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별, 세대별 식생활 인식이 식품군별 섭취 빈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Dietary Consciousness on Intake Frequency of Foods by Gender and Generations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4 no.4, 2014년, pp.503 - 513  

김귀영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 식품외식산업학과) ,  박모라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 식품외식산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etary consciousness of gender and generation on food intake frequency in Daegu, Sangju, Kimchen and Gumi. There was a total of 359 subjects, which consisted of elementary students, college students, and adults. The survey period was from March to May 2011,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단, 식품 섭취의 중요성을 지적한 국외 연구나 최근 일부 국내 연구에서는 식품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사회문화적 영향뿐만 아니라, 식품의 의미와 구성 등 식품 섭취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이 되는 요인들을 구조적으로 분석할 필요를 보고하고 있다(Firouzi et al 2014, Lee et al 2012, Riddell et al 2011, Driskell et al 2006). 따라서 본 연구는 식생활에 대한 가치나 의식 등 인식이 식품 섭취와 관계가 있는지 통계적 검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성별, 세대별에 따라 식생활 인식이 식품 섭취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이는 식품 섭취 변화를 기대하는 식생활 교육의 현장에서 식생활 인식 교육의 필요성 근거로 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상별 식생활 교육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5 수준 이하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추출 요인에서 제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생활 인식을 영양 인식과 식사 인식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바람직한 식품 섭취 교육을 위해 식품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식생활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Choe et al(2003)의 연구에 의하면, 연령이 낮은 집단과 남성에서 바르지 못한 식습관을 가지고 있고, 식사에 대한 관심도도 낮아, 식생활 개선이 어렵다고 보고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성별과 세대 간의 식생활 인식과 식품 섭취와의 관계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 이에 식품 섭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영향요인으로 식생활 인식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성별, 세대별 식생활 인식이 식품 섭취에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본 조사의 대상자는 대구, 상주, 김천, 구미지역 초등학생 5∼6학년 100명, 대학생 200명, 중장년층 100명 총 400명을 대상으로 2011년 3월에서 5월까지 임의표본 추출법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 특히 남성과 초등학생의 식사 인식이 곡류 및 채소류의 섭취에 주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어, 현대 남성과 초등학생의 육류 섭취 과다나 육류 선호에 대한 식생활의 부정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식사 인식 교육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바람직한 식생활을 위해 목표식품의 섭취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식생활 인식 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하고자 진행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식생활 인식의 하부 요인으로 영양 관련 인식 요인과 식사 관련 인식 요인만 추출됨에 따라, 다른 인식 요인들과의 관계는 찾지 못하였다.
  • 따라서 식행동의 변화를 유도하는 식생활 교육과정은 문제 식행동에 대해 인식 정도를 먼저 파악하고, 인식의 변화를 바탕으로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것이 절차상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바람직한 식품 섭취 교육을 위해 식품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식생활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Choe et al(2003)의 연구에 의하면, 연령이 낮은 집단과 남성에서 바르지 못한 식습관을 가지고 있고, 식사에 대한 관심도도 낮아, 식생활 개선이 어렵다고 보고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성별과 세대 간의 식생활 인식과 식품 섭취와의 관계도 분석하고자 하였다.
  • 그러므로 바람직한 식품 섭취를 위한 영양 교육, 식생활 지침 등 다양한 전략이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도 개인이나 집단의 식품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변인들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식품 섭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영향요인으로 식생활 인식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성별, 세대별 식생활 인식이 식품 섭취에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2> 식생활 인식이 식품군별 섭취 빈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람직한 식생활을 유도하기 위한 대표적인 활동은 무엇이 있는가? 뿐만 아니라, 성인들도 특정인의 식생활 경험에 자극되어 식생활 인식이 잘못 형성되면 특정인의 식이요법을 추종하게 되는 극단적 식생활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甲田光雄 & Sung YS1994). 이에 올바른 인식에 근거한 바람직한 식생활을 유도하기 위해 범사회적, 범국가적 식생활 개선운동이 진행되고 있고, 그 대표적 활동들이 슬로우 푸드 운동, 녹색 식생활운동, 로컬푸드 운동 등이다.
인식이란? 인식이란 지식을 포함한 사회적 활동의 산물로써,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판단, 행위를 이끄는 기준으로 주관이라 할 수 있다. 즉, 인식의 형성과정을 엄밀히 살펴보면, 그 개인이 속한 사회에서 확립되고 형성됨으로, 주관적 인식이라 할지라도 상당한 부분이 이미 객관화되어 있는 것이다(Jang SH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甲田光雄, Sung YS (1994) The cases on bad lapse through eating of raw vegetables. Korean J Natural Heath 2: 283-300. 

  2. Bae SJ, Lee SM, Ahn HS (2012) Comparison of nutritional knowledge, dietary habits, and practice level of eating behavior guidelines between part-time working and non working adolescents attending a vocational high school in Yongin, Gyeonggi-do. Korean J Food Culture 25(1): 17-24. 

  3. Cho TS, Suh BS, Han JS (1992) A study on the eating be haviors & consciousness of male Koreans. J of Resource Development 11(1): 115-124. 

  4. Choe JS, Ji SM, Paik HY, Hong SM (2003) A study on the eating habits and dietary consciousness of adults in urb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7) : 1132-1146. 

  5. Driskell JA, Meckna BR, Scales NE (2006) Differences exist in the eating habits of university men and women at fastfood restaurants. Nutritional Research 26: 524-530. 

  6. Firouzi S, Poh BK, Ismail MN, Sadeghilar A (2014) Sleep habits, food intake, and physical activity levels in normal and overweight and obese Malaysian children. Obesity Research & Clinical Practice 8: e70-e78. 

  7. Gallant A, Drapeau V, Allison KC, Tremblay A, Lambert M, O'Loughlin J, Lundgren JD (2014) Night eating behavior and metabolic health in mothers and fathers enrolled in the quality cohort study. Eating Behaviors 15: 186-192. 

  8. Han SH, Ji WB (2010) Analysis of the current conditions and contents of food advertisement targeting children. The Korean J of Advertising 21(4): 95-114. 

  9. Jang SH (1996) Education and objectivity of awareness. Philosophy of Education 14: 187-202. 

  10. Jang YA (2005) Healthy eating guidelines and academic-oriented basis. Korean Society for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s1-s8. 

  11. Jee YJ, Kim YH (2013) Factors influencing obesity among adolescent: analysis of 2011 Korean youth risk behavior survey. Korean J Obes 22(1) : 39-49. 

  12. Jin EH (2009) A study on health related action rates of dietary guidelines and pattern of dietary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Statistics 34(2): 165-176. 

  13. Kang HS, Kim MR (2001) Effect of social-economic factors and related factors of health and life-style on health foods intakes among the middle aged in the Jeonbuk regio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6(4) : 617-627. 

  14. Kim BH, Sung MY, Lee YN (2011) Comparison of the nutrient intakes by score of dietary action guides for Korean children amo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wangju city. Korean J Community Nutr 16(4) : 411-425. 

  15. Kim HK (2001) Influence of age and education on food consumption and nutrition in take of older women living alon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1) : 82-88. 

  16. Kim JH, Lee MJ, Park MY, Moon SJ (1996) A study for eating patterns of Korean men. Korean J Diatary Culture 11: 621-634. 

  17. Kim JH, Lee MJ, Yang IS, Moon SJ (1992)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Korean eating behavior. Korean J Dietary Culture 7: 1-8. 

  18. Kim KH (2010) Food habits, eating behaviors and food frequency by gender and among Seoul and other regions in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5(2): 180-190. 

  19. Kim WK, Lee KA (1998) Effects of food behaviors on nutrients and food intake in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6): 1285-1296. 

  20. Lee MS, Lee JW, Woo MK (2001)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consumption by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of university students in Taejo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6(2): 172-181. 

  21. Lee MS, Woo MK (2001)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food consumption by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the middle aged and elderly living in the Chonju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6(5) : 789-797. 

  22. Lee YM, Shim JE, Yoon JH (2012) Change of children's meal structure in terms of temporal and spatial dimension :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of 1998 and 2009. Korean J Community Nutr 17(1): 109-118. 

  23. Lee YS (2010)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and knowledge about food additives on dietary life in Seoul. M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pp 57-58. 

  2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8) The 4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SSN 2005, 6362. 

  2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282-320. 

  26. Mulvanet-Day NE, Womack CA, Oddo VM (2012) Eating on the run. A qualitative study of health agency and eating behaviors among fast food employees. Appetite 59: 357-363. 

  27. Riddell LJ, Anq B, Russell SJ, Keast RS, Hunter W (2011) Impact of living arrangements and nationality on food habits and nutrient intakes in young adults. Appetite 56: 726-731. 

  28. Rosen LD, Lim AF, Felt J, Carrier LM, Cheever NA, Lara-Ruiz JM, Mendoza JS, Rokkum J (2014) Media and technology use predicts will-being among children, preteens and teenagers independent of the negative health impacts of exercise and eating habi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5: 364-376. 

  29. Paik HY, Kim CI, Moon HK, Yoon JS, Joung HJ, Shim JE, Jung JS (2008) 2008 Dietary goals and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 adults. Korean J Nutr 41(8): 887-899. 

  30. Park MR, Park EJ (2001) The study on the consciousness of housewives eating habit in Sangju city according to ages. Korean J Food Culture 16(3): 225-234. 

  31. Park YS, Chung YS (2002) Characteristic and pattern of food and cultural background. Korean J Dietary Culture 17(4): 425-445. 

  32. Yoo JE, Park GS (2003) A study of the dietary behavior and food preference of adolescents. J East Asia Soc Dietary Life 13(1): 19-2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