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결혼이주여성 적응프로그램 현황 및 개선방안 원문보기


김자미 (경운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국내석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2년 우리나라에 거주하고 있는 체류 외국인의 숫자가 120만 명을 넘어서 우리나라도 점차 다인종, 다언어, 다문화사회로 변모해 가고 있다. 1980년대 말 다문화가족의 근간이 되는 한국인 농어촌 총각과 외국인여성의 결혼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자 국제결혼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국제결혼의 증가는 다문화 가정의 수를 확대시켰으며 다문화 가정과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교육에 대한 관심도 증가시켰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정부의 주도로 결혼이주 여성들이 한국 사회에 원만하게 정착하는 것을 돕기 위한 ‘다문화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즉, 이들 여성들이 한국어로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거나, 문화와 관습의 차이를 극복하고, 한국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결혼이주여성들을 위해 이루어지고 있는 각종 프로그램들이 얼마나 이들의 요구나 필요를 반영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사회와 가정에 순조롭게 적응하여 올바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지원체계와 프로그램의 마련이 시급한 과제임을 인식하고, 현재까지 산발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기존의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적응프로그램 현황을 살펴보고,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하려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까지 제공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의 적응프로그램들의 현황’, ‘결혼이주여성의 적응프로그램들의 문제점’ 및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사회와 가정에 순조롭게 적응하여 올바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지원체계와 프로그램의 개선방안’ 등에 대해 조사․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이 처한 전반적인 상황을 검토해 보기 위하여 다문화가족과 관련된 연구들과 도서, 보고서, 통계자료 등 기존 문헌을 고찰하였다. 문헌 연구의 주요내용은 결혼이주여성의 개념, 국제결혼의 증가배경, 결혼이주여성의 결혼 과정, 결혼이주여성 현황, 가정생활의 문제, 다문화지원사업, 결혼이주여성 지원정책,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세부운영사업, 사업성과 등이다. 이러한 문헌 조사를 통해 결혼이주여성들을 위한 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한국어 교육사업은 비전문 강사의 교육진행으로 인한 수업의 질 저하, 수준별 교육 진행 미흡, 일관된 수업진행 어려움, 수업에 필요한 시설 미비, 교육기관의 지리적 위치 열악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다문화가족통합교육은 전체적으로 공식적 인 프로그램이 매우 미비하고 일회성으로 끝나는 행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참여대상자의 국적이 다양하여 통역요원이 활용되어야 하는데, 통역요원 또한 상당히 부족한 상황이었다. 셋째, 다문화가족 취업연계 지원 사업은 결혼이주여성이 처한 사회적 배경을 고려하지 않은 포괄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었고, 교육 후 실질적인 취업까지 연계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 지원사업은 정부에서 ‘학교’를 중심으로 다문화 정책 연구학교 및 거점학교 지정,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다문화 이해 프로그램 및 방과 후 학습 등을 지원 운영하고 있으나, 이러한 지원은 문화 이해의 차원, 또는 1차적인 의사소통 능력 신장의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그들의 실질적인 요구를 충족시키지는 못하고 있었다. 다섯째,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사업은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접근이 어려운 다문화가족에게 전문가가 가정 방문을 통해 각종 교육과 서비스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그러나 이 사업을 수탁 운 영하는 기관이 전문단체가 아니었고, 한국어 방문 교육시에 사용하는 교재나 내용도 미흡한 상태였다. 파견되는 담당종사자도 전문자격을 갖춘 자가 아닌 유사자격 조건을 갖춘 자로 전문성 확보에 문제가 있었고, 그 인력 또한 매우 부족한 상황이었다. 이상의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한국어교육사업은 결혼이주여성의 입국 전 한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한국어 교육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도록 하고, 지역 보건소와 다문화가족 지원센터와의 연계를 더욱 공고히 하여 서비스를 지속 홍보시켜야 하며, 전문 강사 채용 으로 수업의 질 향상시키기, 다양한 국적을 위한 다양한 교제 만들기 등을 보충할 필요가 있었으며, 둘째, 다문화가족통합교육은 다문화 가정의 가정환경과 지역적 차이를 고려하여 교육내용과 방법이 구성되어야 하고, 가족통합교육을 진행할 수 있는 인력풀을 형성시키며, 특히 통역 인력을 증원하여 가족단위의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성이 있었다. 셋째, 다문화가족 취업연계 지원사업은 결혼이주여성의 현실적 문제인 가족의 통제와 간섭, 자녀의 양육, 한국어 능력 등을 고려하고, 모국어 활용과 영세기업의 저임금 취업 등 결혼이주여성이 가지고 있는 이점을 활용할 수 있는 틈새직업을 찾아 그 특성에 맞는 맞춤식 ...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number of immigrants went over 1.2 million in 2012, Korea is transforming itself to more multiracial, multilingual, and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late 1980's, while marriage between a man in a rural area and a woman from a foreign country became a serious social issue, multinational marri...

학위논문 정보

저자 김자미
학위수여기관 경운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사회복지학과
발행연도 2013
총페이지 vi, 58 p.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3111832&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