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의 복잡하고도 다양한 맥락적 흐름의 변화에 따라 교육에서도 이를 반영하여 새로운 지식의 창출과 인식적 측면의 가치판단 능력을 기를 수 있는 학교 문화와 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를 위해 무엇보다도 교실에서의 수업을 관찰하고 비평하는 과정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학교현장에서 교사들은 수업공개와 소통에 폐쇄적이다. 이에 연구자는 직접 교육현장을 방문?참여하여 미술수업을 여러 방면에서 관찰하고 아이스너(Eisner)가 제시한 다섯 가지 차원의 감식안을 통해 수업비평을 하여 미술교육의 비전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T중학교 미술교사의 2학년 수업을 '아이스너(Eisner)의 교육적 감식안'에 의해 비평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총 4회의 수업을 참여관찰 하고 녹음 및 비디오 촬영을 하여 전 과정을 전사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활동이나 대화, 교사와의 심층면담, 학습지도안, 질문지, 설문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토대로 아이스너(Eisner)의 다섯 가지 차원의 교육적 감식안인 의도적 차원, ...
현대 사회의 복잡하고도 다양한 맥락적 흐름의 변화에 따라 교육에서도 이를 반영하여 새로운 지식의 창출과 인식적 측면의 가치판단 능력을 기를 수 있는 학교 문화와 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를 위해 무엇보다도 교실에서의 수업을 관찰하고 비평하는 과정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학교현장에서 교사들은 수업공개와 소통에 폐쇄적이다. 이에 연구자는 직접 교육현장을 방문?참여하여 미술수업을 여러 방면에서 관찰하고 아이스너(Eisner)가 제시한 다섯 가지 차원의 감식안을 통해 수업비평을 하여 미술교육의 비전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T중학교 미술교사의 2학년 수업을 '아이스너(Eisner)의 교육적 감식안'에 의해 비평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총 4회의 수업을 참여관찰 하고 녹음 및 비디오 촬영을 하여 전 과정을 전사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활동이나 대화, 교사와의 심층면담, 학습지도안, 질문지, 설문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토대로 아이스너(Eisner)의 다섯 가지 차원의 교육적 감식안인 의도적 차원, 구조적 차원, 교육과정 차원, 수업 차원, 평가차원에 근거하여 수업비평을 하였다. 각 감식안에 의해 기술, 해석, 평가, 주제화한 결과 다음의 주제들을 선정할 수 있었다. 첫째, 의도적 차원에서는 교사에 의해 결정된 목표, 잠재적 경험에 내재된 목표로 나눌 수 있었으며, 둘째, 구조적 차원에서는 풍요롭지 못한 교육환경, 과밀학급과 획일적인 수업, 최소 수업 시수 확보가 필요했다. 셋째, 교육과정 차원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 설계 필요, 통합 교육과정의 필요성, 인지적 교육과정의 필요성이 보였으며, 넷째, 수업차원에서는 사전 수업연구의 실천, 교사의 전문적 지원 전략, 학습자 맥락에 따른 수업방식, 인성교육을 위한 실천적 노력 측면을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평가 차원에서는 비평적 읽기를 통한 과정평가, 자기 평가와 또래 평가, 교사의 반성적 성찰과 노력의 필요로 나눌 수 있었다. 비평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도적 차원에서는 학교의 교육 목표가 누구에 의해서 결정되는지, 과연 목표는 달성할 가치가 있는지, 달성되고 있는지에 관심을 두고 관찰하였다. 교사는 수업목표 설정시 전적으로 교과서에 의존하였으며 학습자의 수준이나 경험의 연결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일방적으로 목표를 제시하고 있었으며 잠재적 경험에 내재된 목표로서 학습자가 수업을 통해 자신을 이해하고 표현함으로써 자존감을 회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러한 프로그램 안에서 학습자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상호존중의 의미를 깨달을 수 있도록 지도하고 있었다. 둘째, 구조적 차원에서는 학교의 시간의 구성, 공간의 구성, 인적 구성 등 학교가 어떻게 조직되었느냐에 관심을 두었다. 그 결과 모든 면에서 한계가 드러나고 있었는데 우선 수업 공간이 열악하고 장소에 제한성이 있었으며, 학습 매체와 교구가 부족하여 학습에 대한 흥미와 능률을 향상시켜주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과밀학급과 교사부족으로 학습자 각자의 개별적 특성에 맞는 수업방식을 제공하기 어려웠으며, 입시중심 교육과정과 집중이수제의 도입으로 최소 수업시수를 보장받지 못하여 학습자에게 충분한 몰입의 시간과 작업활동 시간을 제공할 수 없는 본질적 문제를 드러냈다. 셋째, 교육과정 차원에서는 학교에서의 교육과정 내용과 목표가 질적으로 얼마나 우수하며, 의도한 교육과정과 가르치는 교육과정, 실제 배우는 교육과정이 얼마나 일치하는지에 관심을 두었다. 수업은 교사를 주도로 설계되어 학습자의 삶이 교육과정과 활동에 반영되기 보다는 단순한 기능습득의 활동이 목적이 되었으며 학습자 스스로 표현의 방법이나 전략을 선택할 기회조차 허용되지 않았다. 또한 교사는 ‘비평적 읽기’를 통한 반성적 사고과정으로 학습의 인지적 심화를 경험하도록 기회를 제공하였으나 그 과정을 중요하게 지도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교사는 미술뿐만 아니라 음악 감상이나 글쓰기 등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서 학습자의 삶과 내면을 표현하게 함으로써 전인적 발달과 더불어 보다 나은 삶으로의 통합적 발달을 이끌어내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넷째, 수업차원에서는 교육과정을 학생들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교사가 사용하는 모든 활동에 관심을 두었다. 교사는 사전 수업연구의 부족과 재정적 지원, 구입과정의 어려움 등을 이유로 다양한 수업자료와 표현매체 준비에 미흡함을 보였고 이로 인해 학습자의 인지적 요구와 창의적 표현력은 제한이 되었다. 또한 교사는 학습자가 느끼기에 전문적 지식은 가지고 있었으나 이를 활용하여 학습자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만한 전문적 지원 전략을 세우지 못했음이 드러났고 이에 학습자의 잠재력을 발달시켜줄 수 있도록 근접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 내에서 학습자의 요구와 능력에 적합한 도움(Scaffolding)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수업방식에 있어서 교사는 '협력학습과 개별활동 중심의 학습을 적절히 조절하며 진행하고 있다.' 하였으나 학습자의 입장에서는 동료학습자와의 협력학습을 통해 자료를 공유 하고, 토론하고, 아이디어를 계획하고, 함께 작품을 완성함으로써 성취감을 느끼고 긍정적 자아와 학습과제 해결에 대한 자신감, 적극성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교사는 아이들의 인성교육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어서 학습자가 수업시간에 잘못된 행동을 할 경우 언성을 높여 꾸짖기보다 수업참여를 이끌고 방과후에 상담을 통해 이를 해결하고 있었다. 다섯째, 평가 차원에서는 수업에서 질적인 가치 판단이 어떠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그것은 기대하는 목적에 맞도록 구성되었는지, 어떻게 보완되어야 하는지에 관심을 두었다. 교사는 '비평적 읽기'를 통한 미술 표현과정의 가치보다 결과에 치우친 평가를 함으로써 학습자가 수준 높은 예시작을 모방하거나 자신감을 상실하게 만들었다. 또한 좋은 수업을 위해 학습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이해의 과정과 충분한 수업연구가 필요함을 잘 알고 있었으나 제대로 실천하고 있지 못했으며 교육현실이 따라주지 못함을 이유로 들었다. 이에 교사는 학습자가 자기평가나 또래평가를 통해 서로의 생각을 나눌 수 있도록 '비평적 읽기'의 충분한 기회와 방법적 안내를 제시해야 하며 지속적인 반성적 성찰을 통해 교사로서의 책임감을 갖고 학습자 삶의 동반자로서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도록 노력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연구를 통해 미술교육의 현실을 보다 직접적으로 체감할 수 있었으며, 탄탄한 미술교육의 비전을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수업비평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또한 비전 있는 수업이란, 학습자의 삶이 반영된 주제에서 출발하여 넉넉한 시간?공간?인적 자원의 뒷받침 하에 학습자의 삶을 질적으로 향상시켜줄 수 있는 통합적?인지적 교육과정, 학습자 주도의 맥락적 수업, 교사의 전문적 지원과 반성적 성찰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될 때 이루어짐을 알았다. 수업에서 나아가 교육에서 어떤 점이 부족하며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 수업비평을 통해 먼저 수업을 보는 안목을 길러야 교육의 비전에 대해서도 논할 수 있다. 제도적이나 환경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더라도 교사로서 철학과 신념을 가지고 실천적 노력으로써 본 연구 외에 보다 다양한 수업사례 비평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현대 사회의 복잡하고도 다양한 맥락적 흐름의 변화에 따라 교육에서도 이를 반영하여 새로운 지식의 창출과 인식적 측면의 가치판단 능력을 기를 수 있는 학교 문화와 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를 위해 무엇보다도 교실에서의 수업을 관찰하고 비평하는 과정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학교현장에서 교사들은 수업공개와 소통에 폐쇄적이다. 이에 연구자는 직접 교육현장을 방문?참여하여 미술수업을 여러 방면에서 관찰하고 아이스너(Eisner)가 제시한 다섯 가지 차원의 감식안을 통해 수업비평을 하여 미술교육의 비전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T중학교 미술교사의 2학년 수업을 '아이스너(Eisner)의 교육적 감식안'에 의해 비평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총 4회의 수업을 참여관찰 하고 녹음 및 비디오 촬영을 하여 전 과정을 전사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활동이나 대화, 교사와의 심층면담, 학습지도안, 질문지, 설문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토대로 아이스너(Eisner)의 다섯 가지 차원의 교육적 감식안인 의도적 차원, 구조적 차원, 교육과정 차원, 수업 차원, 평가차원에 근거하여 수업비평을 하였다. 각 감식안에 의해 기술, 해석, 평가, 주제화한 결과 다음의 주제들을 선정할 수 있었다. 첫째, 의도적 차원에서는 교사에 의해 결정된 목표, 잠재적 경험에 내재된 목표로 나눌 수 있었으며, 둘째, 구조적 차원에서는 풍요롭지 못한 교육환경, 과밀학급과 획일적인 수업, 최소 수업 시수 확보가 필요했다. 셋째, 교육과정 차원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 설계 필요, 통합 교육과정의 필요성, 인지적 교육과정의 필요성이 보였으며, 넷째, 수업차원에서는 사전 수업연구의 실천, 교사의 전문적 지원 전략, 학습자 맥락에 따른 수업방식, 인성교육을 위한 실천적 노력 측면을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평가 차원에서는 비평적 읽기를 통한 과정평가, 자기 평가와 또래 평가, 교사의 반성적 성찰과 노력의 필요로 나눌 수 있었다. 비평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도적 차원에서는 학교의 교육 목표가 누구에 의해서 결정되는지, 과연 목표는 달성할 가치가 있는지, 달성되고 있는지에 관심을 두고 관찰하였다. 교사는 수업목표 설정시 전적으로 교과서에 의존하였으며 학습자의 수준이나 경험의 연결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일방적으로 목표를 제시하고 있었으며 잠재적 경험에 내재된 목표로서 학습자가 수업을 통해 자신을 이해하고 표현함으로써 자존감을 회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러한 프로그램 안에서 학습자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상호존중의 의미를 깨달을 수 있도록 지도하고 있었다. 둘째, 구조적 차원에서는 학교의 시간의 구성, 공간의 구성, 인적 구성 등 학교가 어떻게 조직되었느냐에 관심을 두었다. 그 결과 모든 면에서 한계가 드러나고 있었는데 우선 수업 공간이 열악하고 장소에 제한성이 있었으며, 학습 매체와 교구가 부족하여 학습에 대한 흥미와 능률을 향상시켜주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과밀학급과 교사부족으로 학습자 각자의 개별적 특성에 맞는 수업방식을 제공하기 어려웠으며, 입시중심 교육과정과 집중이수제의 도입으로 최소 수업시수를 보장받지 못하여 학습자에게 충분한 몰입의 시간과 작업활동 시간을 제공할 수 없는 본질적 문제를 드러냈다. 셋째, 교육과정 차원에서는 학교에서의 교육과정 내용과 목표가 질적으로 얼마나 우수하며, 의도한 교육과정과 가르치는 교육과정, 실제 배우는 교육과정이 얼마나 일치하는지에 관심을 두었다. 수업은 교사를 주도로 설계되어 학습자의 삶이 교육과정과 활동에 반영되기 보다는 단순한 기능습득의 활동이 목적이 되었으며 학습자 스스로 표현의 방법이나 전략을 선택할 기회조차 허용되지 않았다. 또한 교사는 ‘비평적 읽기’를 통한 반성적 사고과정으로 학습의 인지적 심화를 경험하도록 기회를 제공하였으나 그 과정을 중요하게 지도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교사는 미술뿐만 아니라 음악 감상이나 글쓰기 등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서 학습자의 삶과 내면을 표현하게 함으로써 전인적 발달과 더불어 보다 나은 삶으로의 통합적 발달을 이끌어내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넷째, 수업차원에서는 교육과정을 학생들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교사가 사용하는 모든 활동에 관심을 두었다. 교사는 사전 수업연구의 부족과 재정적 지원, 구입과정의 어려움 등을 이유로 다양한 수업자료와 표현매체 준비에 미흡함을 보였고 이로 인해 학습자의 인지적 요구와 창의적 표현력은 제한이 되었다. 또한 교사는 학습자가 느끼기에 전문적 지식은 가지고 있었으나 이를 활용하여 학습자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만한 전문적 지원 전략을 세우지 못했음이 드러났고 이에 학습자의 잠재력을 발달시켜줄 수 있도록 근접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 내에서 학습자의 요구와 능력에 적합한 도움(Scaffolding)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수업방식에 있어서 교사는 '협력학습과 개별활동 중심의 학습을 적절히 조절하며 진행하고 있다.' 하였으나 학습자의 입장에서는 동료학습자와의 협력학습을 통해 자료를 공유 하고, 토론하고, 아이디어를 계획하고, 함께 작품을 완성함으로써 성취감을 느끼고 긍정적 자아와 학습과제 해결에 대한 자신감, 적극성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교사는 아이들의 인성교육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어서 학습자가 수업시간에 잘못된 행동을 할 경우 언성을 높여 꾸짖기보다 수업참여를 이끌고 방과후에 상담을 통해 이를 해결하고 있었다. 다섯째, 평가 차원에서는 수업에서 질적인 가치 판단이 어떠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그것은 기대하는 목적에 맞도록 구성되었는지, 어떻게 보완되어야 하는지에 관심을 두었다. 교사는 '비평적 읽기'를 통한 미술 표현과정의 가치보다 결과에 치우친 평가를 함으로써 학습자가 수준 높은 예시작을 모방하거나 자신감을 상실하게 만들었다. 또한 좋은 수업을 위해 학습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이해의 과정과 충분한 수업연구가 필요함을 잘 알고 있었으나 제대로 실천하고 있지 못했으며 교육현실이 따라주지 못함을 이유로 들었다. 이에 교사는 학습자가 자기평가나 또래평가를 통해 서로의 생각을 나눌 수 있도록 '비평적 읽기'의 충분한 기회와 방법적 안내를 제시해야 하며 지속적인 반성적 성찰을 통해 교사로서의 책임감을 갖고 학습자 삶의 동반자로서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도록 노력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연구를 통해 미술교육의 현실을 보다 직접적으로 체감할 수 있었으며, 탄탄한 미술교육의 비전을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수업비평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또한 비전 있는 수업이란, 학습자의 삶이 반영된 주제에서 출발하여 넉넉한 시간?공간?인적 자원의 뒷받침 하에 학습자의 삶을 질적으로 향상시켜줄 수 있는 통합적?인지적 교육과정, 학습자 주도의 맥락적 수업, 교사의 전문적 지원과 반성적 성찰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될 때 이루어짐을 알았다. 수업에서 나아가 교육에서 어떤 점이 부족하며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 수업비평을 통해 먼저 수업을 보는 안목을 길러야 교육의 비전에 대해서도 논할 수 있다. 제도적이나 환경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더라도 교사로서 철학과 신념을 가지고 실천적 노력으로써 본 연구 외에 보다 다양한 수업사례 비평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The changes in the modern society are reflected on the education which are required teachers' instructional specialty and school culture to be changed to raise students' value judgment ability and create new knowledge. For these changes, however, above all, observation of instruction and criticism i...
The changes in the modern society are reflected on the education which are required teachers' instructional specialty and school culture to be changed to raise students' value judgment ability and create new knowledge. For these changes, however, above all, observation of instruction and criticism in the classroom are needed. It is essential, though, teachers are exclusive and uncommunicative in the school field. Therefore this study have been performed to search a vision of Fine Art education through instruction criticism which is based on Eisner's five educational connoisseurship: 'Intentional dimension', 'Structural dimension', 'Curriculum dimension', 'Pedagogy dimension', and 'Evaluative dimension'. This study have carried out with 4 times participant observations which recorded by audio and video and transcribed all in T middle school junior art class. Besides students' activities, dialogues,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 K, lesson plans, questionnaires, and so on were collected to criticize. As a result, instruction criticism have been achieved. First, intentional dimension grounded on three questions- Who decide school curricular objects? Are those objects valuable as expected? Does the instruction reach the objects? Teachers depend on the textbook overall for establishing the goal of class. The instruction then do not concerned with a level of learners' readiness and link of learners' experiences. Finally teachers suggest the aim on their own initiative. As an inherent aim in the potential experience directs, though, learners understand and express themselves that support to recover their self-esteem and let them realize what mutual respect is through interaction. Second, structural dimension grounded on the composition of time, space, and human resources which explains how to organize the school system. There is a limit to every aspects. Preferentially, the classroom environment is inferior and restricted to instructions. Shortage of media and teaching tools couldn't make learners' interest and efficacy elevate. Moreover high-density class couldn't offer an adaptive instructional method to individual peculiarity. By the introduction of entrance exam and concentrated course system, Fine Art class isn't guaranteed minimum period that proves substantial problem supply students merely sufficient time for 'flow' and working activity. Third, curriculum dimension grounded on how the school curriculum contents and aims are qualitatively excellent, how much the purposed curriculum, practiced curriculum and actually learned curriculum are coincided with. An instruction is planned by teacher initiative. Accordingly, learners' life is separated from the curriculum and activities. Learning the simple functions become the aim of an instruction. And students do not have a chance to choose a method or strategy for their learning. Neither teacher guide the process important nor reflective thinking procedure through 'critical reading' gives opportunity to experience a cognitive intensity of learning. Teacher, though, have been straining to conduct students' integrated development to the better life through integrated approach with music appreciation, writing which makes students express their mind and life. Forth, pedagogy dimension grounded on the whole activities the teacher organize to deliver 'the curriculum'. The teacher have a difficulty to prepare lessons because of monetary support, purchasing sources, and inquiring the instruction beforehand. It is not satisfied with students' cognitive requirement and limits students' creative expression. It also reveals that special support strategy essentially assistant to students couldn't build up, though, teacher had a professional knowledge. Consequently, it elucidates that 'scaffolding' is significant for developing learners' potentiality. On the teacher's side, the instructions fulfilled balanced learning focused on cooperation and independence. It affects students' attitude multiply. They felt achievement by cooperative learning which students shared their resources, discussed, planned, and finished works together. And they get affirmative view of life, self-confidence and positiveness. Besides the teacher had been far interested in character education, when a learner do wrongly during the class, she encouraged participation at that moment and solved the trouble after school with counselling. Fifth, evaluation dimension grounded on how the process of qualitative value judgement organized in the class, whether it is composed with what the class expected to achieve, and how the class complementary. The teacher biasedly assessed the value of expression process through 'critical reading' which have learners copy high level of others' work and be diffident. Moreover K teacher had known that she needs the sufficient preparation and interaction with students for the classes, though, she couldn't carried those into action. Accordingly teachers suggest the way how to do 'critical reading' which could be shared ideas by each other and many chances to apply it to learners. With continuous reflections, teacher could take the responsibility as learners' company for their life and do the best. The whole research process illustrates the present of Fine Art education is not far off and various criticism on instruction is necessary to the vision of Fine Art education. The Fine Art class of vision that starts from the theme concerned with learners' life in the situation of plentiful time, space, and human resources. Connecting among a integrated and cognitive curriculum, a teacher's professional support and reflection and a learner based contextual instruction could embody the vision. Instruction criticism could demonstrate an appreciative eye on instruction is in need first before the discussion on the vision of education. Even though there are several problems in the system and the environment, teachers should have a philosophy and conviction then practice much more instruction criticism research which could confirm the future of Fine Art education.
The changes in the modern society are reflected on the education which are required teachers' instructional specialty and school culture to be changed to raise students' value judgment ability and create new knowledge. For these changes, however, above all, observation of instruction and criticism in the classroom are needed. It is essential, though, teachers are exclusive and uncommunicative in the school field. Therefore this study have been performed to search a vision of Fine Art education through instruction criticism which is based on Eisner's five educational connoisseurship: 'Intentional dimension', 'Structural dimension', 'Curriculum dimension', 'Pedagogy dimension', and 'Evaluative dimension'. This study have carried out with 4 times participant observations which recorded by audio and video and transcribed all in T middle school junior art class. Besides students' activities, dialogues,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 K, lesson plans, questionnaires, and so on were collected to criticize. As a result, instruction criticism have been achieved. First, intentional dimension grounded on three questions- Who decide school curricular objects? Are those objects valuable as expected? Does the instruction reach the objects? Teachers depend on the textbook overall for establishing the goal of class. The instruction then do not concerned with a level of learners' readiness and link of learners' experiences. Finally teachers suggest the aim on their own initiative. As an inherent aim in the potential experience directs, though, learners understand and express themselves that support to recover their self-esteem and let them realize what mutual respect is through interaction. Second, structural dimension grounded on the composition of time, space, and human resources which explains how to organize the school system. There is a limit to every aspects. Preferentially, the classroom environment is inferior and restricted to instructions. Shortage of media and teaching tools couldn't make learners' interest and efficacy elevate. Moreover high-density class couldn't offer an adaptive instructional method to individual peculiarity. By the introduction of entrance exam and concentrated course system, Fine Art class isn't guaranteed minimum period that proves substantial problem supply students merely sufficient time for 'flow' and working activity. Third, curriculum dimension grounded on how the school curriculum contents and aims are qualitatively excellent, how much the purposed curriculum, practiced curriculum and actually learned curriculum are coincided with. An instruction is planned by teacher initiative. Accordingly, learners' life is separated from the curriculum and activities. Learning the simple functions become the aim of an instruction. And students do not have a chance to choose a method or strategy for their learning. Neither teacher guide the process important nor reflective thinking procedure through 'critical reading' gives opportunity to experience a cognitive intensity of learning. Teacher, though, have been straining to conduct students' integrated development to the better life through integrated approach with music appreciation, writing which makes students express their mind and life. Forth, pedagogy dimension grounded on the whole activities the teacher organize to deliver 'the curriculum'. The teacher have a difficulty to prepare lessons because of monetary support, purchasing sources, and inquiring the instruction beforehand. It is not satisfied with students' cognitive requirement and limits students' creative expression. It also reveals that special support strategy essentially assistant to students couldn't build up, though, teacher had a professional knowledge. Consequently, it elucidates that 'scaffolding' is significant for developing learners' potentiality. On the teacher's side, the instructions fulfilled balanced learning focused on cooperation and independence. It affects students' attitude multiply. They felt achievement by cooperative learning which students shared their resources, discussed, planned, and finished works together. And they get affirmative view of life, self-confidence and positiveness. Besides the teacher had been far interested in character education, when a learner do wrongly during the class, she encouraged participation at that moment and solved the trouble after school with counselling. Fifth, evaluation dimension grounded on how the process of qualitative value judgement organized in the class, whether it is composed with what the class expected to achieve, and how the class complementary. The teacher biasedly assessed the value of expression process through 'critical reading' which have learners copy high level of others' work and be diffident. Moreover K teacher had known that she needs the sufficient preparation and interaction with students for the classes, though, she couldn't carried those into action. Accordingly teachers suggest the way how to do 'critical reading' which could be shared ideas by each other and many chances to apply it to learners. With continuous reflections, teacher could take the responsibility as learners' company for their life and do the best. The whole research process illustrates the present of Fine Art education is not far off and various criticism on instruction is necessary to the vision of Fine Art education. The Fine Art class of vision that starts from the theme concerned with learners' life in the situation of plentiful time, space, and human resources. Connecting among a integrated and cognitive curriculum, a teacher's professional support and reflection and a learner based contextual instruction could embody the vision. Instruction criticism could demonstrate an appreciative eye on instruction is in need first before the discussion on the vision of education. Even though there are several problems in the system and the environment, teachers should have a philosophy and conviction then practice much more instruction criticism research which could confirm the future of Fine Art educ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