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3D 애니메이션 동물 캐릭터의 의인화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 중·미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f Characters' Anthropomorphic Expression Characteristics in 3D Animations : Focusing on comparing the animation characters of China and U.S.원문보기
중국 3D 애니메이션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2000년 이후에 제작된 중국과 미국의 3D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의인화된 2족 보행 동물 캐릭터들을 비교․연구하였다. 곧 중국의 〈레전드 오브 래빗(兔侠传奇)〉과 미국의〈플러쉬(Flushed Away)〉,〈헷지(Over The Hedge)>,〈마다가스카2(Madagascar2)〉,〈쿵푸 팬더(Kung Fu Panda)>, <쿵푸 팬더2(Kung Fu Panda 2),〈장화신은 고양이(Puss In Boots)〉에 등장하는 28개의 2족 보행 동물 캐릭터들을 선정하여 분석․비교하였다. 동물 의인화의 ...
중국 3D 애니메이션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2000년 이후에 제작된 중국과 미국의 3D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의인화된 2족 보행 동물 캐릭터들을 비교․연구하였다. 곧 중국의 〈레전드 오브 래빗(兔侠传奇)〉과 미국의〈플러쉬(Flushed Away)〉,〈헷지(Over The Hedge)>,〈마다가스카2(Madagascar2)〉,〈쿵푸 팬더(Kung Fu Panda)>, <쿵푸 팬더2(Kung Fu Panda 2),〈장화신은 고양이(Puss In Boots)〉에 등장하는 28개의 2족 보행 동물 캐릭터들을 선정하여 분석․비교하였다. 동물 의인화의 표현 요소는 외형적 요소와 연기적 요소로 구분되는데, 전자는 신체 비례, 체형, 얼굴형, 의상과 장신구 등이 있고, 후자는 표정과 제스처가 해당된다. 따라서 7개 애니메이션을 관람한 한국과 중국의 대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외형적 요소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외형적 요소의 설문 항목은 외형적 요소들에 이들과 상관관계가 높은 의인화의 완성도, 역할과 성격을 추가하여 6개로 하였다. 그리고 연기적 요소는 연구자가 동영상을 분석하였는데, 분석 항목은 표정을 행복, 놀람, 공포, 분노, 혐오, 슬픔 등 6개의 유형으로, 제스처는 상징, 적용, 설명, 감정, 조정 등 5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설문조사와 동영상 분석으로 얻어진 자료를 통계학적으로 처리하여 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은 사실들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의 의인화 동물 캐릭터의 외형적 특징은 신체 비례, 체형, 얼굴의 묘사가 인체와 매우 유사하고, 민족적 특징을 보이는 복식을 많이 착용하였다. 그렇지만 관객은 중국 캐릭터의 외형적 특징이 인간과 근사(近似)함에도 불구하고 의인화 완성도는 높지 않다고 평가하였다. 그 이유는 표정과 제스처를 다양하게 표현하지 못하였다는 점인데, 표정의 경우 가장 많이 사용한 것은 분노였고, 그 다음이 행복과 놀람의 순서였다. 슬픔, 공포, 혐오는 적게 나타났다. 제스처의 경우 가장 많이 나타난 것은 적응 행위와 설명 행위였고, 그 다음이 상징 행위, 감정 표현 행위의 순이었으며, 조정 행위의 제스처 표현은 아예 없었다. 미국의 의인화 동물 캐릭터의 외형적 특징은 대체로 실제 동물과 매우 가깝다는 점이었다. 그 중 얼굴 형태는 동물과 인간의 특징 두 가지 모두를 지니고 있지만, 세밀하게 따지면 인간보다 실제 동물에 가까웠다. 즉, 얼굴형, 눈, 코, 입, 귀 등과 같은 동물의 신체 부위 별 특징을 과장하여 캐릭터의 성격과 역할을 완벽하게 표현하였다. 그 결과로 의인화의 완성도가 높아졌다. 그래서 캐릭터의 외형이 실제 동물과 큰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인간처럼 느껴졌다. 그리고 의상과 장신구를 적당하게 사용한 점도 대체로 의인화의 완성도에 좋은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미국 동물 캐릭터의 연기적인 특징을 보면, 표정과 제스처가 다양한 감정을 정확하게 표현해서 관객들에게 강한 인상을 주었다. 표정의 경우 가장 많이 사용한 얼굴 표정은 행복이었고, 그 다음이 놀람, 슬픔, 공포, 분노, 혐오의 순서였다. 제스처의 경우 가장 많이 나타난 것은 설명 행위와 감정 표현 행위였고, 그 다음이 적응 행위, 상징 행위, 조정 행위의 순서였다. 이상에서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중국과 미국의 3D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2족 보행 동물 캐릭터들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았다. 먼저 외형적 요소 면에서 중국의 동물 캐릭터는 인간과 흡사하였지만, 미국은 대조적으로 동물과 흡사하였다. 다음으로 연기적 요소 면에서는 얼굴 표정의 경우 중국 동물 캐릭터는 분노가 가장 많았고, 미국은 행복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제스처의 경우 중국은 적응 행위와 설명 행위가 높은 빈도를 보였는데, 미국은 설명 행위와 감정 표현 행위가 많았다. 즉, 중국이 연기적 요소 면에서 분노의 표정과 적응 행위의 제스처가 많았는데, 미국은 이와 대조적으로 행복의 표정과 감정 표현 행위의 제스처가 많았다. 이러한 사실등이 중국 애니메이션이 미국 애니메이션보다 작품성과 흥행성이 떨어지게 만든 결정적인 요인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렇지만 중국 애니메이션에서 중국 고유의 문화 요소(전통 복식, 디자인, 장신구)들이 동물 캐릭터의 외형적 요소에 대담하게 부여된 점은 특장(特長)으로 높이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중국 애니메이션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앞에서 지적한 문제점과 미비점을 해결하고, 중국의 전통적인 요소를 계승할 필요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중국 3D 애니메이션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2000년 이후에 제작된 중국과 미국의 3D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의인화된 2족 보행 동물 캐릭터들을 비교․연구하였다. 곧 중국의 〈레전드 오브 래빗(兔侠传奇)〉과 미국의〈플러쉬(Flushed Away)〉,〈헷지(Over The Hedge)>,〈마다가스카2(Madagascar2)〉,〈쿵푸 팬더(Kung Fu Panda)>, <쿵푸 팬더2(Kung Fu Panda 2),〈장화신은 고양이(Puss In Boots)〉에 등장하는 28개의 2족 보행 동물 캐릭터들을 선정하여 분석․비교하였다. 동물 의인화의 표현 요소는 외형적 요소와 연기적 요소로 구분되는데, 전자는 신체 비례, 체형, 얼굴형, 의상과 장신구 등이 있고, 후자는 표정과 제스처가 해당된다. 따라서 7개 애니메이션을 관람한 한국과 중국의 대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외형적 요소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외형적 요소의 설문 항목은 외형적 요소들에 이들과 상관관계가 높은 의인화의 완성도, 역할과 성격을 추가하여 6개로 하였다. 그리고 연기적 요소는 연구자가 동영상을 분석하였는데, 분석 항목은 표정을 행복, 놀람, 공포, 분노, 혐오, 슬픔 등 6개의 유형으로, 제스처는 상징, 적용, 설명, 감정, 조정 등 5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설문조사와 동영상 분석으로 얻어진 자료를 통계학적으로 처리하여 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은 사실들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의 의인화 동물 캐릭터의 외형적 특징은 신체 비례, 체형, 얼굴의 묘사가 인체와 매우 유사하고, 민족적 특징을 보이는 복식을 많이 착용하였다. 그렇지만 관객은 중국 캐릭터의 외형적 특징이 인간과 근사(近似)함에도 불구하고 의인화 완성도는 높지 않다고 평가하였다. 그 이유는 표정과 제스처를 다양하게 표현하지 못하였다는 점인데, 표정의 경우 가장 많이 사용한 것은 분노였고, 그 다음이 행복과 놀람의 순서였다. 슬픔, 공포, 혐오는 적게 나타났다. 제스처의 경우 가장 많이 나타난 것은 적응 행위와 설명 행위였고, 그 다음이 상징 행위, 감정 표현 행위의 순이었으며, 조정 행위의 제스처 표현은 아예 없었다. 미국의 의인화 동물 캐릭터의 외형적 특징은 대체로 실제 동물과 매우 가깝다는 점이었다. 그 중 얼굴 형태는 동물과 인간의 특징 두 가지 모두를 지니고 있지만, 세밀하게 따지면 인간보다 실제 동물에 가까웠다. 즉, 얼굴형, 눈, 코, 입, 귀 등과 같은 동물의 신체 부위 별 특징을 과장하여 캐릭터의 성격과 역할을 완벽하게 표현하였다. 그 결과로 의인화의 완성도가 높아졌다. 그래서 캐릭터의 외형이 실제 동물과 큰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인간처럼 느껴졌다. 그리고 의상과 장신구를 적당하게 사용한 점도 대체로 의인화의 완성도에 좋은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미국 동물 캐릭터의 연기적인 특징을 보면, 표정과 제스처가 다양한 감정을 정확하게 표현해서 관객들에게 강한 인상을 주었다. 표정의 경우 가장 많이 사용한 얼굴 표정은 행복이었고, 그 다음이 놀람, 슬픔, 공포, 분노, 혐오의 순서였다. 제스처의 경우 가장 많이 나타난 것은 설명 행위와 감정 표현 행위였고, 그 다음이 적응 행위, 상징 행위, 조정 행위의 순서였다. 이상에서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중국과 미국의 3D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2족 보행 동물 캐릭터들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았다. 먼저 외형적 요소 면에서 중국의 동물 캐릭터는 인간과 흡사하였지만, 미국은 대조적으로 동물과 흡사하였다. 다음으로 연기적 요소 면에서는 얼굴 표정의 경우 중국 동물 캐릭터는 분노가 가장 많았고, 미국은 행복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제스처의 경우 중국은 적응 행위와 설명 행위가 높은 빈도를 보였는데, 미국은 설명 행위와 감정 표현 행위가 많았다. 즉, 중국이 연기적 요소 면에서 분노의 표정과 적응 행위의 제스처가 많았는데, 미국은 이와 대조적으로 행복의 표정과 감정 표현 행위의 제스처가 많았다. 이러한 사실등이 중국 애니메이션이 미국 애니메이션보다 작품성과 흥행성이 떨어지게 만든 결정적인 요인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렇지만 중국 애니메이션에서 중국 고유의 문화 요소(전통 복식, 디자인, 장신구)들이 동물 캐릭터의 외형적 요소에 대담하게 부여된 점은 특장(特長)으로 높이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중국 애니메이션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앞에서 지적한 문제점과 미비점을 해결하고, 중국의 전통적인 요소를 계승할 필요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