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비만 남성의 감초추출물 섭취가 지구성 운동 시 지방 산화율과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glabridin intake of male with obesity upon fat oxidation rate and insulin resistance in endurance exercises원문보기
목적 : 본 연구는 비만 남성의 감초추출물 섭취가 지구성 운동 시 지방 산화율과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방법 : 연구대상은 체지방율 25%이상인 비만 남자 대학생 (n=8)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는 10일간 하루 3회 (3)캡슐씩 감초추출물을 처치하였고, 섭취전과 10일 후에는 지구성 운동 (트레드밀, 6km/h, 60min)을 실시하였다. 혈액은 2회 (섭취전, 10일후) 채취하였고, 운동전, 운동 후 30분, 60분, 회복기 30분, 60분에 혈액 채취하였다. 섭취 5일 후에는 ...
목적 : 본 연구는 비만 남성의 감초추출물 섭취가 지구성 운동 시 지방 산화율과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방법 : 연구대상은 체지방율 25%이상인 비만 남자 대학생 (n=8)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는 10일간 하루 3회 (3)캡슐씩 감초추출물을 처치하였고, 섭취전과 10일 후에는 지구성 운동 (트레드밀, 6km/h, 60min)을 실시하였다. 혈액은 2회 (섭취전, 10일후) 채취하였고, 운동전, 운동 후 30분, 60분, 회복기 30분, 60분에 혈액 채취하였다. 섭취 5일 후에는 경구당부하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채취한 혈액은 혈당, 인슐린, 항산화 효소를 분석하였고, 에너지 산화율은 호흡가스분석기 (MAX-2)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호흡교환율은 두처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과 탄수화물 산화율은 처치 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처처 내에서는 운동전과 비교하여 운동 후 지방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p<.05), 탄수화물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5). 공복시 혈당과 인슐린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구당부하검사시 혈당과 인슐린은 10일 섭취 후 두처치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효소는 감초 섭취 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감초 추출물 (glabridin) 섭취는 지구성 운동 시 지방 산화율과 인슐린 저항성, 항산화 효소 활성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5일간 감초추출물 섭취 후 경구당부하검사에서는 혈당과 인슐린이 감소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그러므로, 추후 감초성분, 함량, 투여기간 등을 고려한 연구과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적 : 본 연구는 비만 남성의 감초추출물 섭취가 지구성 운동 시 지방 산화율과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방법 : 연구대상은 체지방율 25%이상인 비만 남자 대학생 (n=8)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는 10일간 하루 3회 (3)캡슐씩 감초추출물을 처치하였고, 섭취전과 10일 후에는 지구성 운동 (트레드밀, 6km/h, 60min)을 실시하였다. 혈액은 2회 (섭취전, 10일후) 채취하였고, 운동전, 운동 후 30분, 60분, 회복기 30분, 60분에 혈액 채취하였다. 섭취 5일 후에는 경구당부하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채취한 혈액은 혈당, 인슐린, 항산화 효소를 분석하였고, 에너지 산화율은 호흡가스분석기 (MAX-2)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호흡교환율은 두처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과 탄수화물 산화율은 처치 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처처 내에서는 운동전과 비교하여 운동 후 지방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p<.05), 탄수화물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5). 공복시 혈당과 인슐린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구당부하검사시 혈당과 인슐린은 10일 섭취 후 두처치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효소는 감초 섭취 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감초 추출물 (glabridin) 섭취는 지구성 운동 시 지방 산화율과 인슐린 저항성, 항산화 효소 활성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5일간 감초추출물 섭취 후 경구당부하검사에서는 혈당과 인슐린이 감소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그러므로, 추후 감초성분, 함량, 투여기간 등을 고려한 연구과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glabridin intake of obesity upon fat oxidation rate and insulin resistance in endurance exercises. METHOD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obesity 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over 25% of body fat (n=8). They were treated to take glabridin for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glabridin intake of obesity upon fat oxidation rate and insulin resistance in endurance exercises. METHOD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obesity 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over 25% of body fat (n=8). They were treated to take glabridin for 10 days with 3 capsules for 3 times per day. Before the intake and after 10 days, endurance exercise (treadmill walking, 6km/h, 60min) was performed. Blood was taken twice (before intake and after 10 days) with before exercise, 30 min and 60 min after exercise and 30 min and 60 min at the period of recovery. After 5 days of intak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was taken. The collected blood was analyzed for its plasma glucose, insulin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The energy oxidation rate was measured by using respiratory gas analyzer (MAX-2 Fitio Co., U.S.A). RESULTS: Respiratory exchange ratio (RER)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o two treatmen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fat and carbohydrate oxidation rate, but fat was significantly low after the exercise (p<.05) and carbohydrate was significantly high after endurance exercise (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asting plasma glucose and insuli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in plasma glucose and insulin in OGTT for 5 days intake. SOD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the intake of glabridin. CONCLUSIONS: The intake of glabridin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fat oxidation rate, insulin resistance and SOD in endurance exercise. However, there was a tendency of plasma and insulin reduction in OGTT 5 days after the intake of glabridin.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take a further study to consider ingredients of glabridin, contents and intake duration.
PURPOSE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glabridin intake of obesity upon fat oxidation rate and insulin resistance in endurance exercises. METHOD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obesity 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over 25% of body fat (n=8). They were treated to take glabridin for 10 days with 3 capsules for 3 times per day. Before the intake and after 10 days, endurance exercise (treadmill walking, 6km/h, 60min) was performed. Blood was taken twice (before intake and after 10 days) with before exercise, 30 min and 60 min after exercise and 30 min and 60 min at the period of recovery. After 5 days of intak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was taken. The collected blood was analyzed for its plasma glucose, insulin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The energy oxidation rate was measured by using respiratory gas analyzer (MAX-2 Fitio Co., U.S.A). RESULTS: Respiratory exchange ratio (RER)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o two treatmen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fat and carbohydrate oxidation rate, but fat was significantly low after the exercise (p<.05) and carbohydrate was significantly high after endurance exercise (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asting plasma glucose and insuli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in plasma glucose and insulin in OGTT for 5 days intake. SOD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the intake of glabridin. CONCLUSIONS: The intake of glabridin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fat oxidation rate, insulin resistance and SOD in endurance exercise. However, there was a tendency of plasma and insulin reduction in OGTT 5 days after the intake of glabridin.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take a further study to consider ingredients of glabridin, contents and intake dur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