighborhood Park in Seoul, this study aimed to survey and analyze topography of facility areas and basin zone, geographical conditions such as water system and existing vegetation, spacial function and concept of planting, and planting design with a view to finding spacially discordant locations and places where trees poorly grow. For inappropriate spaces, this study set planting structure models by solution, concept of planting, and geographical type, and suggested improvement of landscape to be in harmony with neighboring forests and ecological planting solutions which are ecologically status.
The east facility area of Dobong Culture & Information Center (subject I) is made in 13,060㎡ on the ridge zone. It had 0-20 degrees flatland, its gentle slope land accounted for 86.7% and facing north and facing west subject to shade accounted for 62.0%, which resulted in lack of sunshine. Existing vegetation in the basin zone included 46.7% of Robinia pseudoacacia while dominant species included Cornus kousa, Quercus acutissima
Carruth,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Ginkgo biloba and Pinus densiflora.
Accordingly, existing vegetation and dominant species in the basin zone were mostly not equal. A place where trees poorly grew due to affection of water system, sunshine and topography accounted for 39.5%. Nine places went through a scrutiny and the results showed mean green coverage accounted for 50.60% and mean index of plant crown volume was 1.21m³/m². Subject I was mostly composed of landscape space (47.9%), but planting of trees consisted of a single storey based on tree layer (74.7%) without a theme. In addition, the areas of spacial function, concept of planting and structure of plant design in discordance was 3,595㎡: accounts for 35.9% in planting area.
The east facility area of Chang-dong Jugong apartment building 4 (subject II) is made in the area of 8,468㎡ in valley zone and slope zone. It had 0-20 degrees flatland, its gentle slope land accounted for 97.3%, and facing north and facing west subject to shade accounted for 54.2%, which resulted in lack of sunshine. Existing vegetation in the basin zone included 46.7% of Robinia pseudoacacia, 11.3% of Quercus acutissima Carruth and 1.0% of Quercus mongolica while dominant species included Pinus strobus, Prunus armeniaca, Acer palmatum and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Accordingly, existing vegetation and dominant species in the basin zone were not equal. A place where trees poorly grew due to affection of water system and topography accounted for 64.7%. Seven places went through a scrutiny and the results revealed mean green coverage accounted for 38.90% and mean index of plant crown volume was 0.7m³/m².
Subject II needed landscaped space (51.2%) and buffer space (21.8%) more than forest space (10.0%). However, planting of trees consisted of a single storey based on tree layer (80.6%) without a theme. In addition, the areas of spacial function, concept of planting and structure of plant design in discordance was 3,876㎡: accounts for 55.1% in planting area.
The facility area of Changgol Children's Park (subject III) is made in the area of 5,917㎡ in valley zone and slope zone. It had 0-20 degrees flatland, its gentle slope land accounted for 83.7%, and facing north and facing west subject to shade accounted for 85% and the flatland accounted for 14.2%, which resulted in lack of sunshine. Existing vegetation in the basin zone included 53% of Robinia pseudoacacia while dominant species included Pinus koraiensis, Robinia pseudoacacia, Zelkova serrata and Ginkgo biloba. Accordingly, existing vegetation and dominant species in the subject zone were not equal. A place where trees poorly grew due to lack of water system and sunshine accounted for 25.1%. Nine places went through a scrutiny. According to the result, green coverage accounted for 123.88% and mean index of plant crown volume was 3.53m³/m². Subject III's adjacent feature to forest surroundings allowed for highlighting of buffer function (38.1%) and landscape function (29.0%), but most of planting of trees consisted of a single storey based on tree layer (99.8%). In addition, the areas of spacial function, concept of planting and structure of plant design in discordance was 2,973㎡: accounts for 64.2% in planting area.
For planting plans, a reasonable concept of planting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improvement and spacial functions. Also planting structure models by geographical types-ridge zone, valley zone, and slope zone- similar to subjects were applied. For landscape spac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each tree were considered to create a variety of landscapes by composing a multi-storey structure planting. What was suggested for buffer space in consideration of interior landscape of the space was a multi-storey structure planting of deciduous broadleaf trees with clear length and fine leaves. For buffer zone adjacent to the main forest zone, indigenes were selected to be planted in four layers of herbaceous layer, shrub layer, Subtree layer and tree layer in order. This order of planting design is to prevent the area from disconnecting the main forest zone.
For facility areas in a mountainous park, Choansan Neighborhood Park located in Dobong-gu, Seoul, this study analyzed geographical conditions of the basin zone and the subjects and surveyed spacial function, concept of planting, and planting design with a view to finding spacially discordant locations and places where trees poorly grew. For those inappropriate spaces, this study set planting structure models by geographical type and suggested improvement of landscape to be in harmony with neighboring forests and ecological planting solutions which are ecologically status.
Key word: basin zone, existing vegetation, spacial function, concept of planting, dominant speci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