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녹색식생활태도, 건강지향적 소비행동이 자녀의 녹색식생활 및 식품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녹색식생활교육, 녹색식생활태도, 건강지향적 소비행동을 파악하고 그 자녀의 녹색식생활 및 식품구매태도를 조사하였다. 이들 간의 상호관계, 어머니의 녹색식생활교육과 태도, 건강지향적 소비행동, 가족 간의 의사소통 등 각 요인들이 자녀의 녹색식생활태도와 식품구매태도 등 각 요인들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이 연구에서는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녹색식생활태도, 건강지향적 소비행동이 자녀의 녹색식생활 및 식품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녹색식생활교육, 녹색식생활태도, 건강지향적 소비행동을 파악하고 그 자녀의 녹색식생활 및 식품구매태도를 조사하였다. 이들 간의 상호관계, 어머니의 녹색식생활교육과 태도, 건강지향적 소비행동, 가족 간의 의사소통 등 각 요인들이 자녀의 녹색식생활태도와 식품구매태도 등 각 요인들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이 연구에서는 학령기 아동의 바람직한 녹색식생활 형성과 올바른 식품구매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을 조사하여 학교 교육 현장에 반영하고 어머니들의 녹색식생활태도와 건강지향적 소비행동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인천광역시에 위치하고 있는 3개 초등학교의 4, 5, 6학년 아동 501명과 그들의 어머니 5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아동 481 부, 어머니 481 부 분석 : 회수율의 96%) 어머니 조사대상자는 인구통계학적 변인, 녹색식생활실태, 녹색식생활교육, 가족 간의 의사소통, 녹색식생활태도, 건강지향적 소비행동을 조사하였고 그 자녀인 아동 조사대상자는 인구통계학적 변인, 녹색식생활실태, 녹색식생활태도와 식품구매태도를 알아보고자 설문지를 작성 및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평균과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 요인분석, 신뢰도검사(5점 리커트 척도),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이용한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Simple Regression Ananlysis),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nlysis)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 방법으로 Scheffe'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어머니의 녹색식생활교육, 가족 간의 의사소통, 녹색식생활태도 및 건강지향적 소비행동은 연령이 45세이하이거나, 학력이 높을수록 녹색식생활 태도가 좋았으며 건강지향적 소비행동을 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아동의 녹색식생활 태도와 아동의 식품구매 태도 차이는 어머니의 연령에 따른 차이가 뚜렷하여 어머니의 연령이 40세이하에서 자녀의 녹색식생활태도와 식품구매태도가 높았다. 반면 어머니의 학력과 직업은 아동의 녹색식생활태도와 식품구매태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녹색식생활 교육과 어머니의 녹색식생활 태도와 상관관계는 (r=.595, p<.01), 어머니의 가족 간의 의사소통과 어머니의 건강지향적 소비행동과 상관관계는(r=.510, p<.01)으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설문내용 중 녹색식생활태도의 영역은 어머니, 아동 모두 환경 친화적 식생활 태도, 건강한 한국형 식생활 태도, 감사 배려하는 식생활태도 등 3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어머니의 감사,배려하는 식생활태도(B=.170, p<.01)는 아동의 환경 친화적 식생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어머니가 감사,배려하는 식생활 태도를 갖을수록 아동의 환경친화적 식생활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건강한 한국형 식생활태도는 아동의 건강한 한국형 식생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B=.200, p<.001). 어머니의 감사,배려하는 식생활 태도는 아동의 감사,배려하는 식생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B=.265, p<.001). 어머니의 감사,배려하는 식생활태도는 아동의 전체 녹색식생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B=.216, p<.001).
즉, 어머니의 감사,배려 하는 식생활태도가 높을수록 아동의 환경 친화적 식생활태도와 아동의 전반적인 녹색식생활태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어머니의 건강한 한국형 식생활 태도가 높을수록 아동의 건강한 한국형 식생활 태도가 높아지며 어머니의 감사,배려하는 식생활 태도가 높을수록 아동의 감사,배려하는 식생활 태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어머니의 건강지향적 소비행동은 아동의 식품구매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건강지향적 소비행동이 높을수록 아동의 식품구매 태도 점수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B=.304, p<.001).
여섯째, 어머니의 가족 간의 의사소통은 아동의 식품 구매 태도에 영향을 주었는데 어머니의 가족 간의 의사소통이 높을수록 아동의 식품구매 태도 점수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B=.293, p<.001).
일곱째, 어머니의 녹색식생활교육은 아동의 전체녹색식생활태도에 영향을 미쳐서 어머니의 녹색식생활교육 정도가 높을수록 아동의 전체 녹색식생활태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B=.240, p<.001).
이 연구결과 어머니의 녹색식생활교육, 녹색식생활태도, 가족 간의 의사소통, 건강지향적 소비행동은 초등학생 그 자녀의 녹색식생활 및 식품구매태도에 각각 영역별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면서 다양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가정 내에서 어머니가 가족의 식생활을 좌우하게 되므로 어머니는 아동의 영양요구량을 충족시켜주는 양질의 식사뿐 아니라 어머니 자신이 먼저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식사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아동이 바람직한 녹색식생활과 식품구매태도를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 녹색식생활에 대한 가치를 알고 이를 실천하는 어머니가 가정에서 자녀와 끊임없이 의사소통하면서 아이들의 올바른 식습관형성과 식품구매행동, 더 나아가 바람직한 녹색식생활을 실천하도록 자녀교육에 관심을 갖아야 한다.
또한 어머니와 아동 모두에서 녹색식생활교육을 받기를 희망하는 장소를 ‘학교’라고 대부분이 응답하여 학교에서도 녹색식생활교육에 대한 중요성 및 필요성을 알고 점차적으로 각 관련 교과목이나 창의적 재량활동을 통해 이를 실천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아동의 가정과 학교로부터 녹색식생활에 대한 경험과 교육은 아동으로 하여금 학령기 아동의 바람직한 녹색식생활 형성과 올바른 식품구매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녹색식생활태도, 건강지향적 소비행동이 자녀의 녹색식생활 및 식품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녹색식생활교육, 녹색식생활태도, 건강지향적 소비행동을 파악하고 그 자녀의 녹색식생활 및 식품구매태도를 조사하였다. 이들 간의 상호관계, 어머니의 녹색식생활교육과 태도, 건강지향적 소비행동, 가족 간의 의사소통 등 각 요인들이 자녀의 녹색식생활태도와 식품구매태도 등 각 요인들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이 연구에서는 학령기 아동의 바람직한 녹색식생활 형성과 올바른 식품구매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을 조사하여 학교 교육 현장에 반영하고 어머니들의 녹색식생활태도와 건강지향적 소비행동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인천광역시에 위치하고 있는 3개 초등학교의 4, 5, 6학년 아동 501명과 그들의 어머니 5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아동 481 부, 어머니 481 부 분석 : 회수율의 96%) 어머니 조사대상자는 인구통계학적 변인, 녹색식생활실태, 녹색식생활교육, 가족 간의 의사소통, 녹색식생활태도, 건강지향적 소비행동을 조사하였고 그 자녀인 아동 조사대상자는 인구통계학적 변인, 녹색식생활실태, 녹색식생활태도와 식품구매태도를 알아보고자 설문지를 작성 및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평균과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 요인분석, 신뢰도검사(5점 리커트 척도),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이용한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Simple Regression Ananlysis),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nlysis)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 방법으로 Scheffe'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어머니의 녹색식생활교육, 가족 간의 의사소통, 녹색식생활태도 및 건강지향적 소비행동은 연령이 45세이하이거나, 학력이 높을수록 녹색식생활 태도가 좋았으며 건강지향적 소비행동을 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아동의 녹색식생활 태도와 아동의 식품구매 태도 차이는 어머니의 연령에 따른 차이가 뚜렷하여 어머니의 연령이 40세이하에서 자녀의 녹색식생활태도와 식품구매태도가 높았다. 반면 어머니의 학력과 직업은 아동의 녹색식생활태도와 식품구매태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녹색식생활 교육과 어머니의 녹색식생활 태도와 상관관계는 (r=.595, p<.01), 어머니의 가족 간의 의사소통과 어머니의 건강지향적 소비행동과 상관관계는(r=.510, p<.01)으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설문내용 중 녹색식생활태도의 영역은 어머니, 아동 모두 환경 친화적 식생활 태도, 건강한 한국형 식생활 태도, 감사 배려하는 식생활태도 등 3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어머니의 감사,배려하는 식생활태도(B=.170, p<.01)는 아동의 환경 친화적 식생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어머니가 감사,배려하는 식생활 태도를 갖을수록 아동의 환경친화적 식생활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건강한 한국형 식생활태도는 아동의 건강한 한국형 식생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B=.200, p<.001). 어머니의 감사,배려하는 식생활 태도는 아동의 감사,배려하는 식생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B=.265, p<.001). 어머니의 감사,배려하는 식생활태도는 아동의 전체 녹색식생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B=.216, p<.001).
즉, 어머니의 감사,배려 하는 식생활태도가 높을수록 아동의 환경 친화적 식생활태도와 아동의 전반적인 녹색식생활태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어머니의 건강한 한국형 식생활 태도가 높을수록 아동의 건강한 한국형 식생활 태도가 높아지며 어머니의 감사,배려하는 식생활 태도가 높을수록 아동의 감사,배려하는 식생활 태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어머니의 건강지향적 소비행동은 아동의 식품구매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건강지향적 소비행동이 높을수록 아동의 식품구매 태도 점수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B=.304, p<.001).
여섯째, 어머니의 가족 간의 의사소통은 아동의 식품 구매 태도에 영향을 주었는데 어머니의 가족 간의 의사소통이 높을수록 아동의 식품구매 태도 점수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B=.293, p<.001).
일곱째, 어머니의 녹색식생활교육은 아동의 전체녹색식생활태도에 영향을 미쳐서 어머니의 녹색식생활교육 정도가 높을수록 아동의 전체 녹색식생활태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B=.240, p<.001).
이 연구결과 어머니의 녹색식생활교육, 녹색식생활태도, 가족 간의 의사소통, 건강지향적 소비행동은 초등학생 그 자녀의 녹색식생활 및 식품구매태도에 각각 영역별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면서 다양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가정 내에서 어머니가 가족의 식생활을 좌우하게 되므로 어머니는 아동의 영양요구량을 충족시켜주는 양질의 식사뿐 아니라 어머니 자신이 먼저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식사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아동이 바람직한 녹색식생활과 식품구매태도를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 녹색식생활에 대한 가치를 알고 이를 실천하는 어머니가 가정에서 자녀와 끊임없이 의사소통하면서 아이들의 올바른 식습관형성과 식품구매행동, 더 나아가 바람직한 녹색식생활을 실천하도록 자녀교육에 관심을 갖아야 한다.
또한 어머니와 아동 모두에서 녹색식생활교육을 받기를 희망하는 장소를 ‘학교’라고 대부분이 응답하여 학교에서도 녹색식생활교육에 대한 중요성 및 필요성을 알고 점차적으로 각 관련 교과목이나 창의적 재량활동을 통해 이를 실천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아동의 가정과 학교로부터 녹색식생활에 대한 경험과 교육은 아동으로 하여금 학령기 아동의 바람직한 녹색식생활 형성과 올바른 식품구매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her’s green food dietary attitude and health oriented consumption behavior on the child’s green food dietary and food purchase attitude.
In addition, it is aim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green food dietary attitude of mother and child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her’s green food dietary attitude and health oriented consumption behavior on the child’s green food dietary and food purchase attitude.
In addition, it is aim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green food dietary attitude of mother and children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education on green food dietary to her child and their green food dietary attitude, the correlation between degrees of mother's communication with family members and health oriented consumption attitude, and factors related with mother affecting children.
Based on these data, this study aimed to improve desirable development of green food dietary and proper food purchase ability of school aged children and to make database to nurture mothers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green food dietary and to be a consumer with wholesome perception.
To achieve these, questionnaires taken from five hundreds and one children of fourth, fifth, and sixth grader and five hundred and one mothers of them in thre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Incheon city were analyzed. (Finally, four hundreds and eighty one children and four hundreds and eighty one mothers responded. Case analysis: return rate 96 %) Various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such as descriptive analysis estimating frequency, proportion,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One-way ANOVA), Pearson's moment correlation analysis, simple/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as a post-hoc test method were conducted using SPSS win 18.0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s.
The summary of analysis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difference in mother's environment-friendly dietary attitude according to her demographic variables is due to the difference in average monthly income (p<.05), and the difference in healthy Korean style dietary is due to the difference in age (p<.05). The difference in overall green dietary attitude is due to the difference in education levels (p.05) according to age, education levels, jobs, and average monthly income does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Mother's health oriented consumption attitude according to her demographic variables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her education levels (p<.001) and average monthly income (p<.01).
Secondly, the difference in child’s environment-friendly dietary attitude according to mother’s demographic variables is due to the difference in age (p<.01), and the difference in child’s healthy Korean style dietary attitude is due to the difference in age (p<.01) and income (p<.05).
Both the difference in gratitude and caring dietary attitude (p<.01) and the difference in overall green dietary attitude(p<0.001) are due to the difference in age. The difference in child's food purchase attitude according to mother's demographic variable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ge(p<.001) and income (p<.05).
Thirdly, mother's green food dietary education for child and mother's green dietary attitude has positive correlation relationship (r=0.595, p<.01), and mother's communication with family members and mother's health oriented consumption attitude also show positive correlation relationship (r=0.510, p<.01).
Fourthly, as for the effect of each corresponding factor of green food dietary attitude of mother on child's green food dietary, mother's environment-friendly dietary attitude affects negatively child's environment-friendly dietary attitude.
However, mother's gratitude and caring dietary attitude shows positive effect to child's environment-friendly dietary attitude (B=.170, p<.01). Mother's healthy Korean style dietary attitude shows positive effect to child's healthy Korean style dietary attitude (B=.200, p<.001). Mother's gratitude and caring dietary attitude shows positive effect to child's gratitude and caring dietary attitude (B=.200, p<.001). In addition, mother's gratitude and caring dietary attitude positively affects child's green food dietary attitude (B=.216, p<.001). That is, the higher gratitude and caring attitude of mother, the higher environment friendly dietary attitude and overall green food dietary attitude of child. And the higher korean style dietary attitude of mother, the higher healthy Korean style dietary attitude of child, and the higher gratitude and caring dietary attitude of mother, the higher gratitude and caring dietary attitude of child.
Fifthly, the degree of effect of health oriented consuming behaviors of mother to child's food purchase attitude shows positive effect to mother's health oriented consumption behavior and the child's food purchase attitude (B=.304, p<.001)
Sixthly, as for the degree of effects of mother's communication with family members to child's food purchase attitude, mother's communication with family members show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to child's food purchase attitude (B=.293, p<.001).
As a result, the mother's green food dietary education, green food dietary attitude, communication with family members, and health oriented consumption attitude show various effects on green food dietary attitude and food purchase attitude of a child in elementary school while having correlation relationship among corresponding factors. Especially, since mothers control dietary of family members, mothers should exert herself, so their children can have desirable green dietary and food purchase attitude by providing their children not only quality foods fulfilling their dietary requirements but also the positive and desirable food environment. That is, mothers who know the value of green dietary and put that into practice should educate their children to develop good eating habit, food purchase behavior, and by extension desirable green dietary by continuously communicating with their children.
With this study, mothers can also get help to have healthy dietary and wholesome ability as a consumer by knowing the necessity of green food dietary and obtaining information on green food dietary education. In addition, social support program is positively necessary to support hard part in the green food dietary practice in family and to develop the activity-centered green food dietary experience program reflecting green food dietary education requirement of children and the efficient communication program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o make communication easier in fami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her’s green food dietary attitude and health oriented consumption behavior on the child’s green food dietary and food purchase attitude.
In addition, it is aim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green food dietary attitude of mother and children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education on green food dietary to her child and their green food dietary attitude, the correlation between degrees of mother's communication with family members and health oriented consumption attitude, and factors related with mother affecting children.
Based on these data, this study aimed to improve desirable development of green food dietary and proper food purchase ability of school aged children and to make database to nurture mothers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green food dietary and to be a consumer with wholesome perception.
To achieve these, questionnaires taken from five hundreds and one children of fourth, fifth, and sixth grader and five hundred and one mothers of them in thre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Incheon city were analyzed. (Finally, four hundreds and eighty one children and four hundreds and eighty one mothers responded. Case analysis: return rate 96 %) Various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such as descriptive analysis estimating frequency, proportion,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One-way ANOVA), Pearson's moment correlation analysis, simple/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as a post-hoc test method were conducted using SPSS win 18.0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s.
The summary of analysis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difference in mother's environment-friendly dietary attitude according to her demographic variables is due to the difference in average monthly income (p<.05), and the difference in healthy Korean style dietary is due to the difference in age (p<.05). The difference in overall green dietary attitude is due to the difference in education levels (p.05) according to age, education levels, jobs, and average monthly income does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Mother's health oriented consumption attitude according to her demographic variables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her education levels (p<.001) and average monthly income (p<.01).
Secondly, the difference in child’s environment-friendly dietary attitude according to mother’s demographic variables is due to the difference in age (p<.01), and the difference in child’s healthy Korean style dietary attitude is due to the difference in age (p<.01) and income (p<.05).
Both the difference in gratitude and caring dietary attitude (p<.01) and the difference in overall green dietary attitude(p<0.001) are due to the difference in age. The difference in child's food purchase attitude according to mother's demographic variable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ge(p<.001) and income (p<.05).
Thirdly, mother's green food dietary education for child and mother's green dietary attitude has positive correlation relationship (r=0.595, p<.01), and mother's communication with family members and mother's health oriented consumption attitude also show positive correlation relationship (r=0.510, p<.01).
Fourthly, as for the effect of each corresponding factor of green food dietary attitude of mother on child's green food dietary, mother's environment-friendly dietary attitude affects negatively child's environment-friendly dietary attitude.
However, mother's gratitude and caring dietary attitude shows positive effect to child's environment-friendly dietary attitude (B=.170, p<.01). Mother's healthy Korean style dietary attitude shows positive effect to child's healthy Korean style dietary attitude (B=.200, p<.001). Mother's gratitude and caring dietary attitude shows positive effect to child's gratitude and caring dietary attitude (B=.200, p<.001). In addition, mother's gratitude and caring dietary attitude positively affects child's green food dietary attitude (B=.216, p<.001). That is, the higher gratitude and caring attitude of mother, the higher environment friendly dietary attitude and overall green food dietary attitude of child. And the higher korean style dietary attitude of mother, the higher healthy Korean style dietary attitude of child, and the higher gratitude and caring dietary attitude of mother, the higher gratitude and caring dietary attitude of child.
Fifthly, the degree of effect of health oriented consuming behaviors of mother to child's food purchase attitude shows positive effect to mother's health oriented consumption behavior and the child's food purchase attitude (B=.304, p<.001)
Sixthly, as for the degree of effects of mother's communication with family members to child's food purchase attitude, mother's communication with family members show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to child's food purchase attitude (B=.293, p<.001).
As a result, the mother's green food dietary education, green food dietary attitude, communication with family members, and health oriented consumption attitude show various effects on green food dietary attitude and food purchase attitude of a child in elementary school while having correlation relationship among corresponding factors. Especially, since mothers control dietary of family members, mothers should exert herself, so their children can have desirable green dietary and food purchase attitude by providing their children not only quality foods fulfilling their dietary requirements but also the positive and desirable food environment. That is, mothers who know the value of green dietary and put that into practice should educate their children to develop good eating habit, food purchase behavior, and by extension desirable green dietary by continuously communicating with their children.
With this study, mothers can also get help to have healthy dietary and wholesome ability as a consumer by knowing the necessity of green food dietary and obtaining information on green food dietary education. In addition, social support program is positively necessary to support hard part in the green food dietary practice in family and to develop the activity-centered green food dietary experience program reflecting green food dietary education requirement of children and the efficient communication program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o make communication easier in famil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