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기의 역사를 살펴보면, 연기는 주로 동양적 일원론을 지향하거나 서구적 이원론 중에 하나를 선택하는 양자택일의 길을 걸어 왔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런 전제에 입각해서 경계와 전이를 하나의 새로운 연기영역으로 제시하고 경험론적 관점을 통해 인식의 대상과 주체를 포용할 뿐 아니라, 보다 중요하게는 그 사이의 경계선을 다루고자 한 것이다. 배우의 심리적 전이와 경계는 배우로서 공연을 준비하면서 겪는 의식적 · 물리적 공간...
연기의 역사를 살펴보면, 연기는 주로 동양적 일원론을 지향하거나 서구적 이원론 중에 하나를 선택하는 양자택일의 길을 걸어 왔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런 전제에 입각해서 경계와 전이를 하나의 새로운 연기영역으로 제시하고 경험론적 관점을 통해 인식의 대상과 주체를 포용할 뿐 아니라, 보다 중요하게는 그 사이의 경계선을 다루고자 한 것이다. 배우의 심리적 전이와 경계는 배우로서 공연을 준비하면서 겪는 의식적 · 물리적 공간 속에서 끊임없이 경험하고 인식한 실존으로서의 개념이다. 전이공간에서 인지한 경계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감정적 · 신체적 변화를 경험하고 그로 인해 불안 · 긴장 · 흥분 등의 다변화된 감정을 일으키고 실제 공연을 할 때 많은 영향을 끼친다. 본 연구에서는 이것을 감정의 기복이나 부족한 훈련과 연습 등의 결과로 치부할 것이 아니라 배우라는 특수한 환경의 직업군이 갖는 독특한 문제적 상황으로 인식하여 이 심리적 장애란 것이 인식의 경계에 상주한다는 것과 이를 통해 연기술에 더 다양하게 활용될 가능성이 내재되어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는 배우의 연기에 영향을 미치는 경계성 개념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접근을 시도하고자 하였으며 배우가 실제적으로 겪는 공연공간에서의 경계성을 규명하고, 변화양상 등을 분석하여, 배우가 실제로 인식하고 체험하는 공연공간의 경계성이 연기와 공연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한다. 또한 이를 토대로 첫째 연극 장르의 특수성과 배우의 연기, 그리고 공연의 현장성 각 요소에 내재된 경계의 성향을 분석하고, 이것을 경계와 전이과정으로 접목시키고자한다. 둘째, 공연공간의 경계성을 이해하는 기반 개념을 제공하기 위해, 연기하는 주체인 배우가 실제 체험하는 심리적 · 물리적 공간과 전이를 규명하고 분석한다. 셋째, 공연공간에서 배우의 심리적 경계에 대한 논의를 뒷받침할 실증적 사례를 제시하고자 본 연구의 핵심 담론인 무대공포와 관련하여, 배우들의 인터뷰, 생리적 측면의 무대공포 관련 연구 사례 등을 통해 배우의 심리적 경계 지점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가 논의하는 주제와 목적은 배우다. 배우에 대한 논의에서 출발해 배우의 경험과 존재, 다변화하는 역할 등의 이해를 통해, 배우의 효과적 연기를 위한 실제적 기반 작업으로서, 배우를 위한 연구인 것이다. ‘공연공간에서의 경계와 전이의 존재’에 관한 배우의 인식에서 비롯된 본 연구는 연극배우로서의 현장경험의 실체가 포함되어 있다. 연구자의 현장경험, 특히 연극무대 위의 경험이 연극학, 공연학 등의 관련 연구 분야에 새로운 접근방법을 촉진시키는 촉매제가 될 것을 기대한다.
연기의 역사를 살펴보면, 연기는 주로 동양적 일원론을 지향하거나 서구적 이원론 중에 하나를 선택하는 양자택일의 길을 걸어 왔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런 전제에 입각해서 경계와 전이를 하나의 새로운 연기영역으로 제시하고 경험론적 관점을 통해 인식의 대상과 주체를 포용할 뿐 아니라, 보다 중요하게는 그 사이의 경계선을 다루고자 한 것이다. 배우의 심리적 전이와 경계는 배우로서 공연을 준비하면서 겪는 의식적 · 물리적 공간 속에서 끊임없이 경험하고 인식한 실존으로서의 개념이다. 전이공간에서 인지한 경계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감정적 · 신체적 변화를 경험하고 그로 인해 불안 · 긴장 · 흥분 등의 다변화된 감정을 일으키고 실제 공연을 할 때 많은 영향을 끼친다. 본 연구에서는 이것을 감정의 기복이나 부족한 훈련과 연습 등의 결과로 치부할 것이 아니라 배우라는 특수한 환경의 직업군이 갖는 독특한 문제적 상황으로 인식하여 이 심리적 장애란 것이 인식의 경계에 상주한다는 것과 이를 통해 연기술에 더 다양하게 활용될 가능성이 내재되어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는 배우의 연기에 영향을 미치는 경계성 개념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접근을 시도하고자 하였으며 배우가 실제적으로 겪는 공연공간에서의 경계성을 규명하고, 변화양상 등을 분석하여, 배우가 실제로 인식하고 체험하는 공연공간의 경계성이 연기와 공연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한다. 또한 이를 토대로 첫째 연극 장르의 특수성과 배우의 연기, 그리고 공연의 현장성 각 요소에 내재된 경계의 성향을 분석하고, 이것을 경계와 전이과정으로 접목시키고자한다. 둘째, 공연공간의 경계성을 이해하는 기반 개념을 제공하기 위해, 연기하는 주체인 배우가 실제 체험하는 심리적 · 물리적 공간과 전이를 규명하고 분석한다. 셋째, 공연공간에서 배우의 심리적 경계에 대한 논의를 뒷받침할 실증적 사례를 제시하고자 본 연구의 핵심 담론인 무대공포와 관련하여, 배우들의 인터뷰, 생리적 측면의 무대공포 관련 연구 사례 등을 통해 배우의 심리적 경계 지점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가 논의하는 주제와 목적은 배우다. 배우에 대한 논의에서 출발해 배우의 경험과 존재, 다변화하는 역할 등의 이해를 통해, 배우의 효과적 연기를 위한 실제적 기반 작업으로서, 배우를 위한 연구인 것이다. ‘공연공간에서의 경계와 전이의 존재’에 관한 배우의 인식에서 비롯된 본 연구는 연극배우로서의 현장경험의 실체가 포함되어 있다. 연구자의 현장경험, 특히 연극무대 위의 경험이 연극학, 공연학 등의 관련 연구 분야에 새로운 접근방법을 촉진시키는 촉매제가 될 것을 기대한다.
Acting called for Oriental monism or Western dualism. People hesitated to choose the other option. This study aims at proposing the new acting domain, and embracing a subject and an object of recognition. The more important theme will be the boundary between them. An actor's mental change and b...
Acting called for Oriental monism or Western dualism. People hesitated to choose the other option. This study aims at proposing the new acting domain, and embracing a subject and an object of recognition. The more important theme will be the boundary between them. An actor's mental change and boundary is the concept about existence, experienced and recognized in conscious and physical space by an actor while preparing for a performance. The boundary recognized in changing place is invisible, but it influences the performance, when an actor experiences mental and physical change, and variety of feeling such as uneasiness, tension and excitement. It shouldn't be dealt with as an actor's up and down, or lack of exercise and practice, but recognized as the specific profession's unique problem. I want to prove that the mental obstruction is between the conscious boundary, and it has the possibility to be utilized as acting skill. This study tries to approach to the new point of view about the boundary influencing an actor's acting, define the boundary in real performance stage experienced by an actor, analyze changing aspect, and finally discuss on how the boundary influences the acting and performance. Based on the elements above, it is analyzed how the boundary exists by the special nature of drama, an actor's acting, and a live performance. And I try to combine it with boundary and changing process. Secondly it is defined and analyzed the mental and physical space and change experienced by an actor as a subject in the performance in order to propose basic concept about boundary in the performing space. Thirdly an actor's mental boundary spot is analyzed with their interviews and cases about physiological fear on the stage in order to propose practical cases to support the discussion on an actor's mental boundary in the performing space. This study is about an actor and for an actor. It starts from the discussion on an actor, comprehension on the actor's experience, existence, and changing roles, and finally becomes the practical basic work. This study includes the actor's experience, beginning with an actor's recognition about 'existence in the boundary and change in performing space'. I expect my hands-on experience in the drama performance can promote the new approach in the arena of research such as dramatics, and performing arts.
Acting called for Oriental monism or Western dualism. People hesitated to choose the other option. This study aims at proposing the new acting domain, and embracing a subject and an object of recognition. The more important theme will be the boundary between them. An actor's mental change and boundary is the concept about existence, experienced and recognized in conscious and physical space by an actor while preparing for a performance. The boundary recognized in changing place is invisible, but it influences the performance, when an actor experiences mental and physical change, and variety of feeling such as uneasiness, tension and excitement. It shouldn't be dealt with as an actor's up and down, or lack of exercise and practice, but recognized as the specific profession's unique problem. I want to prove that the mental obstruction is between the conscious boundary, and it has the possibility to be utilized as acting skill. This study tries to approach to the new point of view about the boundary influencing an actor's acting, define the boundary in real performance stage experienced by an actor, analyze changing aspect, and finally discuss on how the boundary influences the acting and performance. Based on the elements above, it is analyzed how the boundary exists by the special nature of drama, an actor's acting, and a live performance. And I try to combine it with boundary and changing process. Secondly it is defined and analyzed the mental and physical space and change experienced by an actor as a subject in the performance in order to propose basic concept about boundary in the performing space. Thirdly an actor's mental boundary spot is analyzed with their interviews and cases about physiological fear on the stage in order to propose practical cases to support the discussion on an actor's mental boundary in the performing space. This study is about an actor and for an actor. It starts from the discussion on an actor, comprehension on the actor's experience, existence, and changing roles, and finally becomes the practical basic work. This study includes the actor's experience, beginning with an actor's recognition about 'existence in the boundary and change in performing space'. I expect my hands-on experience in the drama performance can promote the new approach in the arena of research such as dramatics, and performing art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