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성폭력범죄자와 일반범죄자의 심리적 특성(충동성, 강간통념, 공감, 고독감, 성격강점)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현재 교정기관에서 실시되고 있는 성폭력범죄자 교정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나아가 재범방지와 건전한 사회복귀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범죄로 형이 확정되어 현재 교정기관에 수용되어 있는 성폭력범죄자와 일반범죄자로, 성폭력 범죄자가 107명, 일반범죄자가 102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충동성척도(Barratt Impulsivity Scale), 강간통념척도(Rape Myth Acceptance Scale), ...
본 연구는 성폭력범죄자와 일반범죄자의 심리적 특성(충동성, 강간통념, 공감, 고독감, 성격강점)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현재 교정기관에서 실시되고 있는 성폭력범죄자 교정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나아가 재범방지와 건전한 사회복귀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범죄로 형이 확정되어 현재 교정기관에 수용되어 있는 성폭력범죄자와 일반범죄자로, 성폭력 범죄자가 107명, 일반범죄자가 102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충동성척도(Barratt Impulsivity Scale), 강간통념척도(Rape Myth Acceptance Scale), 공감척도, UCLA고독감 척도(UCLA Loneliness Scale), 성격강점검사(Character Strengths 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폭력범죄자의 심리적 요인간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충동성과 강간통념, 충동성과 고독, 강간통념과 고독, 공감과 성격강점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충동성과 공감, 충동성과 성격강점, 강간통념과 성격강점, 공감과 고독, 고독과 성격강점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범죄자의 심리적 요인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충동성과 강간통념, 충동성과 고독, 공감과 성격강점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충동성과 공감, 충동성과 성격강점, 강간통념과 성격강점, 공감과 고독, 고독과 성격강점(인간애, 절제)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폭력범죄자와 일반범죄자의 심리적 특성의 차이 연구에서는 강간통념의 총점에 있어서 성폭력범죄자 집단이 일반범죄자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하위척도인 피해자 성경험, 음란성과 강간에 대한 허위조작, 이성행동에 대한 오해 부분에 있어서도 성폭력범죄자들이 일반범죄자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격강점 연구에 있어서는 인간애 전체와 인간애 하위영역 중 사랑과 사회지능에서 성폭력범죄자 집단이 일반범죄자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지금까지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연구는 특정시점에 대한 심리적 특성 연구에 대한 연구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성폭력범죄자들의 재범 예방을 위해서 한 개인에 대한 사건 종단적 연구(재판전 단계, 형 확정으로 인한 교정시설 수용, 출소 이후)를 통한 심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성폭력범죄자와 일반범죄자의 심리적 특성(충동성, 강간통념, 공감, 고독감, 성격강점)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현재 교정기관에서 실시되고 있는 성폭력범죄자 교정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나아가 재범방지와 건전한 사회복귀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범죄로 형이 확정되어 현재 교정기관에 수용되어 있는 성폭력범죄자와 일반범죄자로, 성폭력 범죄자가 107명, 일반범죄자가 102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충동성척도(Barratt Impulsivity Scale), 강간통념척도(Rape Myth Acceptance Scale), 공감척도, UCLA고독감 척도(UCLA Loneliness Scale), 성격강점검사(Character Strengths 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폭력범죄자의 심리적 요인간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충동성과 강간통념, 충동성과 고독, 강간통념과 고독, 공감과 성격강점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충동성과 공감, 충동성과 성격강점, 강간통념과 성격강점, 공감과 고독, 고독과 성격강점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범죄자의 심리적 요인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충동성과 강간통념, 충동성과 고독, 공감과 성격강점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충동성과 공감, 충동성과 성격강점, 강간통념과 성격강점, 공감과 고독, 고독과 성격강점(인간애, 절제)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폭력범죄자와 일반범죄자의 심리적 특성의 차이 연구에서는 강간통념의 총점에 있어서 성폭력범죄자 집단이 일반범죄자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하위척도인 피해자 성경험, 음란성과 강간에 대한 허위조작, 이성행동에 대한 오해 부분에 있어서도 성폭력범죄자들이 일반범죄자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격강점 연구에 있어서는 인간애 전체와 인간애 하위영역 중 사랑과 사회지능에서 성폭력범죄자 집단이 일반범죄자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지금까지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연구는 특정시점에 대한 심리적 특성 연구에 대한 연구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성폭력범죄자들의 재범 예방을 위해서 한 개인에 대한 사건 종단적 연구(재판전 단계, 형 확정으로 인한 교정시설 수용, 출소 이후)를 통한 심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