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화 문화재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작품의 열화를 피할 수 없지만 이것을 지연시키거나 복원할 수 있는 보존수복 기법이 필요하다. 그런데 작품의 손상 원인은 물리적인 측면보다는 안료와 바탕재의 성질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즉 작품의 화면에 사용되었던 안료 상태의 문제가 관건이다. 백색안료는 작품의 바탕재로나 다른 안료와 혼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그 최초 안료에 대한 전문 지식과 기술적 이해가 매우 중요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백색안료의 성질을 분석, 파악함으로써 사용상 유의할 점을 정리하였다. 그것은 사료연구와 실험연구를 통하여 문화재의 바탕재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온 ...
회화 문화재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작품의 열화를 피할 수 없지만 이것을 지연시키거나 복원할 수 있는 보존수복 기법이 필요하다. 그런데 작품의 손상 원인은 물리적인 측면보다는 안료와 바탕재의 성질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즉 작품의 화면에 사용되었던 안료 상태의 문제가 관건이다. 백색안료는 작품의 바탕재로나 다른 안료와 혼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그 최초 안료에 대한 전문 지식과 기술적 이해가 매우 중요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백색안료의 성질을 분석, 파악함으로써 사용상 유의할 점을 정리하였다. 그것은 사료연구와 실험연구를 통하여 문화재의 바탕재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온 호분, 백악, 고령토의 특성, 그리고 채색안료와의 관계성 등을 고찰한 것이다. 전통한지, 목판, 비단, 삼베, 황토벽, 회벽을 실험군으로 정하고, 여기에 각각 호분, 백악, 고령토를 채색한 후, 백색안료의 특성을 알아본 것이다. 또한 채색안료를 각각 무기안료와 유기안료로 구분하여 채색함으로써 발현되는 색감 및 질감을 도표로 분석하였다. 바탕 표면에 백색안료를 채색했을 때, 입자가 가장 고르게 분포된 것은 고령토, 호분, 백악의 순이었으며, 백색의 명도가 가장 선명하게 발현된 것은 백악, 호분, 고령토의 순이었다. 질감에서는 호분이 화면에서 고르게 안착되었으며, 백악은 단단하게 굳어져 둔탁하거나 무거운 느낌을 보였다. 그리고 고령토는 입자가 매끄럽게 안착되지만 채색 층이 얇아 백악에 비해 가볍다는 느낌을 주었다. 무기안료를 백색안료의 표면에 채색했을 때, 은폐력, 균등한 착색력, 그리고 채색안료의 선명도가 두드러지는 안료는 백악과 호분이다. 반면에 고령토는 물과 혼합되면 쉽게 침착이 되고 아교 용액도 빠르게 흡수하기 때문에 무기안료와의 고착이 불안정해지는 단점이 있다. 백악 바탕에 채색한 유기안료는 무기안료보다 은폐력과 착색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안료의 밀림현상이 두드러졌다. 유기안료를 백색안료의 표면에 덧칠했을 때, 백악 바탕에 채색된 유기안료의 밀림현상이 보이는 것으로 볼 때, 백악 바탕에서 유기안료는 무기안료보다 은폐력과 착색력이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따라서 호분은 바탕 도료 및 유 ․ 무기안료와의 사용에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백악은 무기안료와의 사용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백악은 흡착력이 강한 체질안료 이므로 무기안료와 사용시 유기안료보다 아교의 농도와 양을 묽고 적게 사용해야 한다. 반대로 고령토를 무기안료에 사용할 경우 화면에의 고착을 위해서는 아교의 농도와 양이 유기안료보다 진하고 많이 사용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바탕 표면 위에서 착색력과 은폐력이 뛰어난 백색안료는 호분이며, 안정적인 접착력의 경우에는 고령토의 사용이 알맞다는 것을 이번 실험을 통해 확인 하였다. 채색안료의 높은 선명도를 위해서는 백악의 사용이 적절하다는 것도 이번 실험 결과의 성과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백악과 고령토를 아교 용액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덩어리와 기공이 생기는 것에 유의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적정한 양의 물의 혼합이 필요하다. 체질안료로써 백색안료를 사용할 때는 물론, 보존을 위해서 습기가 많은 곳은 피하는 것이 좋다. 이번 실험으로 도출된 연구결과는 장차 우리나라의 벽화, 단청, 불화 등 다양한 문화재 복원 및 회화작품의 창작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백색안료 및 채색안료 사용법에 있어서 제기될 수 있는 표현상의 기술적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의 하나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회화 문화재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작품의 열화를 피할 수 없지만 이것을 지연시키거나 복원할 수 있는 보존수복 기법이 필요하다. 그런데 작품의 손상 원인은 물리적인 측면보다는 안료와 바탕재의 성질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즉 작품의 화면에 사용되었던 안료 상태의 문제가 관건이다. 백색안료는 작품의 바탕재로나 다른 안료와 혼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그 최초 안료에 대한 전문 지식과 기술적 이해가 매우 중요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백색안료의 성질을 분석, 파악함으로써 사용상 유의할 점을 정리하였다. 그것은 사료연구와 실험연구를 통하여 문화재의 바탕재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온 호분, 백악, 고령토의 특성, 그리고 채색안료와의 관계성 등을 고찰한 것이다. 전통한지, 목판, 비단, 삼베, 황토벽, 회벽을 실험군으로 정하고, 여기에 각각 호분, 백악, 고령토를 채색한 후, 백색안료의 특성을 알아본 것이다. 또한 채색안료를 각각 무기안료와 유기안료로 구분하여 채색함으로써 발현되는 색감 및 질감을 도표로 분석하였다. 바탕 표면에 백색안료를 채색했을 때, 입자가 가장 고르게 분포된 것은 고령토, 호분, 백악의 순이었으며, 백색의 명도가 가장 선명하게 발현된 것은 백악, 호분, 고령토의 순이었다. 질감에서는 호분이 화면에서 고르게 안착되었으며, 백악은 단단하게 굳어져 둔탁하거나 무거운 느낌을 보였다. 그리고 고령토는 입자가 매끄럽게 안착되지만 채색 층이 얇아 백악에 비해 가볍다는 느낌을 주었다. 무기안료를 백색안료의 표면에 채색했을 때, 은폐력, 균등한 착색력, 그리고 채색안료의 선명도가 두드러지는 안료는 백악과 호분이다. 반면에 고령토는 물과 혼합되면 쉽게 침착이 되고 아교 용액도 빠르게 흡수하기 때문에 무기안료와의 고착이 불안정해지는 단점이 있다. 백악 바탕에 채색한 유기안료는 무기안료보다 은폐력과 착색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안료의 밀림현상이 두드러졌다. 유기안료를 백색안료의 표면에 덧칠했을 때, 백악 바탕에 채색된 유기안료의 밀림현상이 보이는 것으로 볼 때, 백악 바탕에서 유기안료는 무기안료보다 은폐력과 착색력이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따라서 호분은 바탕 도료 및 유 ․ 무기안료와의 사용에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백악은 무기안료와의 사용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백악은 흡착력이 강한 체질안료 이므로 무기안료와 사용시 유기안료보다 아교의 농도와 양을 묽고 적게 사용해야 한다. 반대로 고령토를 무기안료에 사용할 경우 화면에의 고착을 위해서는 아교의 농도와 양이 유기안료보다 진하고 많이 사용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바탕 표면 위에서 착색력과 은폐력이 뛰어난 백색안료는 호분이며, 안정적인 접착력의 경우에는 고령토의 사용이 알맞다는 것을 이번 실험을 통해 확인 하였다. 채색안료의 높은 선명도를 위해서는 백악의 사용이 적절하다는 것도 이번 실험 결과의 성과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백악과 고령토를 아교 용액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덩어리와 기공이 생기는 것에 유의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적정한 양의 물의 혼합이 필요하다. 체질안료로써 백색안료를 사용할 때는 물론, 보존을 위해서 습기가 많은 곳은 피하는 것이 좋다. 이번 실험으로 도출된 연구결과는 장차 우리나라의 벽화, 단청, 불화 등 다양한 문화재 복원 및 회화작품의 창작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백색안료 및 채색안료 사용법에 있어서 제기될 수 있는 표현상의 기술적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의 하나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National Treasures such as oriental paintings by ages cannot prevent from their deterioration so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or improve techniques to deter or repair it. The reason of their damage is mostly caused not by their physical aspect, but by the character of pigment and base material. N...
National Treasures such as oriental paintings by ages cannot prevent from their deterioration so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or improve techniques to deter or repair it. The reason of their damage is mostly caused not by their physical aspect, but by the character of pigment and base material. Namely, it is the problem of the state of pigments used on the surface of paintings. White pigment is used as base material or mingled with other pigments, and thus understanding of its original pigment is more significant. In this paper, I summarized some cautions in using white pigment by analyzing and grasping its character. It is executed with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on the characters of Oyster Shell White, Chalk, Kaolin, and their relationship with coloring pigments widely used as base material of National Treasures from the ancient times. I placed traditional Korean paper, wooden plate, silk, hemp, ocher wall, and lime wall as experimental group, and I attempted to know the character of white pigment after painting Oyster Shell White, Chalk, Kaolin on them respectively. And I analyzed the impression of color and texture with signposts by dividing coloring pigments into inorganic and organic pigments and painting them. In case of painting white pigment on the base surface, the most even-layer distribution of grains was Kaolin, Oyster Shell White, and Chalk in order, and the most vivid manifestation of white color in brightness was Chalk, Oyster Shell White, Kaolin in order. As for texture, Oyster Shell White was evenly settled down on the surface, and Chalk became harder and revealed a sense of dullness or weightiness. And the grains of Kaolin were settled down smoothly, but felt lighter than that of Chalk owing to its thin painted layer. In case of painting inorganic pigments on the surface of white pigment, Chalk and Oyster Shell White were noteworthy in concealing power, even coloring power, and vividness of coloring paintings. On the contrary, Kaolin became hard when mixed with water, and absorbed glue solution, and so it has a weak-point to isolate only inorganic pigments from it. Organic pigment painted on Chalk falls short of concealing power and coloring power than inorganic pigment so that it appeared a lot of sliding effects on the surface of Chalk. Kaolin and Chalk, reacting according to inorganic and organic pigments, when is mixed with water, became hard in common. In this case, Kaolin itself is not dissolved, but Chalk is dissolved automatically. Thus Chalk as extender pigment with strong adsorptive power, and when using with inorganic pigment, we have to use thinner in concentration and slight amount in quantity of glue than those of organic pigment. On the contrary, when using Kaolin with inorganic pigment, it must be thicker in concentration and more amount of quantity of glue than those of organic pigment in order to settle down on the surface. In closing, it is Oyster Shell White which excels in the degree of distribution and stickiness on the base surface, and it is Kaolin which suits the stable stickiness. Another result of this experiment would be that it is proper to use Chalk for a higher vividness of coloring pigments. One hand, when using a mixed solution of Chalk and Kaolin with glue, it is required to pay attention to engender massiveness and pores for their even distribution of water, in particular, which implies to mix with a desirous amount of water. When using Chalk as extender pigment, it is required to evade humid places for its preservation. The result acquired from this research will serve as a touchstone for alternatives of the problems being able to be posed in the usage of white and coloring pigments inevitably used in the repairing process of various National Treasures and creative process of oriental paintings such as wall paintings, pictures of many colors and designs, Buddhist paintings, etc. in our country in the coming future.
National Treasures such as oriental paintings by ages cannot prevent from their deterioration so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or improve techniques to deter or repair it. The reason of their damage is mostly caused not by their physical aspect, but by the character of pigment and base material. Namely, it is the problem of the state of pigments used on the surface of paintings. White pigment is used as base material or mingled with other pigments, and thus understanding of its original pigment is more significant. In this paper, I summarized some cautions in using white pigment by analyzing and grasping its character. It is executed with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on the characters of Oyster Shell White, Chalk, Kaolin, and their relationship with coloring pigments widely used as base material of National Treasures from the ancient times. I placed traditional Korean paper, wooden plate, silk, hemp, ocher wall, and lime wall as experimental group, and I attempted to know the character of white pigment after painting Oyster Shell White, Chalk, Kaolin on them respectively. And I analyzed the impression of color and texture with signposts by dividing coloring pigments into inorganic and organic pigments and painting them. In case of painting white pigment on the base surface, the most even-layer distribution of grains was Kaolin, Oyster Shell White, and Chalk in order, and the most vivid manifestation of white color in brightness was Chalk, Oyster Shell White, Kaolin in order. As for texture, Oyster Shell White was evenly settled down on the surface, and Chalk became harder and revealed a sense of dullness or weightiness. And the grains of Kaolin were settled down smoothly, but felt lighter than that of Chalk owing to its thin painted layer. In case of painting inorganic pigments on the surface of white pigment, Chalk and Oyster Shell White were noteworthy in concealing power, even coloring power, and vividness of coloring paintings. On the contrary, Kaolin became hard when mixed with water, and absorbed glue solution, and so it has a weak-point to isolate only inorganic pigments from it. Organic pigment painted on Chalk falls short of concealing power and coloring power than inorganic pigment so that it appeared a lot of sliding effects on the surface of Chalk. Kaolin and Chalk, reacting according to inorganic and organic pigments, when is mixed with water, became hard in common. In this case, Kaolin itself is not dissolved, but Chalk is dissolved automatically. Thus Chalk as extender pigment with strong adsorptive power, and when using with inorganic pigment, we have to use thinner in concentration and slight amount in quantity of glue than those of organic pigment. On the contrary, when using Kaolin with inorganic pigment, it must be thicker in concentration and more amount of quantity of glue than those of organic pigment in order to settle down on the surface. In closing, it is Oyster Shell White which excels in the degree of distribution and stickiness on the base surface, and it is Kaolin which suits the stable stickiness. Another result of this experiment would be that it is proper to use Chalk for a higher vividness of coloring pigments. One hand, when using a mixed solution of Chalk and Kaolin with glue, it is required to pay attention to engender massiveness and pores for their even distribution of water, in particular, which implies to mix with a desirous amount of water. When using Chalk as extender pigment, it is required to evade humid places for its preservation. The result acquired from this research will serve as a touchstone for alternatives of the problems being able to be posed in the usage of white and coloring pigments inevitably used in the repairing process of various National Treasures and creative process of oriental paintings such as wall paintings, pictures of many colors and designs, Buddhist paintings, etc. in our country in the coming futur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