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과‘움직임’이 하나 된 배우의‘몸’이 다른‘몸’과 서로 만나‘교감’을 하며‘앙상블’을 이루는 것이 본 연구에서 말하는‘무대화술’이며 배우들이 훈련해야할 무대화술의 궁극적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배우가 습득해야할 무대화술 요소들의 이론적 배경과 방법론을 연구하며, 또한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되 공연연습 과정을 통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연극현장이나 교육현장에서 배우의 무대화술은 언제나 중요한 화두이다. 중요성은 인식하지만 예전의 방법을 그대로 답습하거나 아직까지 과학적이고 실증적인 연구는 걸음마 단계이다...
‘말’과‘움직임’이 하나 된 배우의‘몸’이 다른‘몸’과 서로 만나‘교감’을 하며‘앙상블’을 이루는 것이 본 연구에서 말하는‘무대화술’이며 배우들이 훈련해야할 무대화술의 궁극적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배우가 습득해야할 무대화술 요소들의 이론적 배경과 방법론을 연구하며, 또한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되 공연연습 과정을 통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연극현장이나 교육현장에서 배우의 무대화술은 언제나 중요한 화두이다. 중요성은 인식하지만 예전의 방법을 그대로 답습하거나 아직까지 과학적이고 실증적인 연구는 걸음마 단계이다. 혹자는‘신체훈련’의 연구와 비교해‘무대화술’은 오히려 퇴보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언어를 배제한 신체훈련은 나라마다 특성이 존재하지 않는 까닭에 외국의 연구사례들을 그대로 반영해도 우리나라 현실에 크게 다르지 않다. 하지만 무대화술은 나라마다 사용하는 언어가 다르므로 신체훈련 연구에 비해 외국의 연구사례들을 그대로 반영할 수 없다. 그래서 무대화술에 관한 외국의 선행 연구 자료들은 재검토의 과정을 겪은 후 비판적으로 수용해야만 한다. 또한 무대화술은 이론적 한계를 넘어서 실제 공연에 적용될 수 있는 실증적 연구와 경험이 뒷받침 되어져야만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어려움 또한 무대화술의 연구를 더디게 하는 원인이기도 하다.
무대화술은‘대화체’중심의 대사이다. 대화체임에도 불구하고 실제 교육현장이나 훈련과정에서는‘독백 훈련’위주로 시작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심한 경우는 독백훈련이 무대화술의 유일한 교육 과정이기도 하다. 이것은 초보연기자들로 하여금 무대화술에 대한 인식을 상대배우와 같이 호흡하고 교감하는 연기훈련방법이 아니라, 배역에 대한 자기중심적 사고를 심어주어 상대배우와의 교감보다는 혼자 훈련해야 하는 연기훈련방법으로 오인하게 만들고, 이런 결과는 공연연습과정에서 상대배우와의 교감을 중시하지 않는 자기중심적 연기스타일로 나온다. 더욱이 독백훈련 위주의 교육은 텍스트에 대한 분석조차 자기중심적으로 하게 되어 상대배우와의 ‘앙상블 연기’는 애초에 기대할 수 없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기초적인 무대화술의 첫 단계에서부터 무대화술은 홀로 훈련하는‘독백 연기’에서 벗어나 상대배우와 함께 교감하는‘앙상블 연기’를 위해 유기적으로 통일되어 교육되고 훈련되어져야만 한다. 무대화술의 유기적인 통일은 연습의 마지막이 아니라 첫 단계에서부터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개요에서, 첫 번째로 무대화술을 논하기에 앞서 공연에서 앙상블의 중요성을 되짚어보며, 앙상블 연기에 대한 논의를 먼저 한다. 그리고 앙상블 연기를 단계별로 배우자신, 배우와 배우, 배우와 관객, 이렇게 3단계로 나누면서 논의의 깊이를 더 하기로 한다. 두 번째로 무대화술에서는 무대화술의 변천과 현재의 무대화술 교육의 문제점을 고찰한 후 앙상블 연기를 위한 무대화술의 중요성을 논하고자 한다.
본론에서는, 세부분류로서 호흡, 발성, 끊어 말하기, 띄어 말하기, 휴지, 템포와 리듬, 억양, 어조, 감정 등과 같은 말하기 위주의 무대화술의 요소로서 분류하지 않는다. 이것은 기존의 무대화술의 분류방법으로는 공연을 위한 전체 연기연습 전반에 걸쳐 무대화술이 얼마나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며, 어떻게 훈련되어져야만 실제 공연에 효과적인지에 대한 실증적 검토를 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이지 않다는 결론 때문이다. 본 연구는 실제 공연 연습과정과 유사한 세부분류를 따른다. 이런 관점에서 세부분류를‘워밍업, 공간, 상상력, 듣기, 충동과 호흡, 움직임, 즉흥, 반복’으로 분류하고 이에 대해 논의한다.
이와 같은 본 연구로 인해, 무대화술이 자기중심적인 태도의‘혼잣말’이나 텍스트 중심의‘글말’에서 벗어나 상대배우와의‘앙상블 연기’를 통해 살아있는‘소리말’로 관객의‘몸’에 감동을 전달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말’과‘움직임’이 하나 된 배우의‘몸’이 다른‘몸’과 서로 만나‘교감’을 하며‘앙상블’을 이루는 것이 본 연구에서 말하는‘무대화술’이며 배우들이 훈련해야할 무대화술의 궁극적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배우가 습득해야할 무대화술 요소들의 이론적 배경과 방법론을 연구하며, 또한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되 공연연습 과정을 통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연극현장이나 교육현장에서 배우의 무대화술은 언제나 중요한 화두이다. 중요성은 인식하지만 예전의 방법을 그대로 답습하거나 아직까지 과학적이고 실증적인 연구는 걸음마 단계이다. 혹자는‘신체훈련’의 연구와 비교해‘무대화술’은 오히려 퇴보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언어를 배제한 신체훈련은 나라마다 특성이 존재하지 않는 까닭에 외국의 연구사례들을 그대로 반영해도 우리나라 현실에 크게 다르지 않다. 하지만 무대화술은 나라마다 사용하는 언어가 다르므로 신체훈련 연구에 비해 외국의 연구사례들을 그대로 반영할 수 없다. 그래서 무대화술에 관한 외국의 선행 연구 자료들은 재검토의 과정을 겪은 후 비판적으로 수용해야만 한다. 또한 무대화술은 이론적 한계를 넘어서 실제 공연에 적용될 수 있는 실증적 연구와 경험이 뒷받침 되어져야만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어려움 또한 무대화술의 연구를 더디게 하는 원인이기도 하다.
무대화술은‘대화체’중심의 대사이다. 대화체임에도 불구하고 실제 교육현장이나 훈련과정에서는‘독백 훈련’위주로 시작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심한 경우는 독백훈련이 무대화술의 유일한 교육 과정이기도 하다. 이것은 초보연기자들로 하여금 무대화술에 대한 인식을 상대배우와 같이 호흡하고 교감하는 연기훈련방법이 아니라, 배역에 대한 자기중심적 사고를 심어주어 상대배우와의 교감보다는 혼자 훈련해야 하는 연기훈련방법으로 오인하게 만들고, 이런 결과는 공연연습과정에서 상대배우와의 교감을 중시하지 않는 자기중심적 연기스타일로 나온다. 더욱이 독백훈련 위주의 교육은 텍스트에 대한 분석조차 자기중심적으로 하게 되어 상대배우와의 ‘앙상블 연기’는 애초에 기대할 수 없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기초적인 무대화술의 첫 단계에서부터 무대화술은 홀로 훈련하는‘독백 연기’에서 벗어나 상대배우와 함께 교감하는‘앙상블 연기’를 위해 유기적으로 통일되어 교육되고 훈련되어져야만 한다. 무대화술의 유기적인 통일은 연습의 마지막이 아니라 첫 단계에서부터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개요에서, 첫 번째로 무대화술을 논하기에 앞서 공연에서 앙상블의 중요성을 되짚어보며, 앙상블 연기에 대한 논의를 먼저 한다. 그리고 앙상블 연기를 단계별로 배우자신, 배우와 배우, 배우와 관객, 이렇게 3단계로 나누면서 논의의 깊이를 더 하기로 한다. 두 번째로 무대화술에서는 무대화술의 변천과 현재의 무대화술 교육의 문제점을 고찰한 후 앙상블 연기를 위한 무대화술의 중요성을 논하고자 한다.
본론에서는, 세부분류로서 호흡, 발성, 끊어 말하기, 띄어 말하기, 휴지, 템포와 리듬, 억양, 어조, 감정 등과 같은 말하기 위주의 무대화술의 요소로서 분류하지 않는다. 이것은 기존의 무대화술의 분류방법으로는 공연을 위한 전체 연기연습 전반에 걸쳐 무대화술이 얼마나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며, 어떻게 훈련되어져야만 실제 공연에 효과적인지에 대한 실증적 검토를 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이지 않다는 결론 때문이다. 본 연구는 실제 공연 연습과정과 유사한 세부분류를 따른다. 이런 관점에서 세부분류를‘워밍업, 공간, 상상력, 듣기, 충동과 호흡, 움직임, 즉흥, 반복’으로 분류하고 이에 대해 논의한다.
이와 같은 본 연구로 인해, 무대화술이 자기중심적인 태도의‘혼잣말’이나 텍스트 중심의‘글말’에서 벗어나 상대배우와의‘앙상블 연기’를 통해 살아있는‘소리말’로 관객의‘몸’에 감동을 전달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e aim of study is stage speech that means the body of actor who combines speech and movement assimilates with another body in an effective ensemble and the actors should be trained. The study researches background and methodology about factors on stage speech which will be acquired by actor moreov...
The aim of study is stage speech that means the body of actor who combines speech and movement assimilates with another body in an effective ensemble and the actors should be trained. The study researches background and methodology about factors on stage speech which will be acquired by actor moreover, analyzes how affect it by performance practice base on precedent study.
It is significant topic that means actor’s stage speech in performable field or educational field. It is recognized importance and still followed however, it is first step corroborative or scientific study. Someone says that stage speech was retrogressed comparing with study of body training. Since it does not exist features body training without language in every country, it does not matter to reflect foreign examples in Korea. Due to stage speech using different language by countries, it does not reflect abroad examples as compared with study of body training. For this reason, foreign advanced research data regarding stage t speech is received critically after reexamination. In addition, stage speech is beyond theoretical limitation and it should be based on empirical study and experience then, it can take effect. However, it is cased study stage speech slowly.
The stage speech is based on conversational style. Although it is conversation it is started mostly monologue training in educational place or training course additionally, it is only educational system to train monologue in stage speech. Training monologue does not harmonize the other actor with performance training for cognition in stage speech. It provides egocentric thinking about cast and it is taken misconceive which means it is trained oneself rather than harmonize with partner actor. Consequently, it will be selfish performance disregards on partner’s cognition in practicing performance. Furthermore, if they pay attention monologue training actor might analyze text egocentrically it will be difficult to expect ensemble acting with their partner.
It is necessary to convert cognition. In first step at stage speech should be trained with unification for ensemble acting in partner’s cognition. It is executed at the first step not last step in practice.
In outline of study, it will be discussed importance of ensemble and ensemble acting before stage speech. In case of ensemble acting, it is distinguished as actor oneself, actor and actor, actor and audience. Secondly, consider not only changes for stage speech but also problems for training in stage speech then, it will be demonstrated importance of stage speech for ensemble acting.
In body, it is detailed classifications and it is not distinguished factors in stage speech especially speaking such as breathing, vocalization, speaking with pauses, speaking with interval, pause, tempo and rhythm, intonation, tone and emotion. As existing classification for stage speech, how stage speech is correlated inevitable throughout whole acting practice for performance and it is not effective for actual investigation about effectiveness of performance base on how is trained. This study is based on real processing practice and similar detained classification. In this point of view, it is classified as warming-up, space, imagination, listening, impulse, respiration, movement, improvisation and repetition.
Base on this study, stage speech is relieved of egocentric attitudinal monologue and written language. Finally, base on ensemble acting with partner, I wish that body of audiences are impressed as alive spoken language.
The aim of study is stage speech that means the body of actor who combines speech and movement assimilates with another body in an effective ensemble and the actors should be trained. The study researches background and methodology about factors on stage speech which will be acquired by actor moreover, analyzes how affect it by performance practice base on precedent study.
It is significant topic that means actor’s stage speech in performable field or educational field. It is recognized importance and still followed however, it is first step corroborative or scientific study. Someone says that stage speech was retrogressed comparing with study of body training. Since it does not exist features body training without language in every country, it does not matter to reflect foreign examples in Korea. Due to stage speech using different language by countries, it does not reflect abroad examples as compared with study of body training. For this reason, foreign advanced research data regarding stage t speech is received critically after reexamination. In addition, stage speech is beyond theoretical limitation and it should be based on empirical study and experience then, it can take effect. However, it is cased study stage speech slowly.
The stage speech is based on conversational style. Although it is conversation it is started mostly monologue training in educational place or training course additionally, it is only educational system to train monologue in stage speech. Training monologue does not harmonize the other actor with performance training for cognition in stage speech. It provides egocentric thinking about cast and it is taken misconceive which means it is trained oneself rather than harmonize with partner actor. Consequently, it will be selfish performance disregards on partner’s cognition in practicing performance. Furthermore, if they pay attention monologue training actor might analyze text egocentrically it will be difficult to expect ensemble acting with their partner.
It is necessary to convert cognition. In first step at stage speech should be trained with unification for ensemble acting in partner’s cognition. It is executed at the first step not last step in practice.
In outline of study, it will be discussed importance of ensemble and ensemble acting before stage speech. In case of ensemble acting, it is distinguished as actor oneself, actor and actor, actor and audience. Secondly, consider not only changes for stage speech but also problems for training in stage speech then, it will be demonstrated importance of stage speech for ensemble acting.
In body, it is detailed classifications and it is not distinguished factors in stage speech especially speaking such as breathing, vocalization, speaking with pauses, speaking with interval, pause, tempo and rhythm, intonation, tone and emotion. As existing classification for stage speech, how stage speech is correlated inevitable throughout whole acting practice for performance and it is not effective for actual investigation about effectiveness of performance base on how is trained. This study is based on real processing practice and similar detained classification. In this point of view, it is classified as warming-up, space, imagination, listening, impulse, respiration, movement, improvisation and repetition.
Base on this study, stage speech is relieved of egocentric attitudinal monologue and written language. Finally, base on ensemble acting with partner, I wish that body of audiences are impressed as alive spoken language.
Keyword
#앙상블
#앙상블 연기
#무대화술
#12인
#stage speech
#ensemble
#ensemble acting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