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범죄예측에서의 데이터마이닝 적용 가능성 연구 : 절도범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Data Mining for Crime Prediction : Focusing on Burglary 원문보기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19 no.12, 2014년, pp.309 - 317  

방승환 (포항공과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김태훈 (포항공과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조현보 (포항공과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범죄가 증가함에 따라 범죄를 예측하고 예방하는 것은 사회의 중요한 이슈이며 정부 및 지자체는 다양한 방법론을 활용하여 범죄를 사전에 막고자 노력하고 있다. 데이터마이닝은 범죄예측 및 예방에 활용되는 대표적인 방법론이며, 범죄 패턴 분석, 범죄 발생 예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마이닝의 결과가 범죄학에서의 범죄 환경요소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혹은, 사건해결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범죄학에서 범죄의 발생과 범죄 환경요소들의 상호 관련성을 보이고 범죄 발생과 관련된 환경요소와 데이터마이닝에 활용되는 변수 간의 관계를 정의하고자 하였다. 또한, 국내 보호관찰소에서 보관되고 있는 절도범죄 데이터를 사용하여 실제로 데이터마이닝의 결과가 범죄 환경요소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보이기 위해 군집분석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각 군집별로 범죄가 발생하는 환경에 차이가 있었으며, 이를 활용하여 데이터마이닝이 범죄학관점에서 범죄 예측 및 예방 활용에 유의미함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crime prediction and prevention are the most important social issues, and global and local governments have tried to prevent crime using various methodologies. One of the methodologies, data mining can be applied at various crime fields such as crime pattern analysis, crime prediction, et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관성분석을 통해 범행 특징간의 관계를 분석할 수 있으며 분류분석을 통해 새로운 범죄의 유형을 분류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장에서는 군집분석을 통해 주위 환경 및 시공간적 요소와 범죄 특성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데이터마이닝의 결과가 갖는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는 범죄예측에 활용되고 있는 데이터마이닝이 실제로 범죄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보고,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범죄학에서의 범죄 발생을 위한 구성 요소와 데이터마이닝에 활용되는 변수를 비교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범죄예측에서 데이터마이닝을 활용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그러나 데이터마이닝에서 활용되는 변수와 범죄 환경요소 간의 관계를 체계적인 방법론을 활용하여 보이지 못한 점에 한계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데이터마이닝이 범죄 환경요소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보이기 위해 어떤 분석법을 적용하였는가?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범죄학에서 범죄의 발생과 범죄 환경요소들의 상호 관련성을 보이고 범죄 발생과 관련된 환경요소와 데이터마이닝에 활용되는 변수 간의 관계를 정의하고자 하였다. 또한, 국내 보호관찰소에서 보관되고 있는 절도범죄 데이터를 사용하여 실제로 데이터마이닝의 결과가 범죄 환경요소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보이기 위해 군집분석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각 군집별로 범죄가 발생하는 환경에 차이가 있었으며, 이를 활용하여 데이터마이닝이 범죄학관점에서 범죄 예측 및 예방 활용에 유의미함을 보였다.
데이터마이닝은 어디에 활용되는 대표적인 방법론인가? 최근, 범죄가 증가함에 따라 범죄를 예측하고 예방하는 것은 사회의 중요한 이슈이며 정부 및 지자체는 다양한 방법론을 활용하여 범죄를 사전에 막고자 노력하고 있다. 데이터마이닝은 범죄예측 및 예방에 활용되는 대표적인 방법론이며, 범죄 패턴 분석, 범죄 발생 예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마이닝의 결과가 범죄학에서의 범죄 환경요소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혹은, 사건해결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데이터마이닝의 파급효과는 무엇인가? 데이터마이닝은 일반적으로 방대한 양의 데이터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기존에 모르던 새로운 정보를 발견할 수 있으며 사건 해결을 위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데이터마이닝에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의 종류는 일반적으로 시공간 요소, 범죄 환경요소 및 가해자 프로파일로 구분되며[7], 어떤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적용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특성의 정보(범죄 지역 특징, 가해자의 행동 정보 등)를 얻을 수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 Shu, A. Hampapur, M. Lu, L. Brown, J. Connell, A. Senior, and Y. Tian, "IBM Smart Surveillance System(S3): A Open and Extensible Framework for Event based Surveillance," IEEE Conference on Advanced Video and Signal Based Surveillance, pp. 318-323, Como, Italy, September 2005. 

  2. S. Chainey, L. Tompson, and S. Uhlig, "The Utility of Hotspot Mapping for Predicting Spatial Patterns of Crime," Security Journal, Vol. 21, pp. 4-28, February 2008. 

  3. D. Brown, and R. Oxford, "Data Mining Time Series with Applications to Crime Analysis,"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s, Man, and Cybernetics, Vol. 3, pp. 1453-1459, Tucson, USA, October 2001. 

  4. S. Nath, "Advances and Innovation in Systems, Computing Science and Software Engineering," Springer, pp. 405-409, 2007. 

  5. H. Chen, W. Chung, J. Xu, G. Wang, Y. Qin, and M. Chau, "Crime Data Mining: A General Framework and Some Examples," Computer, Vol. 37, No. 4, pp. 50-56, April 2004. 

  6. V. Grover, R. Adderley, and M. Bramer, "Applications and Innovations in Intelligent Systems XIV," Springer London, pp. 233-237, 2007. 

  7. M. Keyvanpour, M. Javideh, and M. Ebrahimi, "Detecting and Investigating Crime by Means of Data Mining: A General Crime Matching Framework," Procedia Computer Science, Vol. 3, pp. 872-880, February 2011. 

  8. P. Thongatae, and S. Srisuk, "An Analysis of Data Mining Application in Crime Domain,"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and Information Technology Workshops, pp. 122-126, Sydney, Australia, July 2008. 

  9. L. Cohen, and M. Felson, "Social Change and Crime Rate Trends: A Route Activity Approach,"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 44, No. 4, pp. 588-608, August 1979. 

  10. M. Felson, and R. Clarke, "Opportunity Makes the Thief: Practical Theory for Crime Prevention," Police Research Series Paper 98, Home Office, pp. 4-8, 1998. 

  11. P. Brantingham, and P. Brantingham, "Environmental Criminology," Wavelend Press Inc, pp. 27-54, 1991. 

  12. A. Buczak, and C. Gifford, "Fuzzy Association Rule Mining for Community Crime Pattern Discovery," ACM SIGKDD Workshops on Intelligence and Security Informatics Article, No. 2, New York, USA, July 2010. 

  13. D. Dzemydiene, and V. Rudzkien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Crime Pattern Warehouse for Decision Support," Proceedings of the 1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atabase and Expert Systems Applications, pp. 249-258, Aix-en-Provence, France, September 2002. 

  14. V. Ng, S. Chan, D. Lau, and C. Ying, "Incremental Mining for Temporal Association Rules for Crime Pattern Discoveries," Proceedings of the Eighteenth Conference on Australasian database, Vol. 63, pp. 123-132, Darlinghurst, Australia, March 2007. 

  15. B. R. Mednick, R. L. Baker, and L. E. Carothers, "Patterns of Family Instability and Crime: The Association of Timing of the Family's Disruption with Subsequent Adolescent and Young Adult Criminality",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 19, No. 3, June 1990. 

  16. H. Liu and D. E. Brown, "Criminal Incident Prediction Using a Point-pattern-based Density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Forecasting, Vol. 19, No. 4, pp. 603-622, December 2003. 

  17. T. Nakaya, and K. Yano, "Visualising Crime Clusters in a Space-time Cube: An Exploratory Data-analysis Approach Using Space-time Kernel Density Estimation and Scan Statistics," Transaction in GIS, Vol. 14, No. 3, pp. 223-239, June 2010. 

  18. B. Chandra, M. Gupta, and M. Gupta, "A Multivariate Time Series Clustering Approach for Crime Trends Prediction,"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s, Man and Cybernetics, pp. 892-896, Singapore, October 2008. 

  19. M. Carglia, R. Haining, and P. Wiles, "A Comparative Evaluation of Approaches to Urban Crime Pattern Analysis", Urban Studies, Vol. 37, No. 4, pp. 711-729, April 2000. 

  20. R. Jamieson, L. Land, D. Winchester, G. Stephens, A. Steel, A. Maurushat, and R. Sarre, "Addressing Identity Crime in Crim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Definitions, classification, and empirics," Computer Law & Security Review, Vol. 28, No. 4, pp. 381-395, August 2012. 

  21. A. Nasridinov, S. Ihm, and Y. Park, "Information Technology Convergence," Springer Netherlands, Vol. 253, pp. 531-538, 2013. 

  22. D. M. Gottfredson, "Prediction and Classification in Criminal Justice Decision Making", Crime and Justice, Vol. 9, pp. 1-20, 1987. 

  23. J. E. Douglas, R. K. Ressler, and C. R. Hartman, "Criminal Profiling from Crime Scene Analysis", Behavioral Science and the Law, Vol. 4, No. 4, pp. 401-421, Autumn 198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